목차
Ⅰ. 들어가는 말--------------------------------------------------1
Ⅱ. 일반 리더십과 크리스쳔 리더십의 고찰----------------------------2
1. 일반 리더십-----------------------------------------------2
a. 일반 리더십의 개념-------------------------------------2
b. 일반 리더십의 정의-------------------------------------2
2. 크리스쳔 리더십--------------------------------------------3
Ⅲ. 리더십에 대한 성서적 고찰-------------------------------------5
1. 구약성서에 나타난 리더십의 개념-------------------------------5
2. 신약성서에 나타난 리더십의 개념-------------------------------5
a. 종의 리더십-------------------------------------------5
b. 목자의 리더십-----------------------------------------6
c. 청지기의 리더십----------------------------------------6
Ⅳ. 바울의 생애--------------------------------------------------7
1. 출생 및 성장 배경------------------------------------------7
a. 출생과 성장-------------------------------------------7
b. 교육배경---------------------------------------------8
ㄱ. 유년기-------------------------------------------8
ㄴ. 청년기-------------------------------------------8
2. 바울의 회심-----------------------------------------------9
a. 박해자 바울-------------------------------------------9
b. 회심자 바울-------------------------------------------9
Ⅴ. 바울의 리더십 특징 - 학자들의 견해----------------------------11
1. 리챠드(Lawrence. O. Richards)의 견해--------------------------11
2. 로버트 클린턴(Robert Clinton)의 견해---------------------------11
Ⅵ. 바울의 목회 리더십--------------------------------------------13
a. 섬김의 리더십-----------------------------------------13
b. 본보기 리더십-----------------------------------------13
c. 제자 삼는 리더십---------------------------------------14
e. 성령의 리더십-----------------------------------------14
f. 사람을 세우는 리더십------------------------------------14
g. 협력의 리더십-----------------------------------------15
h. 권징의 리더십-----------------------------------------15
I. 사랑의 리더십-----------------------------------------15
Ⅶ. 나가는 말---------------------------------------------------17
Ⅷ. 참고문헌----------------------------------------------------18
Ⅱ. 일반 리더십과 크리스쳔 리더십의 고찰----------------------------2
1. 일반 리더십-----------------------------------------------2
a. 일반 리더십의 개념-------------------------------------2
b. 일반 리더십의 정의-------------------------------------2
2. 크리스쳔 리더십--------------------------------------------3
Ⅲ. 리더십에 대한 성서적 고찰-------------------------------------5
1. 구약성서에 나타난 리더십의 개념-------------------------------5
2. 신약성서에 나타난 리더십의 개념-------------------------------5
a. 종의 리더십-------------------------------------------5
b. 목자의 리더십-----------------------------------------6
c. 청지기의 리더십----------------------------------------6
Ⅳ. 바울의 생애--------------------------------------------------7
1. 출생 및 성장 배경------------------------------------------7
a. 출생과 성장-------------------------------------------7
b. 교육배경---------------------------------------------8
ㄱ. 유년기-------------------------------------------8
ㄴ. 청년기-------------------------------------------8
2. 바울의 회심-----------------------------------------------9
a. 박해자 바울-------------------------------------------9
b. 회심자 바울-------------------------------------------9
Ⅴ. 바울의 리더십 특징 - 학자들의 견해----------------------------11
1. 리챠드(Lawrence. O. Richards)의 견해--------------------------11
2. 로버트 클린턴(Robert Clinton)의 견해---------------------------11
Ⅵ. 바울의 목회 리더십--------------------------------------------13
a. 섬김의 리더십-----------------------------------------13
b. 본보기 리더십-----------------------------------------13
c. 제자 삼는 리더십---------------------------------------14
e. 성령의 리더십-----------------------------------------14
f. 사람을 세우는 리더십------------------------------------14
g. 협력의 리더십-----------------------------------------15
h. 권징의 리더십-----------------------------------------15
I. 사랑의 리더십-----------------------------------------15
Ⅶ. 나가는 말---------------------------------------------------17
Ⅷ. 참고문헌----------------------------------------------------18
본문내용
바울 안에 있는 예수그리스도를 본받아 가는 형상을 말하는 것이다(딤후 3:10-11).
아홉째, 상호일치형 스타일의 리더십 원리(Consensus Style Leadership)
바울의 리더십은 때로 물러서지 않는 강직함이 있는가 하면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선교 정책에 있어서 인내심을 갖고 상호 일치하도록 기다리는 모습으로도 나타난다.
열째, 근본 원인 해결 스타일의 리더십 원리(Indirect Conflict Style Leadership)
영적 지도자는 어려울수록 강해지는데 바울은 철저하게 문제 자체보다는 문제 뒤에 놓여진 상황을 묶어 버리는 리더십을 가졌다(행 14:15, 롬 7:24-25) 바울은 영적 지도자의 싸움이 인간적인 혈과 육의 차원이 아닌 사탄과의 영적 싸움임을 분명히 알았던 지도자였다.
Ⅵ. 바울의 목회 리더십
a. 섬김의 리더십
신약의 바울 서신들과 사도행전에 나타나는 바울의 리더십의 페러다임은 그 원형이 예수 그리스도이다. 바울의 삶의 목표는 예수를 닮아가는 삶이었다. 리더십에 관한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은 가히 혁명적이고 역설적이었는데 바로 이 ‘종’ 이라고 하는 단어가 그것들을 잘 이야기 해준다. ‘종’이라는 단어는 당시는 물론이고 현대사회 에서도 낮고 천한 신분의 상징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그러한 신분과 역할을 기피한다. 그러나 예수에게 있어서 ‘종’이란 ‘위대함’과 동의어 이다. 섬기는 자가 위대한 자이고 종의 자세로 살아가는 자가 진정한 지도자라고 하는 예수의 가르침은 현대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통념을 기초부터 뒤집어 놓는 혁명적 리더십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울 역시 그러한 혁명적 리더십에 동의하고 예수를 닮고자 하였던 것이다.
지도자가 된다는 것은 섬긴다는 뜻이요, 섬긴다는 것은 지도자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 존 화이트(John White)는 섬기는 지도자에 대하여 그의 저서『탁월한 지도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훌륭한 지도자는 기꺼이 섬기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마치 부모가 자녀의 최상의 유익을 위해 비천한 일을 하는 것과도 같다. 이러한 자세는 탐욕을 극복하고 하나님께서 우리를 불러 맡기신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존 화이트, 『탁월한 지도력』, (서울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5), p.100.
고린도전서 9장을 살펴보면 바울이 자신의 종 된 이유를 밝히고 있다. “내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 하였으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19절). 바울은 학식도 풍부한 사람이었고, 신분이 참 히브리인이었으며 베냐민 지파요 바리새인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세상적으로 부족한 것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런데도 그는 섬김의 자세를 취하였던 것이다. 그는 빌립보 교인들에게도 겸손히 섬기는 자세를 강조하였다.
b. 본보기 리더십
모범을 보인다는 것은 굉장한 책임이 따르는 일이다. 지도자가 먼저 모범을 보이지 않고는 사람들이 따르지 않는다. 바울은 지도자로서 먼저 범사에 모범을 보여주었다(행 20:17-20, 35) 바울은 철저하게 그리스도를 본받는 목회자로서 그에게 맡겨진 영혼들을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된 것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고전 11:1)고 강조한다. 그는 자신의 개인 생활이 그리스도를 따르며 본받고 살았기 때문에 그렇게 성도들에게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이 바울에게 있어서 능력 있는 지도자로서의 힘이었다. 그는 말로만 복음을 전했던 사람이 아니다. 친히 본을 보여주는 전도였다. 이러한 사실이 바로 데살로니가 교회에 보낸 서신에 잘 나타난다. “이는 우리 복음이 말로만 너희에게 이른 것이 아니라 오직 성령과 큰 확신으로 된 것이니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떠한 사람이 된 것은 너희 아는 바와 같으니라. 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도를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살전1:5-7) 또한 바울은 돈 문제에 있어서도 깨끗했으며, 후히 드리는 일에도 훌륭한 모범을 보였다. 이러한 바울의 본을 보여주는 목회는 자신이 그리스도를 본받고 살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c. 제자 삼는 리더십
바울의 목회에는 예수님의 사역처럼 “제자를 삼는 것”이 중요시 되었다. 예수님 께서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의지할 필요는 없었다.(요2:24) 하지만 복음을 전하고 영적 구원을 위해서 제자를 부르셨다.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하며 제자로서 훈련을 시켰다.(도제교육 - 함께 공동체 생활을 통해 배워감) 바울도 혼자 사역을 감당한 것이 아니라 자기의 제자를 삼아서 교회를 돌보며 영적 양육과 목회를 하였다.
바울이 제자도에 관하여 언급한 가장 대표적인 구절이 디모데에게 한 말이다.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네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저희가 또 다름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딤후2:2) 이것은 바울이 부활하신 예수님께로부터 직접 받은 복음의 계시를 디모데에게 가르쳐서 전도자로 삼을 뿐 아니라, 디모데가 또 충성스런 사람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또 디모데에게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은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쳐서 전도자를 세울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바울이 제자들을 훈련했다는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두란노 서원에서 날마다 성경을 강론한 일이다. 이같이 바울은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에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가는 곳곳마다 제자를 두었기 때문에 여러 교회를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었던 것이다.
e. 성령의 리더십
바울의 리더십에 있어서 성령의 인도하심과 성령에 의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바울은 선교여행을 하다가도 자신이 가고 싶은 곳을 가지 않고 성령이 지시하는 곳으로 발길을 돌렸다. 그는 철저히 자신의 학식이나 지식을 의지하지 않고 성령의 인도하는 대로 그의 교회 사역지를 찾았고 성령의 나타남과 하나님의 능력으로 사역을 감당했다.
하나님의 일은 영적인 것이므로 성령의 인도를 받지 아니하고서는 열매를 맺을 수 없었다. 따라서 바울은 그의 목회사역에서 성령을 절대적으로 의지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서신서에서 하나님의 성령을
아홉째, 상호일치형 스타일의 리더십 원리(Consensus Style Leadership)
바울의 리더십은 때로 물러서지 않는 강직함이 있는가 하면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 선교 정책에 있어서 인내심을 갖고 상호 일치하도록 기다리는 모습으로도 나타난다.
열째, 근본 원인 해결 스타일의 리더십 원리(Indirect Conflict Style Leadership)
영적 지도자는 어려울수록 강해지는데 바울은 철저하게 문제 자체보다는 문제 뒤에 놓여진 상황을 묶어 버리는 리더십을 가졌다(행 14:15, 롬 7:24-25) 바울은 영적 지도자의 싸움이 인간적인 혈과 육의 차원이 아닌 사탄과의 영적 싸움임을 분명히 알았던 지도자였다.
Ⅵ. 바울의 목회 리더십
a. 섬김의 리더십
신약의 바울 서신들과 사도행전에 나타나는 바울의 리더십의 페러다임은 그 원형이 예수 그리스도이다. 바울의 삶의 목표는 예수를 닮아가는 삶이었다. 리더십에 관한 예수그리스도의 가르침은 가히 혁명적이고 역설적이었는데 바로 이 ‘종’ 이라고 하는 단어가 그것들을 잘 이야기 해준다. ‘종’이라는 단어는 당시는 물론이고 현대사회 에서도 낮고 천한 신분의 상징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그러한 신분과 역할을 기피한다. 그러나 예수에게 있어서 ‘종’이란 ‘위대함’과 동의어 이다. 섬기는 자가 위대한 자이고 종의 자세로 살아가는 자가 진정한 지도자라고 하는 예수의 가르침은 현대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통념을 기초부터 뒤집어 놓는 혁명적 리더십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바울 역시 그러한 혁명적 리더십에 동의하고 예수를 닮고자 하였던 것이다.
지도자가 된다는 것은 섬긴다는 뜻이요, 섬긴다는 것은 지도자가 된다는 것을 뜻한다. 존 화이트(John White)는 섬기는 지도자에 대하여 그의 저서『탁월한 지도력』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훌륭한 지도자는 기꺼이 섬기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마치 부모가 자녀의 최상의 유익을 위해 비천한 일을 하는 것과도 같다. 이러한 자세는 탐욕을 극복하고 하나님께서 우리를 불러 맡기신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존 화이트, 『탁월한 지도력』, (서울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5), p.100.
고린도전서 9장을 살펴보면 바울이 자신의 종 된 이유를 밝히고 있다. “내가 모든 사람에게 자유 하였으나 스스로 모든 사람에게 종이 된 것은 더 많은 사람을 얻고자 함이라”(19절). 바울은 학식도 풍부한 사람이었고, 신분이 참 히브리인이었으며 베냐민 지파요 바리새인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세상적으로 부족한 것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런데도 그는 섬김의 자세를 취하였던 것이다. 그는 빌립보 교인들에게도 겸손히 섬기는 자세를 강조하였다.
b. 본보기 리더십
모범을 보인다는 것은 굉장한 책임이 따르는 일이다. 지도자가 먼저 모범을 보이지 않고는 사람들이 따르지 않는다. 바울은 지도자로서 먼저 범사에 모범을 보여주었다(행 20:17-20, 35) 바울은 철저하게 그리스도를 본받는 목회자로서 그에게 맡겨진 영혼들을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된 것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고전 11:1)고 강조한다. 그는 자신의 개인 생활이 그리스도를 따르며 본받고 살았기 때문에 그렇게 성도들에게 요구할 수 있다. 이것이 바울에게 있어서 능력 있는 지도자로서의 힘이었다. 그는 말로만 복음을 전했던 사람이 아니다. 친히 본을 보여주는 전도였다. 이러한 사실이 바로 데살로니가 교회에 보낸 서신에 잘 나타난다. “이는 우리 복음이 말로만 너희에게 이른 것이 아니라 오직 성령과 큰 확신으로 된 것이니 우리가 너희 가운데서 너희를 위하여 어떠한 사람이 된 것은 너희 아는 바와 같으니라. 또 너희는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도를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은 자가 되었으니 그러므로 너희가 마게도냐와 아가야 모든 믿는 자의 본이 되었느니라”(살전1:5-7) 또한 바울은 돈 문제에 있어서도 깨끗했으며, 후히 드리는 일에도 훌륭한 모범을 보였다. 이러한 바울의 본을 보여주는 목회는 자신이 그리스도를 본받고 살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c. 제자 삼는 리더십
바울의 목회에는 예수님의 사역처럼 “제자를 삼는 것”이 중요시 되었다. 예수님 께서는 초자연적인 능력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의지할 필요는 없었다.(요2:24) 하지만 복음을 전하고 영적 구원을 위해서 제자를 부르셨다.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하며 제자로서 훈련을 시켰다.(도제교육 - 함께 공동체 생활을 통해 배워감) 바울도 혼자 사역을 감당한 것이 아니라 자기의 제자를 삼아서 교회를 돌보며 영적 양육과 목회를 하였다.
바울이 제자도에 관하여 언급한 가장 대표적인 구절이 디모데에게 한 말이다.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네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저희가 또 다름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딤후2:2) 이것은 바울이 부활하신 예수님께로부터 직접 받은 복음의 계시를 디모데에게 가르쳐서 전도자로 삼을 뿐 아니라, 디모데가 또 충성스런 사람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또 디모데에게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은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쳐서 전도자를 세울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바울이 제자들을 훈련했다는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두란노 서원에서 날마다 성경을 강론한 일이다. 이같이 바울은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에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가는 곳곳마다 제자를 두었기 때문에 여러 교회를 효과적으로 돌볼 수 있었던 것이다.
e. 성령의 리더십
바울의 리더십에 있어서 성령의 인도하심과 성령에 의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바울은 선교여행을 하다가도 자신이 가고 싶은 곳을 가지 않고 성령이 지시하는 곳으로 발길을 돌렸다. 그는 철저히 자신의 학식이나 지식을 의지하지 않고 성령의 인도하는 대로 그의 교회 사역지를 찾았고 성령의 나타남과 하나님의 능력으로 사역을 감당했다.
하나님의 일은 영적인 것이므로 성령의 인도를 받지 아니하고서는 열매를 맺을 수 없었다. 따라서 바울은 그의 목회사역에서 성령을 절대적으로 의지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서신서에서 하나님의 성령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