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Ⅱ. 본론
1.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배경
1) 출신과 생애
2) 바울의 영적 리더십 형성과정
3)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2. 바울이 주장하는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성
1) 바울의 영적 리더십에서 배울 지도자의 자질
2)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특성
3. 바울이 보여준 영적 지도자의 역할과 책임
4. 바울의 영적 리더십 스타일
1) 종의 리더십 스타일
2) 청지기적 리더십 스타일
3) 선교사적 리더십 스타일
5.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
1) 믿음의 리더십
2) 본을 보이는 리더십
3) 위기 극복의 리더십
4) 동역의 리더십
5) 기도를 통한 리더십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배경
1) 출신과 생애
2) 바울의 영적 리더십 형성과정
3)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원천
2. 바울이 주장하는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특성
1) 바울의 영적 리더십에서 배울 지도자의 자질
2)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특성
3. 바울이 보여준 영적 지도자의 역할과 책임
4. 바울의 영적 리더십 스타일
1) 종의 리더십 스타일
2) 청지기적 리더십 스타일
3) 선교사적 리더십 스타일
5.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본질
1) 믿음의 리더십
2) 본을 보이는 리더십
3) 위기 극복의 리더십
4) 동역의 리더십
5) 기도를 통한 리더십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5) 기도를 통한 리더십
Ⅲ. 결론
참고문헌
=============================================================================
I. 서론
영적으로 혼탁해 가는 이 시대에 기독교계의 가장 필요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영적
리더십일 것이다. 이 혼돈 된 시대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무장된 영적 지도자로서 교회 안팎
에서 일어난 문제를 해결 할 참다운 지도자를 절실히 요구되고 있지만 오늘날 그러한 지도
자를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세상은 말할 것도 없고 교회 역시 리더십의 기근 현상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때는 주위 사람들에게 희망의 나팔 소리처럼 들리던 교회의 외침이 지금은 이상하게도 매우 힘없는 소리로 들리며 그만큼 세상에 대한 교회의 영향력은 매우 약화되었다. 소금이 그 맛을, 빛이 그 광채를 크게 잃어버리고 말았다 오즈왈드 샌더스, [지도자 바울] (서울: 네비게이토, 1995). p.8.
는 말에
동감하지 않을 수 없다.
신약성서에서 예수님 외에 가장 영향력 있는 영적 지도자를 한 사람만 말하라고 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사도 바울이라고 말 할 것이다. 바울은 신약성서의 많은 부분을 저술하였으며 최초의 선교사로서 중요한 영적 지도자이다. 현대와 같이 복잡하고 급변하는 시대에 복음 전도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영적 리더십은 과연 어떤 것인가 생각할 때 신약성서에 나오는 훌륭한 복음 전도자인 바울의 영적 리더십을 연구한다는 것은 대단히 의의 있는 일이다. 초대교회와 같이 강력한 복음 전도를 회복하기 위하여 바울의 영적 리더십을 연구 히는 일은 대단히 필요하고 유익한 일이라고 본다.
바울은 주님을 만난 후 복음 전도에 있어서 특별한 영적 리더십에 의하여 효과적인 복음
전도에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와 똑같은 성정을 가지고 있었으나 회
심하여 사도가 된 바울의 영적 리더십을 분석하고 그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성서 중심의 문헌 연구이며, 자료들은 여러 가지 주석과 성경학자들의 서적이다. 연구 범위는 바울의 영적 리더십에 영향을 끼친 바울의 생애와 경력 그리고 영적 리더십의 형성과정과 특징,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본질 등이다. 본 연구에서 중시되는 영적 리더십의 본질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바울의 복음 전도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영적 능력이란 말은 그 원천이 하나님의 말씀, 그리스도, 복음, 성령을 통한 능력 톰슨 주석성경 편찬위원회, [톰슨 주석 성경]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7), p.289.
이다. 영적 리더십이란 하나님의 성령으로 능력을 받은 자로서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하나님의 일을 하기 위한 영적인 능력을 가진 지도력을 말한다. 성경적 리더십은 세상의 리더십과는 달리 인간 중심의 리더십이 아니라 하나님 중심이요 말씀중심이요 성령중심의 리더십으로 그 목표는 영혼구혼이고 내용은 사랑이며 방법은 봉사와 헌신과 희생인 것이다. 김승곤, [성경적 리더십] (서울: 태창문화출판사. 1997), p.23.
따라서 영적 리더십에는 영적인 능력과 은사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은사란 성령의 도우심을 받아 얻을 수 있는 각종 은사를 의미한다. 바울 서신에 의한 영적 지도자란 한 집안의 재산을 관리하는 청지기이다(고전 4:1). 지도자는 일을 지휘하며 앞장서서 사람들을 이끄는 사람 곧 다스리는 자이며(고전 12:28) 또한 성도를 지켜 보호하는 감독자(행 20:28)등이 그것인데, 이를 통해 보면 지도자는 성숙한 신앙을 지닌 장로 오스왈드 샌더스, 전게서, p. 43.
라고 볼 수 있다.
II. 본론
1.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배경
1) 출신과 생애
1] 회심 이전
바울은 주후 10년에서 15년 사이에 길리기아 도읍지인 다소라는 고대 도시에서 태어났고,
출생시부터 로마의 시민이었다. 에드가 G 긋스피스, [바울] (서울: 다산글방, 1995), p.12.
또 야곱의 후손이며, 그의 조상들의 종교인 유대교를 신봉하고, 히브리 방언을 사용하며 히브리 관습을 지킨 것으로 보아 히브리인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랑크 굳윈, [바울의 생애], 이종남 역, (서울: 크리스천 서적, 1996), p.20.
본래 유대인으로서 베냐민 지파 사람으로 난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았던 바울의 본명은 사울이며, 장막 만드는 일을 하였다. 그의 인문적 환경을 이루는 요소들은 매우 다양한 언어, 관습, 종교적 그리고 철학적 전통을 가진 대 국제 상업도시라고 할 수 있다. 가정 환경에 대하여 말하자면, 그의 집안은 아주 엄격한 바리새인의 의식을 지키는 유복한 유대인 수공업자 가정이었다. 문화 환경을 보자면 예루살렘에서 랍비식 교육을 받았다. 씨 트레스본탄트, [바울의 생애와 사상] (서울: 여일사, 1992), p.21.
바울은 약 15세기 경 예루살렘으로 갔고 거기서 그의 누이와 함께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친척 중 몇 사람이 그보다 먼저 기독교를 믿었다는 것이다. 오즈왈드 샌더스, 전게서, p.16.
교육적 환경과 관련하여, 그는 바리새인으로 매우 엄격하게 교육을 받았는데, 특별히 가말리엘 문하에서 수학했다. 그 결과 학문적으로 바울은 괄목할 만한 진보를 이룩했다. 학문에 대한 열정이나 성취도에 있어서 모두 동료들보다 앞서 있었다. 종교적인 면에서 하나님께 매우 열심이었던 바울은 한때 유대 최고 법정인 산헤드린 회원이었으며, 상게서, p.17.
모세의 율법을 철저히 지켰고, 21세 경에 랍비가 된 그는 이후에도 구약성서 공부를 계속하였다. 이숙희, p.11.
반면, 회심 이전에는 스데반의 죽음을 주도하였고, 예수 믿는 사람을 박해했으나, 양심적인 박해자였다(행26:9).
2] 회심 이후
바울은 예수님을 만나 다멕색 도상에서 회심하였는데, 당시 하늘에서 빛이 비추어 눈은 떴
으나 보지 못하는 가운데,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이끌려 회심하게 되었다. 바울의 회심에
대하여 씨 트레스문탄트는 주님으로 말마암아 바울에게 임한 부르심은 절대적인 것이었으며, 곧 하나님의 명령이다 씨 트레스문탄트, 전게서, p.31.
라고 주장한다. 회심한지 3년
Ⅲ. 결론
참고문헌
=============================================================================
I. 서론
영적으로 혼탁해 가는 이 시대에 기독교계의 가장 필요한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영적
리더십일 것이다. 이 혼돈 된 시대에 하나님의 말씀으로 무장된 영적 지도자로서 교회 안팎
에서 일어난 문제를 해결 할 참다운 지도자를 절실히 요구되고 있지만 오늘날 그러한 지도
자를 찾아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세상은 말할 것도 없고 교회 역시 리더십의 기근 현상을
피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때는 주위 사람들에게 희망의 나팔 소리처럼 들리던 교회의 외침이 지금은 이상하게도 매우 힘없는 소리로 들리며 그만큼 세상에 대한 교회의 영향력은 매우 약화되었다. 소금이 그 맛을, 빛이 그 광채를 크게 잃어버리고 말았다 오즈왈드 샌더스, [지도자 바울] (서울: 네비게이토, 1995). p.8.
는 말에
동감하지 않을 수 없다.
신약성서에서 예수님 외에 가장 영향력 있는 영적 지도자를 한 사람만 말하라고 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사도 바울이라고 말 할 것이다. 바울은 신약성서의 많은 부분을 저술하였으며 최초의 선교사로서 중요한 영적 지도자이다. 현대와 같이 복잡하고 급변하는 시대에 복음 전도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한 효과적인 영적 리더십은 과연 어떤 것인가 생각할 때 신약성서에 나오는 훌륭한 복음 전도자인 바울의 영적 리더십을 연구한다는 것은 대단히 의의 있는 일이다. 초대교회와 같이 강력한 복음 전도를 회복하기 위하여 바울의 영적 리더십을 연구 히는 일은 대단히 필요하고 유익한 일이라고 본다.
바울은 주님을 만난 후 복음 전도에 있어서 특별한 영적 리더십에 의하여 효과적인 복음
전도에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와 똑같은 성정을 가지고 있었으나 회
심하여 사도가 된 바울의 영적 리더십을 분석하고 그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성서 중심의 문헌 연구이며, 자료들은 여러 가지 주석과 성경학자들의 서적이다. 연구 범위는 바울의 영적 리더십에 영향을 끼친 바울의 생애와 경력 그리고 영적 리더십의 형성과정과 특징, 영적 리더십의 자질과 본질 등이다. 본 연구에서 중시되는 영적 리더십의 본질은 신약성서에 나타난 바울의 복음 전도가 오늘날 어떻게 적용되는가에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영적 능력이란 말은 그 원천이 하나님의 말씀, 그리스도, 복음, 성령을 통한 능력 톰슨 주석성경 편찬위원회, [톰슨 주석 성경]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7), p.289.
이다. 영적 리더십이란 하나님의 성령으로 능력을 받은 자로서 성령의 사역을 통하여 하나님의 일을 하기 위한 영적인 능력을 가진 지도력을 말한다. 성경적 리더십은 세상의 리더십과는 달리 인간 중심의 리더십이 아니라 하나님 중심이요 말씀중심이요 성령중심의 리더십으로 그 목표는 영혼구혼이고 내용은 사랑이며 방법은 봉사와 헌신과 희생인 것이다. 김승곤, [성경적 리더십] (서울: 태창문화출판사. 1997), p.23.
따라서 영적 리더십에는 영적인 능력과 은사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은사란 성령의 도우심을 받아 얻을 수 있는 각종 은사를 의미한다. 바울 서신에 의한 영적 지도자란 한 집안의 재산을 관리하는 청지기이다(고전 4:1). 지도자는 일을 지휘하며 앞장서서 사람들을 이끄는 사람 곧 다스리는 자이며(고전 12:28) 또한 성도를 지켜 보호하는 감독자(행 20:28)등이 그것인데, 이를 통해 보면 지도자는 성숙한 신앙을 지닌 장로 오스왈드 샌더스, 전게서, p. 43.
라고 볼 수 있다.
II. 본론
1. 바울의 영적 리더십의 배경
1) 출신과 생애
1] 회심 이전
바울은 주후 10년에서 15년 사이에 길리기아 도읍지인 다소라는 고대 도시에서 태어났고,
출생시부터 로마의 시민이었다. 에드가 G 긋스피스, [바울] (서울: 다산글방, 1995), p.12.
또 야곱의 후손이며, 그의 조상들의 종교인 유대교를 신봉하고, 히브리 방언을 사용하며 히브리 관습을 지킨 것으로 보아 히브리인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랑크 굳윈, [바울의 생애], 이종남 역, (서울: 크리스천 서적, 1996), p.20.
본래 유대인으로서 베냐민 지파 사람으로 난지 팔일 만에 할례를 받았던 바울의 본명은 사울이며, 장막 만드는 일을 하였다. 그의 인문적 환경을 이루는 요소들은 매우 다양한 언어, 관습, 종교적 그리고 철학적 전통을 가진 대 국제 상업도시라고 할 수 있다. 가정 환경에 대하여 말하자면, 그의 집안은 아주 엄격한 바리새인의 의식을 지키는 유복한 유대인 수공업자 가정이었다. 문화 환경을 보자면 예루살렘에서 랍비식 교육을 받았다. 씨 트레스본탄트, [바울의 생애와 사상] (서울: 여일사, 1992), p.21.
바울은 약 15세기 경 예루살렘으로 갔고 거기서 그의 누이와 함께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친척 중 몇 사람이 그보다 먼저 기독교를 믿었다는 것이다. 오즈왈드 샌더스, 전게서, p.16.
교육적 환경과 관련하여, 그는 바리새인으로 매우 엄격하게 교육을 받았는데, 특별히 가말리엘 문하에서 수학했다. 그 결과 학문적으로 바울은 괄목할 만한 진보를 이룩했다. 학문에 대한 열정이나 성취도에 있어서 모두 동료들보다 앞서 있었다. 종교적인 면에서 하나님께 매우 열심이었던 바울은 한때 유대 최고 법정인 산헤드린 회원이었으며, 상게서, p.17.
모세의 율법을 철저히 지켰고, 21세 경에 랍비가 된 그는 이후에도 구약성서 공부를 계속하였다. 이숙희, p.11.
반면, 회심 이전에는 스데반의 죽음을 주도하였고, 예수 믿는 사람을 박해했으나, 양심적인 박해자였다(행26:9).
2] 회심 이후
바울은 예수님을 만나 다멕색 도상에서 회심하였는데, 당시 하늘에서 빛이 비추어 눈은 떴
으나 보지 못하는 가운데,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에 이끌려 회심하게 되었다. 바울의 회심에
대하여 씨 트레스문탄트는 주님으로 말마암아 바울에게 임한 부르심은 절대적인 것이었으며, 곧 하나님의 명령이다 씨 트레스문탄트, 전게서, p.31.
라고 주장한다. 회심한지 3년
키워드
추천자료
5가지 리더쉽 스타일
영산의 카리스마리더십에 관한 연구
스타일의 전략을 읽고
스타일의 전략 감상문
비즈니스 서비스 산업의 경쟁전략과 리더십
젠 스타일
세종대왕의 리더십 - 세종대왕의 생애를 리더십의 유형으로 정리
호텔경영자의 리더십과 경영성과의 관계
[간호지도자론D]허시와 블랜챠드의 상황모형에 근거한 성숙도와 조직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
창의적 리더의 리더십 연구 <이순신 장군>
대통령이 되기 위한 자질 및 특성 분석과 17대 대선후보별 특성 분석을 통한 정책스타일 조사
[21C]21C(21세기)의 리더십(리더쉽), 21C(21세기)의 사회변화, 21C(21세기)의 기업조직, 21C(...
직무성과(업무성과)의 개념, 직무성과(업무성과)의 리더십(리더쉽), 직무성과(업무성과)의 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