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고기 찬성 | 개고기 식용 찬성 [개고기 식용, 허용하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개고기 찬성 | 개고기 식용 찬성 [개고기 식용, 허용하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ain Opinion. 각 동물의 식용은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것, 개고기를 반대하는 것은 자신의 취향을 다른 이에게 강요하고 다른 취향을 무시하는 행위
#2. Main Opinion. 개고기는 전통적인 음식입니다.
#3. (반대측) 개는 사람을 도우며 함께 평생 살아가는 존재다.
#4. (반대측) 반려동물의 사전적 의미를 거론할 시
1] (반대측) 반려동물은 인간과 같은 집에서 살며, 이름을 붙여주기도 한다.
2] (반대측) 개는 특수성이 있다. (소통여부/마약탐지견/시각장애인 보조견)
#5. (반대측) 개고기는 대체재가 많다.
#6. (반대측) 개고기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7. (반대측) 현재 사회인식에서, 개는 애완동물로 보는 것이 다수다.
#8. (반대측) 개고기 합법화 시, 비위생적인 고기가 유통될 수 있다.
#9. (반대측) 개고기 제조과정이 매우 잔인하다. (육질을 위해 몽둥이로 때림)
#10. (반대측) 개고기를 먹는 전통은 악습이다. 모든 전통을 유지해야 할 이유는 없다. (외국의 전통: 히잡, 할례 등의 언급)
#11. (반대측) 개고기 합법화 시, 외국에서 우리나라를 보는 시선이 더욱 안 좋게 될 것이다.
#12. (반대측) 모든 동물을 먹을 수 있어야 한다면, 야생동물도 먹어야 하는가?
#13. (반대측) 개는 전 세계적으로 먹어오지 않았다.
1] (반대측) 그래도 서양의 입장을 고집할 시
#14. (반대측) 개고기를 먹는 이유가 OOO(예. 남성성) 때문이다. 등...
1] 남성성, 개고기를 먹을 수 있는 것을 자랑스러워하기 때문
2] 남성의 연대감, 직장 상사의 권유 때문

본문내용

유통되는 식으로요.
우려하는 것처럼 버려진 유기견을 잡아다가 마음대로 도살하는 것은 법적으로 걸러지게 될 것이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합법화를 통해 위생상태에 대한 국가의 감시를 거치게 하는 것이, 지금의 개고기의 유통보다 훨씬 위생적일 것입니다. 개고기의 위생적인 측면을 생각하신다면, 오히려 더욱 빠르게 합법화를 추진해야 할 것입니다.
#9. (반대측) 개고기 제조과정이 매우 잔인하다. (육질을 위해 몽둥이로 때림)
----------------------------------------------------------------
개고기 제조과정의 잔인성을 고치려면 오히려 합법화를 해야 합니다. 합법화하여 공식적으로 그러한 제조법을 금지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용으로 키워지는 개들과 애완용으로 키워지는 개들을 차별을 둘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더더욱 문제가 될 여지가 줄어들 것입니다
#10. (반대측) 개고기를 먹는 전통은 악습이다. 모든 전통을 유지해야 할 이유는 없다. (외국의 전통: 히잡, 할례 등의 언급)
----------------------------------------------------------------
어떻게, 히잡과 할례를 개고기 섭취와 동일선상에서 볼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할례와 같은 경우에는 전 세계가 가입되어 있는 인권협약에서 인권문제에 걸리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문제가 되는 것이고요.
이처럼 우리가 흔히 악습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은 인권과 약자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로 배제되어 왔던 것입니다. 그리고 개고기는 인권을 침해하지 않습니다. 이를 악습이라고 부르는 것 자체가 잘못되었습니다.
#11. (반대측) 개고기 합법화 시, 외국에서 우리나라를 보는 시선이 더욱 안 좋게 될 것이다.
----------------------------------------------------------------
서양우월주의가 문화상대주의를 이긴다고 보십니까? 각 나라의 문화는 존중되어야 합니다. 서양으로부터 배울 것도 있으나, 배울 필요가 없는 것들도 있습니다. 서양의 것이, 옳다고, 서양의 시선이 두려워서 우리가 무조건 그들의 것을 따라야 한다는 것은 보편성의 폭력의 일종입니다.
#12. (반대측) 모든 동물을 먹을 수 있어야 한다면, 야생동물도 먹어야 하는가?
----------------------------------------------------------------
우선, 개는 야생동물이 아닙니다. 그리고, 야생동물처럼, 개의 종의 다양성을 보존해야 하고 그런 차원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개와 야생동물의 보존 문제를 동일시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13. (반대측) 개는 전 세계적으로 먹어오지 않았다.
----------------------------------------------------------------
전 세계적으로 먹어오지 않았다고 말씀하시는데, 우리사회에선 먹어왔습니다. 외국에서 개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사회가 그들을 따라야 할 이유는 되지 않습니다. 우리만의 문화도 있는 법입니다.
주관적인 서양의 시선은 이 토론에서 거론하지 말고, 정말로 개고기를 반대해야만 하는 논리적인 입장을 얘기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1] (반대측) 그래도 서양의 입장을 고집할 시
--------------------------------------------------------------
EU에서는 서로의 식문화에 대해서 각 나라가 서로 존중해줘야 한다고 얘기했습니다.
이게 서양의 공식적인 입장입니다. 정말로 개고기를 반대해야만 하는 논리적인 입장을 말씀해 주십시오.
#14. (반대측) 개고기를 먹는 이유가 OOO(예. 남성성) 때문이다. 등...
----------------------------------------------------------------
1] 남성성, 개고기를 먹을 수 있는 것을 자랑스러워하기 때문
=> 개고기를 먹으며 남성성을 강조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2] 남성의 연대감, 직장 상사의 권유 때문
=> 남성들의 60%가 개고기를 먹고, 여성의 50%가 개고기를 먹는다고 합니다. 이러한 10%의 차이를 남성의 연대감, 직장 상사의 권유 때문이라고 단정 짓기엔 너무 적은 수치이며, 그 10%가 오로지 남성의 연대감 때문이라고도 단정 지을 근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리고, 개고기를 먹는 주된 이유는 보양하기 위해서, 또는 맛있어서입니다. 남성성이 주된 이유가 아닙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7.1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