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결심하기
2. 책 읽는 시간 확보하기
3. 책 읽기 시작
4. 지식과 정보가 돈이 되는 과정
5. 절약을 습관화 하기
6. 노트 작성하기
7. 책쓰기
8. 좋은사람되기&인간관계
2. 책 읽는 시간 확보하기
3. 책 읽기 시작
4. 지식과 정보가 돈이 되는 과정
5. 절약을 습관화 하기
6. 노트 작성하기
7. 책쓰기
8. 좋은사람되기&인간관계
본문내용
할지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저는 첫째가 태어나고 나서 ‘어떻게 하면 이 아이를 사회에 꼭 필요한 사람으로 양육할 수 있을까?’ ‘행복한 아이로 양육할 수 있을까?’ 많은 고민을 했기에 자녀 교육 책을 먼저 읽었습니다. 그러면서 나를 돌아보는 책을 읽게 되었고, 책을 읽다 같은 작가의 다른 책을 찾아서 읽었습니다. 그림책에 관심이 생겨 그림책 관련 책들을 읽었습니다. 그림책 심리지도사2급 자격등도 취득하였습니다. 요즘은 경제서, 재테크, 투자 관련 책을 읽고 있습니다. 관심분야 책을 먼저 시작해서 읽다 보니 계속 읽을 책들이 생겨서 좋았습니다. 도서관에서 빌려서 읽기도 하고, 중고서점에서 사서 읽기도 합니다. 도서관에 없는 책은 희망도서 신청을 하기도 하고요, 희망도서 신청을 하면 좋은 점은 책이 도착하면 내가 먼저 새 책을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도서관 교차대출 서비스도 있습니다. 필요한 도서가 타 도서관에 있을 경우 교차대출을 신청하면 내가 이용하는 도서관에서 대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반납도 내가 대출한 도서관에 반납하면 됩니다.
2)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에서 사람들이 좋다고 서평을 쓴 것들을 읽어보고 제목을 적어두는 것입니다. 그렇게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검증된 책을 추천받는 책들은 검증이 되었기에 좋은 책들이 많을 수 있습니다. 물론 나와 수준이 맞지 않고 어려운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3) 저자는 책을 읽고 나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 그것만은 반드시 행동에 옮기려고 애씁니다. 저는 이 부분을 읽고 너무 반가웠습니다. 저도 그렇게 했거든요. 책의 모든 것을 내 것으로 만들기에는 힘들기도 하고, 빨리 지치게 될 것 같아 한문장만 새기자라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 그 문장대로 살아가려고 노력합니다.
가장 쉬운 것을 적어야 실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쉽고 만만한 것부터 적습니다. 하나씩 성취해가는 기쁨을 맛보며 꿈의 난이도를 점점 높여가는 것입니다. 시간이 갈수록 어렵고 힘든 것도 척척 해낼 수 있다고 합니다.
4) 저는 이렇게 했습니다. <<화내서 될 일이 아닙니다>>를 읽고는 화가 나면 100부터 3씩 줄여서 세어보자. 1부터 10까지 세는 것은 너무나 쉽게 할 수 있기에 이성을 통제하는 것이 어렵지만 100부터 3씩 줄여서 세어보려면 계산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성이 통제가 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실제로 해보니 효과가 좋고, 내가 왜 화가 났는지 다시 생각해 보고,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 할 있을까? 라는 생각까지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한문장 새기고 실천하기를 합니다.
5) 책을 읽고 나면 어떤 식으로든 글을 씁니다. 내가 구입한 책은 밑줄도 긋고, 접기도 해서 밑줄 그은 것을 바탕으로 글을 써둡니다. 그럼 빌린 책은 밑줄도 못 치는데 어떻게 하나요? 저자 같은 경우는 메모지에 페이지를 적고, 첫 단어 몇 개를 적어두고, 다 읽고 나면 그 문장들을 모두 적어 자신의 생각을 간단하게 적어둔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포스트
2)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에서 사람들이 좋다고 서평을 쓴 것들을 읽어보고 제목을 적어두는 것입니다. 그렇게 책을 읽는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검증된 책을 추천받는 책들은 검증이 되었기에 좋은 책들이 많을 수 있습니다. 물론 나와 수준이 맞지 않고 어려운 것도 있을 수 있습니다.
3) 저자는 책을 읽고 나서 내가 실천할 수 있는 것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 그것만은 반드시 행동에 옮기려고 애씁니다. 저는 이 부분을 읽고 너무 반가웠습니다. 저도 그렇게 했거든요. 책의 모든 것을 내 것으로 만들기에는 힘들기도 하고, 빨리 지치게 될 것 같아 한문장만 새기자라는 마음으로 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 그 문장대로 살아가려고 노력합니다.
가장 쉬운 것을 적어야 실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쉽고 만만한 것부터 적습니다. 하나씩 성취해가는 기쁨을 맛보며 꿈의 난이도를 점점 높여가는 것입니다. 시간이 갈수록 어렵고 힘든 것도 척척 해낼 수 있다고 합니다.
4) 저는 이렇게 했습니다. <<화내서 될 일이 아닙니다>>를 읽고는 화가 나면 100부터 3씩 줄여서 세어보자. 1부터 10까지 세는 것은 너무나 쉽게 할 수 있기에 이성을 통제하는 것이 어렵지만 100부터 3씩 줄여서 세어보려면 계산을 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성이 통제가 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실제로 해보니 효과가 좋고, 내가 왜 화가 났는지 다시 생각해 보고,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 할 있을까? 라는 생각까지도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한문장 새기고 실천하기를 합니다.
5) 책을 읽고 나면 어떤 식으로든 글을 씁니다. 내가 구입한 책은 밑줄도 긋고, 접기도 해서 밑줄 그은 것을 바탕으로 글을 써둡니다. 그럼 빌린 책은 밑줄도 못 치는데 어떻게 하나요? 저자 같은 경우는 메모지에 페이지를 적고, 첫 단어 몇 개를 적어두고, 다 읽고 나면 그 문장들을 모두 적어 자신의 생각을 간단하게 적어둔다고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포스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