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글말의 특성과 대별되는 입말의 특성을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를 바탕으로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한국어표현교육론]글말의 특성과 대별되는 입말의 특성을 말하기 교육의 세부 목표를 바탕으로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입말과 글말이 갖는 특성
2)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세부적 목표

3. 결론

본문내용

더욱더 좋다.
12) 상황과 참여자, 목적에 따른 적절한 의사소통기능을 성취하도록 한다.
갈래 글이나 문종중심의 글을 배울 수 있도록 수강생으로 하여금 배우게 하면, 글쓰기의 실력이 향상 될 수 있다. 사적인 자리가 아닌 공적인 자리에서 격식에 알맞은 한자어와 같은 어휘와 종결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입말은 만나는 사람에 따라서 높임말을 사용할 것인지 혹은 격식을 차리지 않아도 되는지가 결정된다. 그에 따라서 상황에 맞는 단어와 종결어미를 사용해야 한다.
13) 면대면 대화에서 화용적 관습과 사회언어학적 규칙을 적절히 활용하도록 한다.
문어(글말)의 경우 한국 사회에서 의례적으로 통과되는 인사말이나 관용표현을 사용하면 사람들 사이에서 의사소통이 좀 더 쉬워질 수 있다. 화용적 관습은 어느 정도 한국어에서는 일정한 형식과 문법이 정해져 있어서 유행에 민감하지 않다.
입말의 경우 사람들 사이에서 쉽사리 사용되는 인사말로 시작을 하면 대화 자체가 쉽게 풀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집단의 특징에 따라서 어휘와 관용적 표현이 다르게 사용되며, 쉽사리 집단과 근접해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예시) 오늘 머리카락이 예쁘네요. / 옷 색깔이 예뻐요
이태원 클라쓰 봤냐? / 어제 김사부2 봤냐? / 밥먹었냐?
14) 표정과 시선, 몸짓, 제스처, 거리 등의 동작언어를 사용하여 의미를 전달하도록 한다.
글말의 경우 글 속에 등장인물의 시선, 몸짓, 제스처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을 경우에는 의미를 전달할 수는 있다. 그러나 초심자가 글말을 통해 표정과 시선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입말의 경우에는 몸으로 표현하는 비언어가 상대편과 대화를 할 때 훨씬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몸으로 표현하는 비언어가 의사소통을 전달할 때 60%를 차지한다. 다만, 각 문화권마다 사용하는 제스처가 다르기 때문에 조심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시) 손가락으로 브이로 표시하는 것은 영국에서는 욕이 된다.
엄지척은 호주에서는 거절을 의미한다.
그리스에서는 ‘입 닥치고 가만있어라’라는 뜻이다.
중동국가에서는 성적행위를 묘사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15) 강조하기, 바꿔 말하기, 도움 요청하기 등의 다양한 말하기 책략을 개발하여 활용하라.
글말의 경우 단어나 문법을 동일하게 사용할 경우 상대편이 듣기에 지루함을 쉽게 느끼게 된다. 지루함을 느끼게 되면,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집중할 수 없게 된다. 그렇기에 같은
  • 가격1,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8.12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46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