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연구의 범위
제 2 장 본 론
2-1. 초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2-2. 중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2-3. 고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2-4. 오류 통계 통합 비교 분석
제 3 장 결 론
참 고 문 헌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연구의 범위
제 2 장 본 론
2-1. 초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2-2. 중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2-3. 고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2-4. 오류 통계 통합 비교 분석
제 3 장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분류하고 이에 따른 비율을 정리했다.
통계 자료에서 중국어권 발음 오류를 분류한 기준은 교재 허용, 김선정, 『대조언어학』, 소통, 2013.04.25
에 나오는 중국인 학습자 오류에 따른 것으로 다음과 같다.
자음에서는 첫째, 평음 · 경음 · 격음의 세 가지를 구별해야하므로 쉬운 일이 아닐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중국어의 자음에 없는 평음 /ㄱ, ㄷ, ㅂ/, /ㅈ/, /ㅅ/을 발음할 때 오류가 더 빈번할 것으로 예측한다.
둘째, 한국어의 성문 마찰음 /ㅎ/과 중국어의 연구개 마찰음/h/[x]는 유사하여 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한다.
셋째, 한국어 비음/ㅁ, ㄴ/을 발음할 때 중국어의 /m, n/과 발음 차이로 중국학습자들의 발음 오류를 예측할 수 있다.
넷째, 한국어의 유음/ㄹ/은 /l/과 /r/의 두 가지 변이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중국어에는 /l/하나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어권 학습자가 유음/ㄹ/을 발음할 때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측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의 유음/l/과 유성 마찰음 /r/ 간섭 때문에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유음 /ㄹ/발음을 /ㄹㄹ/로,
다섯 째, 중국어에는 받침이 /ㄴ,ㅇ/만 있어 받침 발음이 어려울 수 있다.
여섯 째, 국어 설측음 [l]이 음절 종성에 실현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중국어 /l/[l]은 초성에만 나타난다. 왕여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유음 대조 연구, 학위(석사) 논문, 부산대학교, 2016. 08
일곱 째,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ㅎ/ 발음이 강조된다.
모음에서는 첫째, 단모음 /ㅓ/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움을 격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ㅡ/와 /ㅓ/를 혼동하여 발음하거나 중국어의/e/[?]로 발음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단모음 /ㅗ/과 중국어의 /o/는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움을 격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ㅗ/와 /ㅓ/를 혼동하여 발음하거나 중국어의 /o/로 발음하는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셋째, 단모음 /ㅡ/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움을 격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ㅡ/와 /ㅜ/를 혼동하여 발음하거나 중국어의 /e/로 발음하는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넷째, 단모음 /ㅔ/와 /ㅐ/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ㅔ/와 /ㅐ/를 구별하지 못하고 중국어 모음의 변이음 /e/[e]로 발음하는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섯 째, 이중모음 /ㅢ/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ㅢ/발음 규칙을 파악하지 못하고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여섯 째, 단모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 경우 그 단모음이 포함된 이중모음 역시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ㅕ, ㅛ/와 /ㅖ, ㅒ/, /ㅞ, ㅙ/등의 발음에도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자모 체계 외에도 생길 수 있는 오류의 기준으로는 중국어에는 연음현상이 없어 음절 그대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으’와 ‘의’ 발음과 ‘오’와 ‘어’의 발음을 구분한다. 또한 음운규칙에 매우 생소해하며, 지나친 악센트 경계를 갖고 있다 등을 통해 언어 간 간섭을 배제적 간섭과 침입적 간섭으로 분류했다.
여기서 말하는 간섭이란 전이에서 시작되는데 전이란 외국어 학습에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습자의 모국어가 학습 대상 언어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일컫는 말로 긍정적 전이, 부정적 전이, 무전이로 나뉘는 와중에 부정적 전이에 속하는 개념이다. 부정적 전이는 학습 내용이 두 언어에서 같을 때 일어나며 언어 간 간섭과 언어 내 간섭으로 나뉘는데 언어 간 간섭은 언어 간 범주의 차이와 구조, 규칙, 의미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며 배제적이거나 침입적이다. 따라서, 우리가 통계 자료를 보고 분류한 배제적 간섭은 학습 대상 언어의 어떠한 규칙이 학습자의 모국어에는 없어서 일어나는 간섭을 말하고, 침입적 간섭은 학습자가 모국어에 있는 어떠한 요소가 학습 대상 언어의 것과 서로 달라서 학습 대상 언어의 학습을 방해하는 간섭을 말한다. 허용, 김선정, 『대조언어학』, 소통, 2013.04.25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 수 있고,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그 이유, 도출된 결론으로 오류를 예방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지 등과 관련한 체계적인 학습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 장. 본 론
2-1. 초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국립 국어원 홈페이지 내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에서 오류 주석 말뭉치 검색을 통해 급수 당 150개의 사례를 수집하고 Excel을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에 대한 분석을 해보았다. 제일 처음으로 분석해볼 것은 초급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 중 제일 비중이 높았던 배제적 간섭이다.
먼저, 배제적 간섭을 중심으로 20개까지의 언어 간 간섭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평음/격음/경음 구분 오류가 제일 많이 보이고, 특히 예상과 동일하게 중국어의 자음에 없는 평음 /ㄱ/, /ㄷ/, /ㅂ/, /ㅈ/, /ㅅ/을 발음할 때 오류가 더 빈번했으며, 평음에서 경음으로 오류를 보이는 학습자들보다 평음에서 경음으로 오류를 보이는 학습자들이 많았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서 → 인터넷에써, 딸하고 → 딸하꼬 등 한국어에는 없는 평음 /ㅅ/ 발음을 경음 /ㅆ/으로, 평음 /ㄱ/ 발음을 경음 /ㄲ/으로 발음한다.
다음으로 보이는 건 한국어의 단모음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나타나는 대치 오류이고, 단모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 경우 그 단모음이 포함된 이중모음 역시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ㅕ, ㅛ/와 /ㅖ, ㅒ/, /ㅞ, ㅙ/등의 발음에도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한 것과 동일하게 이중모음에서의 대치 오류가 많이 보인다. 예를 들면, ‘멋진 겅치(경치)도 보았습니다.’ 처럼 /ㅕ/ 발음을 혼동하고, ‘기분이 너무 긴장하고
통계 자료에서 중국어권 발음 오류를 분류한 기준은 교재 허용, 김선정, 『대조언어학』, 소통, 2013.04.25
에 나오는 중국인 학습자 오류에 따른 것으로 다음과 같다.
자음에서는 첫째, 평음 · 경음 · 격음의 세 가지를 구별해야하므로 쉬운 일이 아닐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중국어의 자음에 없는 평음 /ㄱ, ㄷ, ㅂ/, /ㅈ/, /ㅅ/을 발음할 때 오류가 더 빈번할 것으로 예측한다.
둘째, 한국어의 성문 마찰음 /ㅎ/과 중국어의 연구개 마찰음/h/[x]는 유사하여 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한다.
셋째, 한국어 비음/ㅁ, ㄴ/을 발음할 때 중국어의 /m, n/과 발음 차이로 중국학습자들의 발음 오류를 예측할 수 있다.
넷째, 한국어의 유음/ㄹ/은 /l/과 /r/의 두 가지 변이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중국어에는 /l/하나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국어권 학습자가 유음/ㄹ/을 발음할 때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측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의 유음/l/과 유성 마찰음 /r/ 간섭 때문에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 할 수 있다. 유음 /ㄹ/발음을 /ㄹㄹ/로,
다섯 째, 중국어에는 받침이 /ㄴ,ㅇ/만 있어 받침 발음이 어려울 수 있다.
여섯 째, 국어 설측음 [l]이 음절 종성에 실현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중국어 /l/[l]은 초성에만 나타난다. 왕여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유음 대조 연구, 학위(석사) 논문, 부산대학교, 2016. 08
일곱 째, 중국어권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ㅎ/ 발음이 강조된다.
모음에서는 첫째, 단모음 /ㅓ/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움을 격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ㅡ/와 /ㅓ/를 혼동하여 발음하거나 중국어의/e/[?]로 발음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단모음 /ㅗ/과 중국어의 /o/는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움을 격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ㅗ/와 /ㅓ/를 혼동하여 발음하거나 중국어의 /o/로 발음하는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셋째, 단모음 /ㅡ/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움을 격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ㅡ/와 /ㅜ/를 혼동하여 발음하거나 중국어의 /e/로 발음하는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넷째, 단모음 /ㅔ/와 /ㅐ/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ㅔ/와 /ㅐ/를 구별하지 못하고 중국어 모음의 변이음 /e/[e]로 발음하는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섯 째, 이중모음 /ㅢ/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발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ㅢ/발음 규칙을 파악하지 못하고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여섯 째, 단모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 경우 그 단모음이 포함된 이중모음 역시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ㅕ, ㅛ/와 /ㅖ, ㅒ/, /ㅞ, ㅙ/등의 발음에도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자모 체계 외에도 생길 수 있는 오류의 기준으로는 중국어에는 연음현상이 없어 음절 그대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으’와 ‘의’ 발음과 ‘오’와 ‘어’의 발음을 구분한다. 또한 음운규칙에 매우 생소해하며, 지나친 악센트 경계를 갖고 있다 등을 통해 언어 간 간섭을 배제적 간섭과 침입적 간섭으로 분류했다.
여기서 말하는 간섭이란 전이에서 시작되는데 전이란 외국어 학습에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학습자의 모국어가 학습 대상 언어의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일컫는 말로 긍정적 전이, 부정적 전이, 무전이로 나뉘는 와중에 부정적 전이에 속하는 개념이다. 부정적 전이는 학습 내용이 두 언어에서 같을 때 일어나며 언어 간 간섭과 언어 내 간섭으로 나뉘는데 언어 간 간섭은 언어 간 범주의 차이와 구조, 규칙, 의미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며 배제적이거나 침입적이다. 따라서, 우리가 통계 자료를 보고 분류한 배제적 간섭은 학습 대상 언어의 어떠한 규칙이 학습자의 모국어에는 없어서 일어나는 간섭을 말하고, 침입적 간섭은 학습자가 모국어에 있는 어떠한 요소가 학습 대상 언어의 것과 서로 달라서 학습 대상 언어의 학습을 방해하는 간섭을 말한다. 허용, 김선정, 『대조언어학』, 소통, 2013.04.25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할 때 자주 범하는 오류에 대해 세부적으로 알 수 있고, 학습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그 이유, 도출된 결론으로 오류를 예방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지 등과 관련한 체계적인 학습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 2 장. 본 론
2-1. 초급 중국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
국립 국어원 홈페이지 내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에서 오류 주석 말뭉치 검색을 통해 급수 당 150개의 사례를 수집하고 Excel을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에 대한 분석을 해보았다. 제일 처음으로 분석해볼 것은 초급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 중 제일 비중이 높았던 배제적 간섭이다.
먼저, 배제적 간섭을 중심으로 20개까지의 언어 간 간섭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평음/격음/경음 구분 오류가 제일 많이 보이고, 특히 예상과 동일하게 중국어의 자음에 없는 평음 /ㄱ/, /ㄷ/, /ㅂ/, /ㅈ/, /ㅅ/을 발음할 때 오류가 더 빈번했으며, 평음에서 경음으로 오류를 보이는 학습자들보다 평음에서 경음으로 오류를 보이는 학습자들이 많았다. 예를 들면, 인터넷에서 → 인터넷에써, 딸하고 → 딸하꼬 등 한국어에는 없는 평음 /ㅅ/ 발음을 경음 /ㅆ/으로, 평음 /ㄱ/ 발음을 경음 /ㄲ/으로 발음한다.
다음으로 보이는 건 한국어의 단모음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중국어의 모음이 없으므로 나타나는 대치 오류이고, 단모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 경우 그 단모음이 포함된 이중모음 역시 정확하게 발음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ㅕ, ㅛ/와 /ㅖ, ㅒ/, /ㅞ, ㅙ/등의 발음에도 오류가 생길 것으로 예측한 것과 동일하게 이중모음에서의 대치 오류가 많이 보인다. 예를 들면, ‘멋진 겅치(경치)도 보았습니다.’ 처럼 /ㅕ/ 발음을 혼동하고, ‘기분이 너무 긴장하고
추천자료
전공 초등 영어 정리(전공영어)
초등영어 교수법 요약
독일의 사회언어학
한국어 발음이 영어 발음에 끼치는 영향
영어롤플레이(영어역할놀이, 영어역할극)의 정의와 종류, 영어롤플레이(영어역할놀이, 영어역...
각 나라별 화자들의 한국어 발음 오류,(중국,일본,영어,베트남 )발음 습관,한국어 학습시 발...
연구계획서 ) 모국어 간섭이 중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과 관련된 오류 예시를 5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과 관련된 오류 예시를 5개 이상 들고 이에 대한 교육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