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교육 위기의 판단 준거 및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교육 위기의 판단 준거 및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교육 위기의 판단 준거 및 사례

1. 학교복지 부재의 현실

2. 무너지는 교권

3. 수업시간은 잠자는 시간

4. 수업시간에 앉아는 있으나 수업을 듣지 않는다.

5. 무너지는 교사들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생님들은 똑같은 것을 배우라고 요구하세요.\" 더 이상 학교교육에는 희망이 없다며, 학교를 떠나는 것은 자기 주장이 강한 10대들뿐이 아니다. 교육을 진지하게 생각하는 학부모들도 제도교육에 대한 불신으로 대안학교로 전학시키거나 홈스쿨링을 도모하고 있다.
\"졸업장이 아니라면, 학교에 다니겠는가? 라는 질문에 다니지 않겠다 44%, 중간이다 20.2%, 다니겠다 35.8%로 답하여 46% 이상의 학생들이 학교에 다니는 의미를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자퇴하고 싶은 심리적 상태에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하면, 현재의 고등학교 교육은 상급학교 진학을 목표로 이루어지고 있어 40% 이상의 학생에 대한 다양한 욕구에 대처하고 있지 못함은 물론, 이들을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 수업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 학교 수업에 흥미가 없어 하루 종일 자거나 딴 생각만 하는 학생들, 이런 학생들이 겪는 좌절감 패배감 소외감의 해결을 위해서 지금의 학교는 전혀 체계적인 대응을 못하고 있다. 우리 학교는 어느 수준의 점수를 얻지 못하면 상급 학년에서의 학습이 불가능하다는 기준선도 없이 성적은 늘 등수로만 매겨지고 학력 저하의 학생들에 대한 아무런 조치와 배려 없이 끌고 가고 있다.
학교는 이들의 문제에 책임을 지려 하지 않고 그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를 개인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 그래서 학교에서는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학교를 스스로 떠나는 학생들에 대해서도 학교는 속수무책이다.
* 참고문헌
아동 청소년 정신발달 : Gilmore Pamela Meersand 저, 이지연, 이지현 옮김 / 2018 / 학지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청소년권리와 청소년복지 : 이혜원, 이봉주 외 3명 저 / 2008 / 한울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청소년복지의 이해 : 정규석, 김영미 저 / 2017 / 학지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9.17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6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