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 평가 결과의 측정
I. 결과 측정의 대상
II. 결과 측정의 기준
1. 절대적 기준
2. 상대적 기준
III. 측정 자료의 출처
1. 클라이언트
2. 프로그램 실천가
3. 클라이언트 주위의 사람
4. 기록된 자료
5. 판정자
* 참고문헌
I. 결과 측정의 대상
II. 결과 측정의 기준
1. 절대적 기준
2. 상대적 기준
III. 측정 자료의 출처
1. 클라이언트
2. 프로그램 실천가
3. 클라이언트 주위의 사람
4. 기록된 자료
5. 판정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가자가 직접 관찰할 수 없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가 학교 수업시간에서의 행동, 환자의 병동 안에서 행동, 클라이언트 가정의 식사시간에서의 행동 등을 관찰하는 경우 이들과 자주 또는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도 제한점이 있다.
주위사람들의 관찰이 클라이언트의 특정 상황에서의 특정 행동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어떤 특정 행동의 변화에 관한 자료수집을 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적절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변화 및 의도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좋은 자료의 출처가 되지 못한다.
4) 기록된 자료
클라이언트와의 개입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사람들로부터의 자료도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경찰관과의 접촉, 병원 또는 시설에서의 입원 또는 퇴원, 복지 서비스 이용빈도 등의 기록은 객관적으로 클라이언트의 행동변화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을 이용하는데에는 자료의 기록기준이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누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수집한 자료인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5) 판정자
판정자는 자료에 대한 상당히 복잡한 판정을 하도록 요청된 자를 말한다. 판정자는 클라이언트, 실천가, 기록된 자료, 클라이언트 주위사람 등으로부터 자료에 의해서 종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사람이므로 판정자는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판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자격과 실무경험이 있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도 특정자료의 판정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가 학교 수업시간에서의 행동, 환자의 병동 안에서 행동, 클라이언트 가정의 식사시간에서의 행동 등을 관찰하는 경우 이들과 자주 또는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도 제한점이 있다.
주위사람들의 관찰이 클라이언트의 특정 상황에서의 특정 행동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어떤 특정 행동의 변화에 관한 자료수집을 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적절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변화 및 의도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좋은 자료의 출처가 되지 못한다.
4) 기록된 자료
클라이언트와의 개입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사람들로부터의 자료도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경찰관과의 접촉, 병원 또는 시설에서의 입원 또는 퇴원, 복지 서비스 이용빈도 등의 기록은 객관적으로 클라이언트의 행동변화에 관련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자료들을 이용하는데에는 자료의 기록기준이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누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수집한 자료인지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5) 판정자
판정자는 자료에 대한 상당히 복잡한 판정을 하도록 요청된 자를 말한다. 판정자는 클라이언트, 실천가, 기록된 자료, 클라이언트 주위사람 등으로부터 자료에 의해서 종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사람이므로 판정자는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이어야 한다. 판정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자격과 실무경험이 있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도 특정자료의 판정에 대한 훈련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사례관리의 등장배경과 개념 및 특성, 사례관리자의 역할
최근 사회복지 현장과 학계에서 프로그램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
[사회복지서비스평가]사회복지서비스평가(사회복지평가)의 종류, 의의, 사회복지서비스평가(...
평가조사의 이해
<사회복지실천 면담의 종결과 평가 단계> 종결단계(종결유형, 종결에 대한 반응, 사후세션과 ...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 복지관의 평가 방법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 기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핵심 요약
[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의 주요개념, 사회문제와 이슈화, 정책의...
[사회복지조사론] 인지행동치료가 뇌경색질환자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