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견만리(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 편) [독서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명견만리(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 편) [독서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본 도서를 선택한 이유

2. 본 도서의 핵심 주제와 주요 내용

3. 본 도서의 내용중에서 공유하고 싶은 내용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5. 본 도서의 시사점

본문내용

가진 사람이 모여서 융합할 수 있다고 했다.
아파트는 나무형 구조로 집으로 들어가기 위한 방법과 나오는 방법이 하나의 방법 밖에 없다고 한다. 자연스레 만나는 사람이 한정되고 자연스레 이웃간의 갈등 상황도 많아지게 된다. 요즘의 아파트 단지에는 커뮤니티 센터라고 하여 공동의 공간이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산 증식의 수단이 아니라 살아가는 공간으로, 이웃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공간으로 주거지가 발전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그만큼 우리 단지 내의 사람들과 단지 외의 사람들을 편 가르듯 하여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우리는 건축물을 만들지만 그 건축물은 다시 우리를 만든다.”는 윈스턴 처칠의 말을 다시 생각해 볼 때이다.
모든 인프라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농촌을 떠나는 젊은이들이 많은 건 막을 수 없는 현실이 됐지만 선진국들은 농촌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지 않고 생각의 전환을 통해 젊은이들이 찾는 미래형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도 농촌에 노인만 남아 사회적, 경제적 문제가 급증하고 그 부담비용이 국가에 미치를 영향을 줄이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현대 사회의 문제는 사람이 행복하지 않다는데 있다 그리고 그것은 개인의 잘못이 아닌 사회적 책임도 있다는 부분에 공감해서 호주에서 시작한 \'정신건강 응급처리 센터\' 같은 시설을 우리나라에도 도입해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같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활동이 더 줄어들어서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 더 어려운 지금이야말로 개인의 외로움을 푸는 \'연결\'에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3포 세대\'로도 모자라 모든 것을 포기한다는 \'다포 세대\'까지...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우리보다 못한 사람들을 돌아볼 시간을 외면하고 살았지만 그들이 없으면 우리의 세상은 더 각박해질 수 밖에 없기에 사람과 사람을 잇고 공간과 공간을 연결해 함께 살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영국이나 유럽의 선진국들도 우리나라 만큼 사회적 문제가 산적해 있지만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지 않고 사회적 문제로 논의를 시작해 많은 진전을 이룬 만큼 우리도 개인의 불행이 사회적 불행으로 옮겨가기 전에 조금이라도 빨리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열심히 일해도 보상을 받을 수 없다면 사람은 희망을 잃고 포기하게 된다. 지금 젊은이들이 모든 것을 포기한 \'다포세대\'라 불리는 건 사회를 구성하는 기성세대에게도 책임이 있다. 아파트 투기를 통해 개인의 부는 늘었지만 그로 인해 젊은이들은 희망을 잃고 그로 인해 모든 것을 포기해 더 이상 사회가 존속하기 힘들게 됐다. 74%가 상속부자인 우리나라는 젊은이들이 꿈을 더이상 꾸지 않게 만들고 있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그에 따른 보상이 없는데 열심히 살고자 하는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그래서 가난한 어린이가 가난한 대학생이 되고 가난한 회사원이 되었다가 가난한 부모가 되어 다시 가난한 어린이를 낳는 악순환을 끊지 못하면 우리나라의 미래는 없다. 아직까지는 교육을 통해 상위층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있는 만큼 초기 교육에 지원을 해서 가난의 대물림을 끊고 공정하게 경쟁하는 사회를 만들어 희망의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
4. 본 도서를 읽고 느낀점
<명견만리 공존의 시대 불평등, 병리, 금융, 지역편, 모두를 위한 공존의 시대를 말하다>를 읽고 생각이 든 것은 사회의 문제는 서로 얽히고 설켜 있는 관계 속에서 일아난다는 것이다. 20:80의 법칙이란 것이 있다. 80%의 빈곤층과 20%의 부유층으로 사회가 양분된다는 것으로, 상위 20%가 전체 부의 80%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론. 19세기 영국의 부와 소득 유형을 연구하던 중에 발견한 부의 불균형 현상이다. 이 책에서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10.26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8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