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책봉채계의 특징
3. 사료비판의 주관성 - 남조선 경영론
4. "인식'이란 단어의 함점
2. 책봉채계의 특징
3. 사료비판의 주관성 - 남조선 경영론
4. "인식'이란 단어의 함점
본문내용
또한 이러한 정설 혹은 다른 가설의 패러다임을 전복시키는 다른 설명방식 역시 하나의 가설에 불과하다는 것을 주지 할 필요가 있다.
수많은 역사인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개개인의 자유의지에 맡겨야 한다. 역사 인식은 개인 혹은 사회적 관념이 투영된 상태로 우리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그것을 수용하는 입장에서도 개개인의 관념에 따라 취사선택할 자유를 보장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역사를 설명하는 교과서 등을 편찬할 때 이른바 편찬자가 인식하는 ‘정설’하나만을 명시하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 해당 정설에 대응하는 여러 가설의 설명 혹은 최소한 존재여부라도 명시하는 것이 올바른 역사 서술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역사 서술의 방식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동아시아 각 국가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를 준비하면서 놀란 것은 살펴본 일본서적들과 대부분의 영어서적, 또한 몇몇의 중국문헌이 일본의 남조선 경영론을 별다른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정설조차 없는 논쟁분야이며 각 저서는 마땅히 그 실상을 밝혀야 한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정설이 확립된 후에도 기타 의견을 명시해야만 조금 더 유연한 역사인식이 자리 잡힐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구,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창비, 2010
박한제, 「隋唐 世界帝國과 高句麗」, 여호규 외 4명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노태돈, 「나·당전쟁과 나·일 관계」, 역사학회 지음,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李炳銑, 『任那國과 對馬島』, 亞細亞文化社, 1987
金錫亨, 『고대한일관계사』, 한마당, 1989
김인배·김문배, 『역설의 한일 고대사 任那新論』, 고려원, 1995
니시지마 사다오 지음, 이성시 엮음, 송완범 옮김, 일본의 고대사인식 - ‘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
역사 비평사, 2008
西嶋定生, 「廣開土王碑辛卯條の讀法について」, 『圖設日本の硏究』 第3卷 月報, 集英社, 1974
호시 도시가즈 지음, 정병준 등 옮김,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세계 - 중화적 세계와 여러 민족들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上田正昭, 『古代の日本と朝鮮』, 學生社, 1974
원문자료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시스템,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512
『宋書』, 倭國傳
『隋書』, 倭國傳
수많은 역사인식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개개인의 자유의지에 맡겨야 한다. 역사 인식은 개인 혹은 사회적 관념이 투영된 상태로 우리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그것을 수용하는 입장에서도 개개인의 관념에 따라 취사선택할 자유를 보장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역사를 설명하는 교과서 등을 편찬할 때 이른바 편찬자가 인식하는 ‘정설’하나만을 명시하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 해당 정설에 대응하는 여러 가설의 설명 혹은 최소한 존재여부라도 명시하는 것이 올바른 역사 서술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역사 서술의 방식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동아시아 각 국가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를 준비하면서 놀란 것은 살펴본 일본서적들과 대부분의 영어서적, 또한 몇몇의 중국문헌이 일본의 남조선 경영론을 별다른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정설조차 없는 논쟁분야이며 각 저서는 마땅히 그 실상을 밝혀야 한다. 또한 앞서 말했듯이 정설이 확립된 후에도 기타 의견을 명시해야만 조금 더 유연한 역사인식이 자리 잡힐 것이다.
참고문헌
김현구,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인가』, 창비, 2010
박한제, 「隋唐 世界帝國과 高句麗」, 여호규 외 4명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책봉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6
노태돈, 「나·당전쟁과 나·일 관계」, 역사학회 지음,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李炳銑, 『任那國과 對馬島』, 亞細亞文化社, 1987
金錫亨, 『고대한일관계사』, 한마당, 1989
김인배·김문배, 『역설의 한일 고대사 任那新論』, 고려원, 1995
니시지마 사다오 지음, 이성시 엮음, 송완범 옮김, 일본의 고대사인식 - ‘동아시아세계론’과 일본,
역사 비평사, 2008
西嶋定生, 「廣開土王碑辛卯條の讀法について」, 『圖設日本の硏究』 第3卷 月報, 集英社, 1974
호시 도시가즈 지음, 정병준 등 옮김,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세계 - 중화적 세계와 여러 민족들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上田正昭, 『古代の日本と朝鮮』, 學生社, 1974
원문자료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시스템, 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512
『宋書』, 倭國傳
『隋書』, 倭國傳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