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애자인권연대, 시민단체와행정, NGO 발표, 동인련 인터뷰, 동인련 발표, 동성애자인권연대 발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성애자인권연대, 시민단체와행정, NGO 발표, 동인련 인터뷰, 동인련 발표, 동성애자인권연대 발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인련 단체 선택 동기
2. 동인련 소개
3. 동인련의 2013 활동내용
4. 동인련의 구성
5. 동인련의 각 팀별 역할과 주요 활동
6. 활동의 한계 및 극복 방안
7. 인터뷰 내용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930
3,783
4월
1,607
2,353
7,185
5월
2,821
2,848
10,668
6월
2,067
3,593
8,395
7월
2,286
3,655
5,192
8월
2,012
5,196
8,134
9월
2,100
3,831
6,850
10월
2,602
6,161
6,945
11월
1,912
4,690
8,258
12월
1,381
5,579
12,885
합계
21,830
43,050
86,019
5) 인권교육팀
① 참여형 인권교육 및 세미나 진행
- 성소수자 인권을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할 지에 대해 세미나를 진행하고, 새로운 성소수자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여러 차례 시도해 봄으로써 인권교육의 양성,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노력하였다. 자료집 등을 발간하는 것이 그러한 노력에 해당한다.
6) 인권상담팀
① 1388 청소년전화 상담
- 기존에는 동인련으로의 직접 전화 연결, 이메일, 홈페이지 게시판 등을 통해 상담 요청을 받아왔다. 하지만 업무량이 많은 상근자에 의해서만 처리되었기 때문에 상당한 어려움을 수반해왔다. 이에 상담활동에 관심있는 회원들을 모아 인권상담팀을 구성하여 상담기초에 대한 공부를 진행한 후 아름다운재단 프로젝트인 1388 청소년 전화 상담을 대응하는 사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상담 분석내용을 기록한 자료집을 발간한다.
7. 활동의 한계 및 극복 방안
1) 활동의 한계
- 대체로 NGO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본인의 일에 자신이 있고 일을 할 때 다른 직업만큼이나 만족도가 크기 때문에 이 부분을 인터뷰하는 것 자체가 힘든 점이 많았다. 활동하는 데 있어서 한계라던가 힘든 점을 느끼기 보다는 본인들이 하고자 하는 사업을 성공시켰을 때에 만족감과 보람을 느낀다는 말을 되풀이하는 활동상근자들에게 더 이상 한계점을 묻기가 힘들었다. 그래서 그들이 단체를 운용하는 여러 방법들을 물어보고, 자료집을 통해 알아본 뒤 활동의 한계를 분류해 보았다.
(1) 재정난
- CMS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에는 비정기 후원 등을 통한 방법으로 사무실을 운영해야 했으며, 때문에 상근활동비, 임대료 등을 내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동인련 같은 경우 여느 단체와는 다르게 연대활동을 중점적으로 시행하다보니 매우 바쁘게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재정난이 매우 심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인력 부족
- 운영위원장까지 하여 동인련의 상근활동가는 총 9명이다. NGO는 모두 열악한 인원수의 환경에서 사업이 진행되기는 하나, 그에 대한 극복방안으로 여러 대안들을 선정하고 있다. 특히나 작은 단체 같은 경우 여러 연대사업을 중점적으로 하고 본인들의 목적과 취지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더욱 많은 활동과 활동가들이 필요한데, 동인련 또한 이러한 난을 겪고 있었다.
(3) 지향하는 목표 발현의 어려움
- 동인련은 NGO 유형 중에서도 소수자를 대표하는 단체이기 때문에, 대중에게 성소수자라는 존재를 그들의 목표지향점에 맞추어서 알리는 것부터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다. 우리나라 사회 분위기 상 성소수자를 보호하는 법률도 없고, 종교단체(개신교 등)의 지나친 언론과 정계의 장악 등으로 성소수자가 남들 앞에 나서서 ‘커밍아웃’을 하는 것 또한 매우 힘들다. 이러한 부분들을 대중들에게 고취시키기 위해 존재를 알리는 것과 커밍아웃의 정당성, 그리고 성소수자가 차별받지 않게 하기 위한 세상을 만드는 것이 이들의 지향점인데, 이러한 부분을 정당화 시키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듯 했다.
2) 극복 방안
(1) 재정난 : CMS 시스템 구축 / 정기회원조직 / 프로젝트 사업 지원 / 대대적 후원사업
CMS 시스템 구축 : 정기회원으로 가입하면 계좌와 예금주, 정기적 회비 납부일을 기재하여 매 월 안정적으로 회비를 납부할 수 있는 CMS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 재정확충 구조가 좀 더 안정적으로 되었다.
정기회원조직 : 정부나 기업, 단체들의 지원은 일절 받지 않고 100% 회원의 회비, 혹은 비정기적으로 들어오는 비정기후원금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정기후원을 하는 회원 조직이 시급한 상황이어서, 동인련은 다른 팀들 외에 ‘회원조직’ 이라는 팀을 만들고 담당 운영위원을 지정하였다. 회원 프로그램으로는 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자원 활동 프로그램’, 친목중심의 활동인 ‘디딤돌’, ‘여성모임’, ‘송년회’와 동인련이 직접 방문하는 ‘지금 만나러 갑니다.’ 등이 있다.
프로젝트 사업 지원 : ‘아름다운재단’ 이라는 재단에 청소년 성소수자를 위한 사업과 HIV/AIDS인권개선을 위한 사업을 공모하였는데, 사업이 선정되여 2년간 2천만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사업을 시행하였다.
대대적 후원 사업 : 단체 내에 ‘재정발전을 위한 모임’을 개설하여 다양한 후원 캠페인 방식을 벌이게 되었다. 사무실 확대 이전의 필요성을 강조한 ‘무지개 텃밭’사업을 실시하여 ‘나무심기(정기후원)’, 모종심기(단기후원), 씨앗심기(저금통 후원)‘ 로서 다양한 방식의 후원방식을 알리는 캠페인을 진행하였고, ’후원의 밤‘을 진행하여 후원금을 모았다. 이에 사무실 이전 비용 2천만원 이라는 목표를 초과해 달성하였으며, CMS 신규 가입은 목표였던 200명에 근접했다.
(2) 인력부족 : 자원활동가 참여 촉진
자원활동가 참여 촉진 : 사실 인터뷰하면서 상당히 궁금했던 점이 인력난이었다. 집회를 나가거나 1박 2일 등으로 진행해야하는 답사, 혹은 ‘희망버스’ 등의 행사가 있을 시에 늘 동인련이 참석하는 것을 보아왔기 때문이다. 인터뷰 결과 동인련은 이러한 인력난을 ‘자원활동가’ 들로 극복해내고 있었다. 모든 사업에는 자원활동가가 동원되며, 이들은 100% 자발적이고 사업 자체에 상근활동가 만큼이나 많은 지식을 겸비하과 있었으며 업무처리능력도 갖추고 있었다. 때문에 동인련은 다른 단체에 비해 회원들과의 소통이 매우 잘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3) 지향하는 목표 발현의 어려움 : 연대사업을 통한 지지세력 확보
연대 사업을 통한 지지세력 확보 : 앞에서도 꾸준히 강조했듯이 동인련은 작은 단체이기 때문에 목표 발현에 어려움이 많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12.03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1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