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자궁근종 uterine myoma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5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 자궁근종 uterine myoma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진단5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료 및 방법
ⅲ. 문헌 고찰

Ⅱ. 본론
ⅰ.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각 기관별 문진
ⅱ. 입원 중 투약과 처치
ⅲ. 진단검사
ⅳ. 간호과정
1) 건강문제
2)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3) 간호진단 : 타당성(NANDA의 간호진단 참조)
4) 간호목표 (장기, 단기)
5)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Ⅲ. 결론
Ⅳ. 느낀 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2 >
건강문제
c/s, IV, 유치도뇨관으로 인한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환자가 “몸에 열이 있는 것 같아요.” 라고 말했다.
(가상)
객관적 자료
- 2020.01.29. breech c/s 을 하였다.
- Ut.Myoma : fundus about 10×5cm
V/S에서 체온이 상승했다.
구분
날짜
BP
(mmHg)
HR(회/분)
RR(회/분)
BT(°C)
1/29
110/70
90
16
36.8
1/30
100/60
82
20
36.6
1/31
-
-
-
38.0
진단검사 결과 수치
정상치
1/29
1/30
2/1
WBC
4.0~10.0×10³/㎕
11.62▲
20.11▲
25.76▲
RBC
4.0~5.4×10/㎕
4.27
4.07
3.16▼
Hb
12.0~16.0g/dL
13.4
12.5
10.3▼
Hct
37~45%
38.4
37.9
29.3▼
Neutrophil
42.2~75.2%
68.5
83.4▲
89.7▲
Lymphocyte
20.5~51.1%
21.0
9.2▼
4.6▼
CRP
0.0~0.5mg/dl
0.22
-
24.75▲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로 인한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목표
기대되는 결과
1. 단기 목표 : 대상자는 1일 이내에 고막체온이 정상범위에 있다.
2.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고막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간호 계획
합리적 근거
1시간 간격으로 V/S를 측정할 것 이다.
- 활력징후는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 지표이다.
2. 매일 혈액학검사를 시행한다.
혈액학검사를 통해 감염으로 인한 체온 상승이 있는지 알 수 있다.
3. Ice bag을 처치한다.
- 냉찜질은 수술 후 통증을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인 조직 부종을 줄이는데 유용하다.
4. 발열 양상, 오한 여부를 관찰한다.
- 오한 시 신체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신체의 열 생산을 증가시킨다. 발열 양상을 관찰하여 환자의 체온 상승이 있는지 모니터한다.
5. 수분 섭취를 격려하고 처방에 따라
정맥주사를 통하여 수액을 공급한다.
- 상실한 수분을 보충하고 충분한 순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맥을 통하여 수분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6. 1시간마다 I/O을 측정한다.
-고체온으로 인해 땀으로 배출 되는 양이 많아지면서 소변량이 정상보다 줄어들게 된다.
7.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한다.
-중추신경계 흥분을 억제하여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중추를 자극하여 체온을 떨어뜨리기 위함이다.
8.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한다.
- 항생제는 감염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9. 젖은 환의나 시트를 교환해준다.
-젖은 환의나 시트는 불편감을 초래하며, 안위를 손상시키며, 젖은 환의는 체온을 빠르게 빼앗아 저체온증을 유발할 수 있다.
10. 고체온 증상과 체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고체온시 몸이 뜨겁고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즉시 저희를 불러주시면 됩니다. 젖은 환의나 시트는 불편함을 초래할 뿐 아니라 체온을 빼앗아 저체온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갈아주시는 게 좋습니다. 또 수분 공급을 자주 해주셔서 고체온으로 인한 탈수 증상을 예방해주셔야 됩니다.
교육을 통해서 고체온 증상이 나타날 때 바로 보고 할 수 있고, 체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 중재
간호 계획
1. 1시간 간격으로 V/S를 측정했다.
구분
날짜
BP
(mmHg)
HR
(회/분)
RR
(회/분)
BT(°C)
1/29
110/70
90
16
36.8
1/30
100/60
82
20
36.6
1/31
-
-
-
38.0°C → dicknol prn 1@ IM → 37.5°C
2/1
-
-
-
37.9°C → 처방에 따라 dicknol 1@ IM → 37.2°C
2/2
-
-
-
37.8°C → ice bag 적용 → 37.5°C
2/4
-
-
-
37.7°C → ice bag 적용 → 38.0° → noti → N/S 100ml+paceta 2@ IV → 37.1°C
2. 매일 혈액학검사를 시행했다.
정상치
1/29
1/30
2/1
2/2
2/3
2/4
WBC
4.0~10.0×10³/㎕
11.62▲
20.11▲
25.76▲
-
-
12.87▲
RBC
4.0~5.4×10/㎕
4.27
4.07
3.16▼
-
-
3.13▼
Hb
12.0~16.0g/dL
13.4
12.5
10.3▼
-
-
10.0▼
Hct
37~45%
38.4
37.9
29.3▼
-
-
28.7▼
Neutrophil
42.2~75.2%
68.5
83.4▲
89.7▲
-
-
73.1
Lymphocyte
20.5~51.1%
21.0
9.2▼
4.6▼
-
-
15.0▼
CRP
0.0~0.5mg/dl
0.22
-
24.75▲
22.64▲
22.39▲
7.86▲
3. Ice bag을 처치했다.
4. 발열 양상, 오한 여부를 관찰했다.
5. 수분 섭취를 격려하고 처방에 따라 정맥주사를 통하여 수액을 공급했다.
약품명
용량
투약방법
적응증, 효과
N/S 100ml
4
IV
1.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2.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D/S 5% 1000ml/BG
1
IV
○ 탈수증, 수술전후 등의 수분ㆍ전해질 보급
○ 에너지 보급
간호 중재
간호 계획
6. 1시간마다 I/O을 측정했다.
7.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했다.
8. 처방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확인했다.
9. 젖은 환의나 시트를 교환해줬다.
- 젖은 환의나 시트가 불편하시다면 교환해드리겠습니다. 혹시 시트나 환의를 갈아드릴까요? 지금 갈아드리기 불편하시다면 조금 이따 안정을 취하신 후에 호출벨을 눌러 불러주세요.
Ⅳ. 느낀점
- 케이스스터디 및 환자들의 진단명이 아직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부분이라 더 많이 공부해야하는 점이 있었는데 자가학습하고 여러 책들을 보며, 질병의 특징들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나도 한 여성으로서 겪게 될 수도 있는 부인과 질환들이어서 흥미롭고 유익했던 것 같다. 이번 케이스에 대해 말하자면, 이번에 맡은 대상자가 자궁근종에 초점이 맞춰져있
  • 가격2,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0.12.22
  • 저작시기202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23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