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사례
*참고문헌*
Ⅱ. 간호사례
*참고문헌*
본문내용
. 또한 독성이 낮기 때문에 치료영역이 넓으며 매우 신속하고도 현저한 진정 및 수면 유도작용을 나타낸다. 불안해소작용, 항경련작용 및 근육이완작용도 나타내며 근육 또는 정맥주사후 단시간 동안의 선행성 건망증(환자는 약효가 나타나는 동안 일어난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이 나타난다.
- 효능/효과
1. 수면 리듬 변화 및 수면장애, 특히 잠들기 어려운 불면증이나 새벽에 잠이 깬 후의 수면발현곤란
2. 외과수술 또는 처치 전 진정 목적
- 용법/용량
1. 수면장애 : 미다졸람으로서 7.5~15mg 취침전 투여한다.
고령자, 쇠약환자 및 간, 신기능장애 환자는 7.5mg을 취침 전 투여한다.
2. 진정 : 주사제가 선용되지 않는 한 본제는 15mg을 수술 30~60분 전에 투여한다.
- 금기 : 본제 및 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금기인 급성 협우각형 녹재장 환자 쇽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 vital sign이 억제된 급성 알코올 중독환자,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급성 호흡부전 환자
- 부작용
1. 의존성 및 금단증상 :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치료도중 의존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장 기간 투여환자, 고용량 투여환자, 특히 알코올 중독력 환자, 약물남용력 환자, 이상성격 환자 또는 심한 정신질환과 같은 소인성 환자에서 의존성 발새위험이 증대되므로 의존성 발생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상질환을 충분히 고려한 후 투여하며, 가능한 한 단기 간 동안만 투여한다. 장기간 투여시는 투여에 따른 유익성과 위험성을 면밀히 검토한 후 결정한다. 금단증상 발현시기는 투여중지 수시간 후부터 1주일 후 또는 그 이상으로 다 양하며, 진전, 불안정, 불면, 두통 및 집중력 결핍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발한, 근 육 및 복부경련, 지각이상, 헛소리, 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
2. 피부근육 : 과민반응, 드물게 근육강화, 장기간 사용할 때 보행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3. 정신신경계 : 졸음, 어지러움, 군태, 도통이 나타날 수 있다.
4. 호흡기계 : 드물게 기도폐색 등의 호흡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Tabinul 타비눌 주(Amp) 200mcg/ml
- 성분명 : Neuromuscular Disorder Drugs
- 작용 :
1. 부교감신경 절후섬유의 충격전달을 방해하고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며 각 지배기관의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Acetylcholine의 작용을 상경적으로 차단시킨다.
2. Anticholinesterase와 같이 부교감신경 흥분제에 의해 유발되는 muscarine작용에 길항하여 과다한 인두기관기관지액 분비를 조절하며 위액 분비시 유리산 및 분비량을 감소시킨다.
3. 수술전 처치시의 분비 억제 작용이 특히 강력하며 수술중의 강력한 cholinergic overactivity억제작용과 수술후의 강력한 향 muscarine 작용을 가지고 있다.
- 효능/효과
1. 마취시 : 1)수술전 타액분비, 기관기관지액분비, 인두분비, 위액의 유리산 분비감소
2)마취시나 마취유도시 심장미주신경 억제반사의 방지
3)비탈분극성 근이완제에 의한 신경근 차단을 역전하기 위해 콜린성 약물 사용시 나타나는 말초 무스카린 효과(서맥 및 과다분비)등 방지
2. 소화성 궤양의 보조 : 급속한 항콜린작용 필요시 또는 경우투여에 내약성이 없는 경우
-용법/용량 : 근육 또는 정맥주사로 투여하며 희석하지 않고 투여할 수 있다.
1. 마취시:
성인 : ① 수술전 투여 : 예측되는 마취유도시간 30~60분전 또는 마취전 투약9마약 및 또는 진정제)추천용량으로 체중 Kg당 글리코피롤레이트로서 0.004mg(0.02ml)을 근육주사한다.
② 수술중 투여 : 약물유발, 부정맥에 수반된 미주신경로 반사방지시 투여한다.
2. 소화성 궤양의 보조 : 글리코피롤레이트로서 1회 0.1mg(0.5ml)을 1일 3~4회 4시간 간격으로 피하,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 금기
1. 과민증 환자
2. 다음은 소화성 궤양의 보조시에 한한다.
1)녹내장환자
2)폐쇄성 요질환 환자(전립선 비대에 의한 방광경부폐쇄)
3)폐쇄성 위장관질환(무이완증, 유문십이지장 협착)환자
4)마비성 장폐색 환자
- 부작용 : 항콜린약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 구갈, 배뇨장애, 요저류, 산동으로 인한 시야혼탁, 안압증가, 빈맥, 심계항진, 발한 감소, 미각상실, 두통, 신경과민, 졸음, 쇠약, 어지러움, 불면증, 구역, 구토, 발기불능, 유즙분비억제, 변비, 부종감, 중증의 알러지 반응, 특이체질, 두드러기, 고령자에 있어서의 착란 또는 흥분
▶ Meiact 메이액트 정 TAB 100mg
- 성분명 : Cefditoren pivoxil
- 효능/효과 : 제3세대 경구용 항생제로 항균작용 함. 포도구균속, 연쇄구균속, 펩토스트렙토코쿠스속, Branhamella catarrhalis, Propionibacterium acnes, 대장균등 감수성균에 의한 감염증:
1. 인후두염(인후농양), 급성기관지염, 편도염(편도주위염, 편도주위농양),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감염시), 만성호흡기질환의 2차감염, 폐렴, 폐화농증
2. 신우신염, 방광염
- 용법/용량 : 성인은 세프디토렌 피복실로서 1회 100mg을 1일 3회 식후에 경구투여한다.
- 부작용
1. 과민증 : 발진, 담마진, 홍반, 소양, 발열, 임파선종창, 관절통
2. 신장 : BUN상승, 혈중 크레아티닌상승, 단백뇨, 급성신부전 등의 중독한 신장애
3. 소화기 : 위막성대장염 등의 혈변을 수반하는 중독한 대장염, 복통, 빈번한 설사, 연변, 구기, 위부 불쾌감, 위통, 드물게 복부팽만감, 구역, 구토
4. 비타민결핍증 : 비타민 K 결핍증상(저프로트롬빈혈증, 출혈경향 등), 비타민 B군 결핍증상(설염, 구내염, 식욕부진, 신경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Anytal 애니탈 삼중정(triple tab)
- 성분명 : Digestives
- 작용 :
1. 외적효과
위장운동의 조절 : 주성분 MT(말레인산트리메부틴)가 약해진 위평활근에 작용하여 위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2. 내적효과
1) 3종의 제산제 : 위산을 효
- 효능/효과
1. 수면 리듬 변화 및 수면장애, 특히 잠들기 어려운 불면증이나 새벽에 잠이 깬 후의 수면발현곤란
2. 외과수술 또는 처치 전 진정 목적
- 용법/용량
1. 수면장애 : 미다졸람으로서 7.5~15mg 취침전 투여한다.
고령자, 쇠약환자 및 간, 신기능장애 환자는 7.5mg을 취침 전 투여한다.
2. 진정 : 주사제가 선용되지 않는 한 본제는 15mg을 수술 30~60분 전에 투여한다.
- 금기 : 본제 및 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금기인 급성 협우각형 녹재장 환자 쇽 또는 혼수상태의 환자, vital sign이 억제된 급성 알코올 중독환자, 수면 무호흡 증후군 환자, 알코올 또는 약물 의존성 환자, 급성 호흡부전 환자
- 부작용
1. 의존성 및 금단증상 :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치료도중 의존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장 기간 투여환자, 고용량 투여환자, 특히 알코올 중독력 환자, 약물남용력 환자, 이상성격 환자 또는 심한 정신질환과 같은 소인성 환자에서 의존성 발새위험이 증대되므로 의존성 발생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상질환을 충분히 고려한 후 투여하며, 가능한 한 단기 간 동안만 투여한다. 장기간 투여시는 투여에 따른 유익성과 위험성을 면밀히 검토한 후 결정한다. 금단증상 발현시기는 투여중지 수시간 후부터 1주일 후 또는 그 이상으로 다 양하며, 진전, 불안정, 불면, 두통 및 집중력 결핍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발한, 근 육 및 복부경련, 지각이상, 헛소리, 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
2. 피부근육 : 과민반응, 드물게 근육강화, 장기간 사용할 때 보행곤란이 나타날 수 있다.
3. 정신신경계 : 졸음, 어지러움, 군태, 도통이 나타날 수 있다.
4. 호흡기계 : 드물게 기도폐색 등의 호흡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Tabinul 타비눌 주(Amp) 200mcg/ml
- 성분명 : Neuromuscular Disorder Drugs
- 작용 :
1. 부교감신경 절후섬유의 충격전달을 방해하고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며 각 지배기관의 수용체에 부착함으로써 Acetylcholine의 작용을 상경적으로 차단시킨다.
2. Anticholinesterase와 같이 부교감신경 흥분제에 의해 유발되는 muscarine작용에 길항하여 과다한 인두기관기관지액 분비를 조절하며 위액 분비시 유리산 및 분비량을 감소시킨다.
3. 수술전 처치시의 분비 억제 작용이 특히 강력하며 수술중의 강력한 cholinergic overactivity억제작용과 수술후의 강력한 향 muscarine 작용을 가지고 있다.
- 효능/효과
1. 마취시 : 1)수술전 타액분비, 기관기관지액분비, 인두분비, 위액의 유리산 분비감소
2)마취시나 마취유도시 심장미주신경 억제반사의 방지
3)비탈분극성 근이완제에 의한 신경근 차단을 역전하기 위해 콜린성 약물 사용시 나타나는 말초 무스카린 효과(서맥 및 과다분비)등 방지
2. 소화성 궤양의 보조 : 급속한 항콜린작용 필요시 또는 경우투여에 내약성이 없는 경우
-용법/용량 : 근육 또는 정맥주사로 투여하며 희석하지 않고 투여할 수 있다.
1. 마취시:
성인 : ① 수술전 투여 : 예측되는 마취유도시간 30~60분전 또는 마취전 투약9마약 및 또는 진정제)추천용량으로 체중 Kg당 글리코피롤레이트로서 0.004mg(0.02ml)을 근육주사한다.
② 수술중 투여 : 약물유발, 부정맥에 수반된 미주신경로 반사방지시 투여한다.
2. 소화성 궤양의 보조 : 글리코피롤레이트로서 1회 0.1mg(0.5ml)을 1일 3~4회 4시간 간격으로 피하,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 금기
1. 과민증 환자
2. 다음은 소화성 궤양의 보조시에 한한다.
1)녹내장환자
2)폐쇄성 요질환 환자(전립선 비대에 의한 방광경부폐쇄)
3)폐쇄성 위장관질환(무이완증, 유문십이지장 협착)환자
4)마비성 장폐색 환자
- 부작용 : 항콜린약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 구갈, 배뇨장애, 요저류, 산동으로 인한 시야혼탁, 안압증가, 빈맥, 심계항진, 발한 감소, 미각상실, 두통, 신경과민, 졸음, 쇠약, 어지러움, 불면증, 구역, 구토, 발기불능, 유즙분비억제, 변비, 부종감, 중증의 알러지 반응, 특이체질, 두드러기, 고령자에 있어서의 착란 또는 흥분
▶ Meiact 메이액트 정 TAB 100mg
- 성분명 : Cefditoren pivoxil
- 효능/효과 : 제3세대 경구용 항생제로 항균작용 함. 포도구균속, 연쇄구균속, 펩토스트렙토코쿠스속, Branhamella catarrhalis, Propionibacterium acnes, 대장균등 감수성균에 의한 감염증:
1. 인후두염(인후농양), 급성기관지염, 편도염(편도주위염, 편도주위농양), 만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감염시), 만성호흡기질환의 2차감염, 폐렴, 폐화농증
2. 신우신염, 방광염
- 용법/용량 : 성인은 세프디토렌 피복실로서 1회 100mg을 1일 3회 식후에 경구투여한다.
- 부작용
1. 과민증 : 발진, 담마진, 홍반, 소양, 발열, 임파선종창, 관절통
2. 신장 : BUN상승, 혈중 크레아티닌상승, 단백뇨, 급성신부전 등의 중독한 신장애
3. 소화기 : 위막성대장염 등의 혈변을 수반하는 중독한 대장염, 복통, 빈번한 설사, 연변, 구기, 위부 불쾌감, 위통, 드물게 복부팽만감, 구역, 구토
4. 비타민결핍증 : 비타민 K 결핍증상(저프로트롬빈혈증, 출혈경향 등), 비타민 B군 결핍증상(설염, 구내염, 식욕부진, 신경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Anytal 애니탈 삼중정(triple tab)
- 성분명 : Digestives
- 작용 :
1. 외적효과
위장운동의 조절 : 주성분 MT(말레인산트리메부틴)가 약해진 위평활근에 작용하여 위
운동을 활발하게 한다.
2. 내적효과
1) 3종의 제산제 : 위산을 효
추천자료
<간호실습레포트> OR - LAVH (복강경을 이용한 질식 자궁적출술)
자궁탈출증 case 65세여성 (문헌고찰 : 자궁탈출증, 직장류, 요실금, 자궁적출술)
[간호학] 자궁적출술 케이스
adenomyosis와 uerine myoma
[간호][환자간호][화상환자 간호][구강 간호][근종절제술과 자궁절제술환자 간호][무의식환자...
모성케이스(자궁선근증)
자궁적출술
모성 Case 최종 - myoma
OR - myoma uteri LAVH,TAH
Myoma Myoma
[부인과 실습] 자궁탈출증 실습평가 케이스 스터디
[산부인과 케이스 컨퍼런스 (Case Conference)] 자궁경부암 (uterine cervical cancer)
[간호] 복식 자궁 적출술
<모성간호학 실습> 산부인과 케이스 스터디 : Adenomyosis(자궁선근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