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목차
제 1부 마르틴 루터의 생애 ...................................... 4
제 2부 종교개혁의 배경
1. 종교개혁시기의 유럽 .......................................... 5
2. 종교 개혁의 원인 .......................................... 7
3. 5대 솔라(Five Sola)............................................ 9
4. 루터의 종교 개혁이 성숙되기까지 ................................. 10
제 3부 루터의 생애와 사상
1. 어린 시절 및 종교적 체험 .......................................... 11
2. 루터 수도사가 되다 .......................................... 13
3. 비텐베르크대학교 입학 ........................................... 15
4. 루터의 로마여행 ........................................... 16
5. 종교적·신학적 의문과 번민 ......................................... 16
6. 루터의 탑실체험과 깨달음 ......................................... 20
제 4부 루터의 95개조 의제(논제) 발표
1. 95개 논조 발표 배경 ........................................... 23
2. 교황청의 반응 ............................................ 34
제 5부 종교개혁에 따른 논쟁들
1. 하이델베르그 논쟁(하이델베르그 논제) .................................. 35
2. 카예탄 추기경과의 논쟁(아우스부르크의 심문) ....................... 39
3. 라이프치히 논쟁(루터와 에크의 논쟁) .................................. 43
4. 루터와 에라스무스 .................................. 46
제 6부 종교개혁의 이념
1.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3대 논문 ........................................ 48
2. 보름스 제국의회 ............................................ 51
3. 바르트부르크 체류 ......................................... 54
4. 비텐베르크 소요 ............................................ 55
5. 농민전쟁 ............................................ 58
6. 에라스무스와의 논쟁과 결별 ........................................... 60
7. 필립 멜랑히톤 .............................................. 61
8. 마르부르크 회담(성만찬론) ............................................ 61
제 7부 루터의 말년
1. 루터의 결혼 및, 가정 생활 .......................................... 62
2. 죽음 .......................................... 62
3. 루터와 음악 ........................................... 62
4. 자서전적 단편 ........................................... 63
제 8부 신학사상
1. 마틴 루터의 신학사상 ............................................ 64
2. 이신칭의 ............................................. 65
3. 십자가신학 ............................................ 66
4. 공재설 .............................................. 77
제 9부 루터파의 성립과 발전
1. 1526년 스파이어 의회 ....................................... 78
2. 아우그스부르크 신앙 고백서 ...................................... 78
3. 슈말칼트 동맹 ...................................... 80
제 10부 로마 카톨릭의 개혁운동
1. 예수회 운동 ..................................................... 81
2. 트렌드 회의 ..................................................... 81
3. 종교재판 ..................................................... 82
제 11부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의 원리와 결과
1. 개혁의 원리 : 하나님의 말씀 ................................... 83
2. 섬김의 신학 ................................... 83
3. 종교개혁의 결과 ................................... 85
제 12부 수렴과 비판
1. 오늘날의 십자가신학 ...................................... 86
2. 비평 ...................................... 89
<참고> 루터가 남긴 명언 ....................................... 90
<Reference book> ........................................ 90
제 2부 종교개혁의 배경
1. 종교개혁시기의 유럽 .......................................... 5
2. 종교 개혁의 원인 .......................................... 7
3. 5대 솔라(Five Sola)............................................ 9
4. 루터의 종교 개혁이 성숙되기까지 ................................. 10
제 3부 루터의 생애와 사상
1. 어린 시절 및 종교적 체험 .......................................... 11
2. 루터 수도사가 되다 .......................................... 13
3. 비텐베르크대학교 입학 ........................................... 15
4. 루터의 로마여행 ........................................... 16
5. 종교적·신학적 의문과 번민 ......................................... 16
6. 루터의 탑실체험과 깨달음 ......................................... 20
제 4부 루터의 95개조 의제(논제) 발표
1. 95개 논조 발표 배경 ........................................... 23
2. 교황청의 반응 ............................................ 34
제 5부 종교개혁에 따른 논쟁들
1. 하이델베르그 논쟁(하이델베르그 논제) .................................. 35
2. 카예탄 추기경과의 논쟁(아우스부르크의 심문) ....................... 39
3. 라이프치히 논쟁(루터와 에크의 논쟁) .................................. 43
4. 루터와 에라스무스 .................................. 46
제 6부 종교개혁의 이념
1.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 3대 논문 ........................................ 48
2. 보름스 제국의회 ............................................ 51
3. 바르트부르크 체류 ......................................... 54
4. 비텐베르크 소요 ............................................ 55
5. 농민전쟁 ............................................ 58
6. 에라스무스와의 논쟁과 결별 ........................................... 60
7. 필립 멜랑히톤 .............................................. 61
8. 마르부르크 회담(성만찬론) ............................................ 61
제 7부 루터의 말년
1. 루터의 결혼 및, 가정 생활 .......................................... 62
2. 죽음 .......................................... 62
3. 루터와 음악 ........................................... 62
4. 자서전적 단편 ........................................... 63
제 8부 신학사상
1. 마틴 루터의 신학사상 ............................................ 64
2. 이신칭의 ............................................. 65
3. 십자가신학 ............................................ 66
4. 공재설 .............................................. 77
제 9부 루터파의 성립과 발전
1. 1526년 스파이어 의회 ....................................... 78
2. 아우그스부르크 신앙 고백서 ...................................... 78
3. 슈말칼트 동맹 ...................................... 80
제 10부 로마 카톨릭의 개혁운동
1. 예수회 운동 ..................................................... 81
2. 트렌드 회의 ..................................................... 81
3. 종교재판 ..................................................... 82
제 11부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의 원리와 결과
1. 개혁의 원리 : 하나님의 말씀 ................................... 83
2. 섬김의 신학 ................................... 83
3. 종교개혁의 결과 ................................... 85
제 12부 수렴과 비판
1. 오늘날의 십자가신학 ...................................... 86
2. 비평 ...................................... 89
<참고> 루터가 남긴 명언 ....................................... 90
<Reference book> ........................................ 90
본문내용
없다고 했다. 그리고 종교회의는 물론 성경의 권위와 이성으로 무장된 신자는 교황보다 우월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카예탄은 성경은 해석되어야 하는데 교황이 성경의 해석자라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교황은 종교 회의보다도 성경보다도 그리고 교회 안의 무엇보다도 우월하다고 했다. 루터는 다시 “나는 교황이 성경보다 우월함을 부인한다”고 선언했다. 여기서 루터는 교황이 면죄부를 나누어주는 근거로 삼는 교회의 보고는 그리스도와 성인들의 공로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교황이 없어도 내적 인간에게는 은총을, 외적 인간에게는 십자가와 죽음과 지옥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카예탄이 루터의 58번째 논제가 클레멘스 6세의 칙령 Unigenitus를 통해 반박되었다고 설명했을 때, 루터는 이러한 칙령은 자신에게 아무런 권위가 없다고 대응했다. 왜냐하면 그러한 칙령은 성서와는 모순된 논지를 전개하며, 단지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von Aquin) 의 관점만을 되풀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루터는 그 때문에 자신의 논제에서 인용한 성구에 무조건적인 우위를 주고 있다.
카예탄은 이에 대하여 교황은 모든 공의회와 성서보다 우위에 있으며, 루터는 자신의 모든 주장을 취소해야 하고, 이것이 교황의 뜻이다라고 하며 루터를 비난했다
10월 13일에는 작센의 시의회에서 뤼헬(R hel), 파이리취(Feilitzsch) 그리고 요한네스 폰 스타우피츠(Johannes von Staupitz)가 루터의 두 번째 심문에 동행했다.
물론 공정하게 심문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루터는 먼저 만약 카예탄이 자신의 오류를 입증하고 잘못되었음을 밝히면, 취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신은 어떤 점이 성서, 교부, 교황의 교령 또는 이성에 어긋나게 가르쳤는지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적법한 교회의 판단에 복종할 것이며, 아우크스부르크이건, 다른 곳이건, 공개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토론할 것을 자청했다. 카예탄은 이제 화해적으로 루터를 대했고,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글로 써서 다음날 제출할 것을 허용했다.
다시금 작센 시의회가 동행한 가운데 루터는 세 번째 심문을 위해 10월 14일 카예탄 앞에 나타났다. 카예탄은 글로 작성된 루터의 입장을 경멸했고, 그에게 취소할 것을 다시 요구했다.
두 번째 논쟁은 교황 식스투스 4세가 그리스도가 획득했다고 정의한 공로의 \'보물\'이 갖는 의미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루터를 향해서 그의 잘못을 취소하라고 했다. 잘못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카예탄은 가장 큰 잘못은 교회가 소장하고 있는 공로의 보화(Treasury of Merit)를 루터가 부인한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교황 클레멘트 6세의 교서 Unigenitus를 보여주며 여기 그리스도의 공로가 면죄의 보화이다(that the merits are a treasure of indulgentius)라고 쓰여 있지 않느냐 지적했다.
루터는 보화를 얻는 것(einen Schatz erwerben)과 보화인 것(ein Schatz sein)은 서로 다르며, 카예탄을 이것을 혼동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 차이점이란 그리스도가 죄를 용서하도록 교회에 준 은총을 공로로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은혜요, 교회의 근거라는 의미이다. 카예탄은 더 이상 토론을 진행하지 않았고, 심문을 끝냈다. 루터는 \"잘 가르쳐져야 할 거룩한 아버지에 대해 전혀 잘 가르치지 못한 교황과 그의 판사에 대하여\" (Von dem nicht gut unterrichteten Papst und dessen Richtern an den besser zu unterrichtenden Heiligen Vater) 라는 호소문을 작성했고, 작센의 추밀원 의원들은 루터가 로마로 압송되리라는 소문을 전했다. 마침내 루터는 친구들에게 둘러싸인 채 뒷문을 통해 10월 22일 아우크스부르크를 탈출했다
이 사건으로 카예탄 추기경은 루터와의 면담 내용을 프레데릭 선제후에게 보고하면서 영지로 부터 추방하거나 로마로 압송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선제후는 이를 거절하였다. 신성 로마 제국의 7선제후들 가운데 하나였던 선제후 프리드리히는 새로운 황제 선출이 임박했기 때문에 교황에게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교황은 프리드리히를 적대시할 수 없었다. 루터는 뉴른베르그(Nurnberg)에 숨어있다가 비텐베르그로 돌아왔다. 한편 비텐베르그로 돌아온 루터는 카예탄과의 면담내용을 자기의 입장에서 써서 인쇄에 붙이므로 프레데릭 영주를 더욱 곤란하게 만들었다.
“교황의 교서를 부인한다고 해서 나쁜 크리스찬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누구든지 복음을 부인하면 이단이다. 나는 교서를 저주하고 증오한다.…그 교서에 관해서 그리스도의 공로가 면죄의 보화가 된다는 것을 나는 부인한다. 그의 공로는 교황과 상관없이 은혜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면죄부는 공로를 제해 버리고 죄만 남겨 둔다. 이 아첨자들이 교황을 성경보다 높이고 교황은 잘못을 범할 수 없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성경은 폐하게 되고 교회 안에는 인간의 말만 남게 될 것이다.”
루터는 선제후의 비서인 인문주의자 게오르크 슈팔라틴과 훌륭한 우정관계를 맺고 있어 이것이 커다란 힘이 되었지만 프리드리히는 딜레마에 빠졌다. 이때에도 비텐베르그대학교 신학부는 루터에게 불명예를 줄 경우 신학부의 운명과 명성에 손실을 가져 올 것을 들어 루터 편에 서서 선제후에게 호소했다.
1518년 11월 9일 교황청은 면죄부에 대한 공식 견해를 나타내는 교서 Cum Postquam을 발표했다. 면죄부의 교리가 아직 교황의 승인을 받지 않았으므로 루터를 이단으로 단정하기 어려웠고, 면죄부에 해석이 너무 지나쳤기 때문이다. 종전까지는 면죄부를 구입함으로 형벌(penalty) 뿐 아니라 죄책(quilt)까지도 사해진다고 가르쳤으나 이제는 오직 형벌만 면할 수 있고 죄책은 사할 수 없다고 선포했다. 이 죄책은 참회의 성례를 통해서 만 사해진다고 했다. 그리고 지옥의 형벌을 사하는 것이 아니고 지상에서와 연옥에서 받을 형벌만 감해 주는 것 뿐이라고 했다. 지상에서 받아야 할 형벌은 교황이 사할 수 있으나 연옥에서 받아야 할 형벌은 교황이 그리스도와 성자들이
카예탄은 이에 대하여 교황은 모든 공의회와 성서보다 우위에 있으며, 루터는 자신의 모든 주장을 취소해야 하고, 이것이 교황의 뜻이다라고 하며 루터를 비난했다
10월 13일에는 작센의 시의회에서 뤼헬(R hel), 파이리취(Feilitzsch) 그리고 요한네스 폰 스타우피츠(Johannes von Staupitz)가 루터의 두 번째 심문에 동행했다.
물론 공정하게 심문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루터는 먼저 만약 카예탄이 자신의 오류를 입증하고 잘못되었음을 밝히면, 취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자신은 어떤 점이 성서, 교부, 교황의 교령 또는 이성에 어긋나게 가르쳤는지 잘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적법한 교회의 판단에 복종할 것이며, 아우크스부르크이건, 다른 곳이건, 공개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토론할 것을 자청했다. 카예탄은 이제 화해적으로 루터를 대했고,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글로 써서 다음날 제출할 것을 허용했다.
다시금 작센 시의회가 동행한 가운데 루터는 세 번째 심문을 위해 10월 14일 카예탄 앞에 나타났다. 카예탄은 글로 작성된 루터의 입장을 경멸했고, 그에게 취소할 것을 다시 요구했다.
두 번째 논쟁은 교황 식스투스 4세가 그리스도가 획득했다고 정의한 공로의 \'보물\'이 갖는 의미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루터를 향해서 그의 잘못을 취소하라고 했다. 잘못이 무엇이냐고 물었을 때 카예탄은 가장 큰 잘못은 교회가 소장하고 있는 공로의 보화(Treasury of Merit)를 루터가 부인한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교황 클레멘트 6세의 교서 Unigenitus를 보여주며 여기 그리스도의 공로가 면죄의 보화이다(that the merits are a treasure of indulgentius)라고 쓰여 있지 않느냐 지적했다.
루터는 보화를 얻는 것(einen Schatz erwerben)과 보화인 것(ein Schatz sein)은 서로 다르며, 카예탄을 이것을 혼동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 차이점이란 그리스도가 죄를 용서하도록 교회에 준 은총을 공로로 획득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은혜요, 교회의 근거라는 의미이다. 카예탄은 더 이상 토론을 진행하지 않았고, 심문을 끝냈다. 루터는 \"잘 가르쳐져야 할 거룩한 아버지에 대해 전혀 잘 가르치지 못한 교황과 그의 판사에 대하여\" (Von dem nicht gut unterrichteten Papst und dessen Richtern an den besser zu unterrichtenden Heiligen Vater) 라는 호소문을 작성했고, 작센의 추밀원 의원들은 루터가 로마로 압송되리라는 소문을 전했다. 마침내 루터는 친구들에게 둘러싸인 채 뒷문을 통해 10월 22일 아우크스부르크를 탈출했다
이 사건으로 카예탄 추기경은 루터와의 면담 내용을 프레데릭 선제후에게 보고하면서 영지로 부터 추방하거나 로마로 압송할 것을 요청하였으나 선제후는 이를 거절하였다. 신성 로마 제국의 7선제후들 가운데 하나였던 선제후 프리드리히는 새로운 황제 선출이 임박했기 때문에 교황에게 가장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교황은 프리드리히를 적대시할 수 없었다. 루터는 뉴른베르그(Nurnberg)에 숨어있다가 비텐베르그로 돌아왔다. 한편 비텐베르그로 돌아온 루터는 카예탄과의 면담내용을 자기의 입장에서 써서 인쇄에 붙이므로 프레데릭 영주를 더욱 곤란하게 만들었다.
“교황의 교서를 부인한다고 해서 나쁜 크리스찬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누구든지 복음을 부인하면 이단이다. 나는 교서를 저주하고 증오한다.…그 교서에 관해서 그리스도의 공로가 면죄의 보화가 된다는 것을 나는 부인한다. 그의 공로는 교황과 상관없이 은혜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면죄부는 공로를 제해 버리고 죄만 남겨 둔다. 이 아첨자들이 교황을 성경보다 높이고 교황은 잘못을 범할 수 없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성경은 폐하게 되고 교회 안에는 인간의 말만 남게 될 것이다.”
루터는 선제후의 비서인 인문주의자 게오르크 슈팔라틴과 훌륭한 우정관계를 맺고 있어 이것이 커다란 힘이 되었지만 프리드리히는 딜레마에 빠졌다. 이때에도 비텐베르그대학교 신학부는 루터에게 불명예를 줄 경우 신학부의 운명과 명성에 손실을 가져 올 것을 들어 루터 편에 서서 선제후에게 호소했다.
1518년 11월 9일 교황청은 면죄부에 대한 공식 견해를 나타내는 교서 Cum Postquam을 발표했다. 면죄부의 교리가 아직 교황의 승인을 받지 않았으므로 루터를 이단으로 단정하기 어려웠고, 면죄부에 해석이 너무 지나쳤기 때문이다. 종전까지는 면죄부를 구입함으로 형벌(penalty) 뿐 아니라 죄책(quilt)까지도 사해진다고 가르쳤으나 이제는 오직 형벌만 면할 수 있고 죄책은 사할 수 없다고 선포했다. 이 죄책은 참회의 성례를 통해서 만 사해진다고 했다. 그리고 지옥의 형벌을 사하는 것이 아니고 지상에서와 연옥에서 받을 형벌만 감해 주는 것 뿐이라고 했다. 지상에서 받아야 할 형벌은 교황이 사할 수 있으나 연옥에서 받아야 할 형벌은 교황이 그리스도와 성자들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