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is, a person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SAD) is afraid of behaving in a way that would result in embarrassment for his/herself under the watch of others, and one with TKS is worried about causing offense, which sometimes extends to the fear of bringing shame upon their family and friends.
Perhaps this is where some people would say, “how very (stereotypically) Japanese of them”.
성별과 관련된 쟁점
남성환자들은 성기에 좀 더 집착하는 반면, 여성 환자들은 섭식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근육이형증은 남성에게서만 발생한다.
감별진단
외모에 대한 정상적인 걱정과 분명하게 알아챌 수 있는 신체적 결함
신체이형장애는 외모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이 있음. 대체로 이런 행동으로 시간을 많이 소모하고 저항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기능 영역에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이 있음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신체적 결함은 신체이형장애로 진단하지 않음 (하지만 이로 인해 피부를 뜯게 되어 피부 병변과 반흔을 초래하면 진단할 수 있음)
섭식장애
신체이형장애도 체중에 대한 염려가 있을 수 있으며 섭식장애와 신체이형장애는 동반이환될 수 있고, 이 경우 둘 다 진단 한다.
기타 강박 및
관련 장애
피부를 뜯는 행위가 피부에 결함이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피부뜯기장애보다 신체이형장애로 진단해야 한다. (발모광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요우울장애
주요우울장애와 우울 증상은 신체이형장애 환자에게 흔함. 종종 신체이형장애가 일으키는 고통과 기능 손상에 이차적으로 나타남 신체이형장애 진단기준을 만족한다면 우울한 환자들에게서도 이 진단을 내릴 수 있음
불안장애
신체이형장애에서의 걱정과 염려는 오로지 외모상의 결함
정신병적 장애
신체이형장애는 와해된 행동이나 다른 정신병적 증상은 없음
기타 질환과 증상
성별 불쾌감 환자처럼 자신의 성적 특성을 없애기 위한 욕구 중에 발생하는 불편감에만 국한되거나, 후각관계 증후군처럼 집착이 스스로 몸에서 역겹고 나쁜 냄새가 난다는 믿음에만 국한되면 진단할 수 없다.
신체정체성 통합장애는 자신의 신체정체성 감각과 실제 해부학적 구조 사이의 부조화 경험을 교정하기 위해 사지를 절단하고 싶어하는 증상인데, 신체이형장애는 이것처럼 사지의 형태에 초점을 두지 않음
코로Koro는 음경(여성은 음순, 유두, 유방)이 복부 내로 퇴축되거나 움츠러들지도 모른다는 공포를 보이며 이로 인해 죽을지도 모른다는 믿음을 보이는 데 이것은 죽음에 대한 공포가 더 크다는 것에서 차이점이 있음
원인
정신분석적 입장
- 어린 시절의 심리성적 발달과정에서 특수한 경험을 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과 상징적인 연관성을 지닌 특정한 신체부위에 집착하게 되는 것 (무의식적 성적, 정서적 갈등이 신체부위에 대치되어 나타나는 것)
인지행동적 입장
- 신체변형장애 환자는 신체적 외모의 매력을 일반인들보다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음
- 모호한 사회적 상황이나 외모와 관련된 평가를 일반인들보다 더 부정적이고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
신체변형 장애 환자들이 나타내는 사고의 가장 핵심적 특징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
신체이형장애가 발생하는 과정
우연히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외모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하거나 자신의 외모에 대해 다른 사람의 논평을 접함
이러한 사건을 통해 자신의 신체적 특성에 주목하게 되면 자신의 외모를 미적 대상으로 보고 평가함
신체변형 장애를 지닌 사람은 외모에 대한 높은 미적 민감성(aesthetic sensitivity)이 있어 자신의 신체적 결함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이면서 점점 더 기형적인 것으로 보게 됨
외모의 중요성을 과도하게 높이 평가하는 비합리적 신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의 실패를 외모의 결함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귀인의 오류를 범함
그 외의 입장
- 세로토닌과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
- 다른 정신장애(조현병, 기분장애, 성격장애)로부터 기인한다고 보는 사람도 있음
- 한 사회나 문화 속에 존재하는 미모에 대한 개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
특징
- 이 장애 환자들은 대부분 심리적 원인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심리적 치료를 거부
- 정상적인 외모에 대해서 전혀 비현실적인 근거로 자신의 외모가 기형이라는 확신을 지님(망상적 수준인 경우도 있음)
치료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clomipramine, fluvoxamine, citalopram, fluoxetine)
노출 및 반응방지법은 경미한 증상을 지닌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
중등도인 경우 SSRI를 중증인 경우 인지행동치료와 SSRI를 병합
행동적 치료
신체변형 장애 환자들은 신체적 결함과 사회적 거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회피
환자와 함께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 대한 위계를 작성하여 점진적 노출
외모에 대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반복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함
(예: 거울보기, 피부 뜯기, 과도한 화장, 반복적인 성형수술, 다른 사람과 비교)
환자들이 지니는 부정적인 생각(예: 이런 얼굴로 학교를 가면 놀림 받을거야)을 검증하기 위해 행동실험을 계획하고 그 결과를 검토
인지적 치료
신체변형장애를 지닌 사람이 가진 외모와 관련된 부적응적 신념에 도전하여 합리적 신념을 지니도록 유도
신체적 결함에 집착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사고(예: 나는 괴물같이 보일거야, 이런 나를 누가 좋아하겠어)를 찾아내어 도전할 뿐만 아니라 그 기저에 존재하는 역기능적 신념(예: 외모가 추하면 나는 무가치해, 성공하려면 외모가 중요해)을 파악하여 수정하도록 도움
외모가 아니라 재능, 기술, 경험, 성격적 매력, 도덕성과 같은 특성을 통해서 자기 가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
최근은 신체부위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이는 편향적 주의경향성을 개선하기 위해 마음챙김을 결합한 지각 재훈련을 하기도 함
Perhaps this is where some people would say, “how very (stereotypically) Japanese of them”.
성별과 관련된 쟁점
남성환자들은 성기에 좀 더 집착하는 반면, 여성 환자들은 섭식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근육이형증은 남성에게서만 발생한다.
감별진단
외모에 대한 정상적인 걱정과 분명하게 알아챌 수 있는 신체적 결함
신체이형장애는 외모에 대한 지나친 집착과 반복적인 행동이 있음. 대체로 이런 행동으로 시간을 많이 소모하고 저항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기능 영역에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이 있음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신체적 결함은 신체이형장애로 진단하지 않음 (하지만 이로 인해 피부를 뜯게 되어 피부 병변과 반흔을 초래하면 진단할 수 있음)
섭식장애
신체이형장애도 체중에 대한 염려가 있을 수 있으며 섭식장애와 신체이형장애는 동반이환될 수 있고, 이 경우 둘 다 진단 한다.
기타 강박 및
관련 장애
피부를 뜯는 행위가 피부에 결함이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피부뜯기장애보다 신체이형장애로 진단해야 한다. (발모광의 경우도 마찬가지)
주요우울장애
주요우울장애와 우울 증상은 신체이형장애 환자에게 흔함. 종종 신체이형장애가 일으키는 고통과 기능 손상에 이차적으로 나타남 신체이형장애 진단기준을 만족한다면 우울한 환자들에게서도 이 진단을 내릴 수 있음
불안장애
신체이형장애에서의 걱정과 염려는 오로지 외모상의 결함
정신병적 장애
신체이형장애는 와해된 행동이나 다른 정신병적 증상은 없음
기타 질환과 증상
성별 불쾌감 환자처럼 자신의 성적 특성을 없애기 위한 욕구 중에 발생하는 불편감에만 국한되거나, 후각관계 증후군처럼 집착이 스스로 몸에서 역겹고 나쁜 냄새가 난다는 믿음에만 국한되면 진단할 수 없다.
신체정체성 통합장애는 자신의 신체정체성 감각과 실제 해부학적 구조 사이의 부조화 경험을 교정하기 위해 사지를 절단하고 싶어하는 증상인데, 신체이형장애는 이것처럼 사지의 형태에 초점을 두지 않음
코로Koro는 음경(여성은 음순, 유두, 유방)이 복부 내로 퇴축되거나 움츠러들지도 모른다는 공포를 보이며 이로 인해 죽을지도 모른다는 믿음을 보이는 데 이것은 죽음에 대한 공포가 더 크다는 것에서 차이점이 있음
원인
정신분석적 입장
- 어린 시절의 심리성적 발달과정에서 특수한 경험을 하게 되고 이러한 경험과 상징적인 연관성을 지닌 특정한 신체부위에 집착하게 되는 것 (무의식적 성적, 정서적 갈등이 신체부위에 대치되어 나타나는 것)
인지행동적 입장
- 신체변형장애 환자는 신체적 외모의 매력을 일반인들보다 더 민감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음
- 모호한 사회적 상황이나 외모와 관련된 평가를 일반인들보다 더 부정적이고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
신체변형 장애 환자들이 나타내는 사고의 가장 핵심적 특징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부정적 평가
신체이형장애가 발생하는 과정
우연히 거울을 보면서 자신의 외모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하거나 자신의 외모에 대해 다른 사람의 논평을 접함
이러한 사건을 통해 자신의 신체적 특성에 주목하게 되면 자신의 외모를 미적 대상으로 보고 평가함
신체변형 장애를 지닌 사람은 외모에 대한 높은 미적 민감성(aesthetic sensitivity)이 있어 자신의 신체적 결함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이면서 점점 더 기형적인 것으로 보게 됨
외모의 중요성을 과도하게 높이 평가하는 비합리적 신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자신의 실패를 외모의 결함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귀인의 오류를 범함
그 외의 입장
- 세로토닌과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
- 다른 정신장애(조현병, 기분장애, 성격장애)로부터 기인한다고 보는 사람도 있음
- 한 사회나 문화 속에 존재하는 미모에 대한 개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
특징
- 이 장애 환자들은 대부분 심리적 원인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심리적 치료를 거부
- 정상적인 외모에 대해서 전혀 비현실적인 근거로 자신의 외모가 기형이라는 확신을 지님(망상적 수준인 경우도 있음)
치료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clomipramine, fluvoxamine, citalopram, fluoxetine)
노출 및 반응방지법은 경미한 증상을 지닌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
중등도인 경우 SSRI를 중증인 경우 인지행동치료와 SSRI를 병합
행동적 치료
신체변형 장애 환자들은 신체적 결함과 사회적 거부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사회적 상황을 회피
환자와 함께 불안을 야기하는 상황에 대한 위계를 작성하여 점진적 노출
외모에 대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반복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함
(예: 거울보기, 피부 뜯기, 과도한 화장, 반복적인 성형수술, 다른 사람과 비교)
환자들이 지니는 부정적인 생각(예: 이런 얼굴로 학교를 가면 놀림 받을거야)을 검증하기 위해 행동실험을 계획하고 그 결과를 검토
인지적 치료
신체변형장애를 지닌 사람이 가진 외모와 관련된 부적응적 신념에 도전하여 합리적 신념을 지니도록 유도
신체적 결함에 집착하게 만드는 부정적인 사고(예: 나는 괴물같이 보일거야, 이런 나를 누가 좋아하겠어)를 찾아내어 도전할 뿐만 아니라 그 기저에 존재하는 역기능적 신념(예: 외모가 추하면 나는 무가치해, 성공하려면 외모가 중요해)을 파악하여 수정하도록 도움
외모가 아니라 재능, 기술, 경험, 성격적 매력, 도덕성과 같은 특성을 통해서 자기 가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
최근은 신체부위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이는 편향적 주의경향성을 개선하기 위해 마음챙김을 결합한 지각 재훈련을 하기도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