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진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은 패션에 관계된 점포의 디스플레이다.
ⓑ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 : 상품선전이나 기업선전을 위한 전시회ㆍ전람회 등은 전시 디스플레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이것 역시 제품ㆍ상품의 판매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의미가 담겨 있으나, 이는 보다 장기적으로 준비된 것으로 거래도 업자 사이나 기업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92> 포장의 의의 및 기능
① 포장의 의의 : 적절한 재료나 용기로 물품을 싸는 일 또는 짐을 꾸리는 일로써 오늘날의 산업사회ㆍ소비사회에서는 상품의 다종다양함과 유통경로의 차이로 상품의 특성과 상품가치의 유지에 따른 포장개념은 그 범위가 매우 넓어졌다
② 포장의 기능
ⓐ 포장 기능은 개장ㆍ내장의 소비자포장, 외장의 수송포장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달라진다.
ⓑ 개장은 사용자에게 건네지는 최소단위의 포장으로서 정보표시에, 내장은 개장의 보호에, 외장은 수출목적에 각각 중점을 둔다.
ⓒ 이와 같이 물품이 생산되어 마지막 소비자에게 건네지고 소비되기까지 필요한 보호기능 및 생산성ㆍ기계적응성ㆍ편리성ㆍ보온성ㆍ방습성ㆍ방청성ㆍ안전위생성ㆍ폐분성ㆍ판매촉진성 등, 상품의 성질과 유통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저렴한 비용이 요구된다.
93> 포장의 사용면에서 분류
① 수송포장 : 수송포장이란 수송ㆍ하역ㆍ보관 때에 내용품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포장이며, 나아가서 화물ㆍ컨테이너ㆍ트럭ㆍ창고와의 사이에서 일관된 팰릿시스템에 의한 토털포장도 뜻한다.
② 소비자 포장 : 소비자포장은 마지막 소비자에게 물품이 건네질 때의 포장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끌기 쉽고, 보는 순간 그 상품이 무엇인가, 품질 및 편리성은 어떠한가, 하는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알맞은 크기ㆍ형태ㆍ디자인 등으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는 <무언의 세일즈맨> 으로서의 역할이 중시된다.
94> 포장의 형태
① 기초 포장 : 제품을 직접 덮고 있는 용기를 말한다.
② 2차 포장 : 기초포장을 보호하며 제품 사용 시 분리되는 포장재를 말한다.
③ 운송 포장 : 운송과정을 위해서 제작되는 포장이며, 보관, 식별, 운송이 용이해야 한다.
④ 표찰 : 포장의 겉면에 부착되어 제품정보를 제공한다.
95> 포장의 제품기능
① 제품을 담는 기능 : 제품이 액체나 가루로 되어 있는 경우 담아야함
② 제품의 보호 기능 : 제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③ 제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 : 소비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음료수의 캔 등이다.
96> 포장의 의사전달기능
① 제품의 식별기능 : 포장의 형태나 색상을 독특하고 개성 있게 디자인 한다.
② 제품의 인상을 심어주는 기능 : 제품이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③ 정보제시 기능 :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한다.
④ 태도변화 기능 :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한다.
97> 포장의 가격기능
① 대형포장 구매유도 기능 : 대형포장을 통하여 가격을 낮춤
② 다수량 구매유도기능 : 낱개로 구매하기 보다는 다수량 포장을 통한 대량구매를 유도함
③ 가격표시 기능 : 가격표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
98> 포장재료의 발주ㆍ관리
① 포장재료의 발주
ⓐ 포장재료의 발주는 가능한 대량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발주할 때에는 납품까지의 기일을 고려하여야 한다.
ⓑ 발주에서 납품하기까지의 기간을 리드 타임이라고 한다.
ⓒ 백화점 같은 대형점에서는 3일분 사용량을 발주하는 것이 좋다.
② 포장재료의 관리
ⓐ 포장재료는 적정재고의 보유가 필요하다.
ⓑ 포장지를 콘크리트 바닥에 쌓아 두면 곰팡이가 슬기 쉬우므로 공기가 잘 통하도록 각목을 밑에 괴고, 그 위에 높으면 된다.
ⓒ 점포에서 매일 사용되는 포장재료의 2배, 즉, 2일분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 재고가 없어지면 리드타임을 계산에 넣고 발주하여야 한다.
99> 포장방법
① 방수포장기법 : 수송, 보관, 하역 과정에서 방수접착, 봉함재 등을 사용하여 포장 내부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방수포장이다. 방수포장에서 방습포장을 병용할 경우 방습포장은 내면에, 방수포장은 외면에 하는 것이 원칙이다.
② 방습포장기법 : 습기가 물류 과정의 제품을 손상시키지 않게 습기를 방지하게 하는 포장을 말한다.
③ 완충포장기법 : 물류과정의 제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힘을 완화시키는 포장을 말한다.
④ 방청포장기법 : 기계류 등 금속제품은 물류과정에서 녹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모든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기술 또는 금속포장시에 있어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혹은 수단을 방청포장이라고 한다.
⑤ 집합포자기법 : 집합포장은 수송포장을 취급함에 있어서 기계 하역의 대상이 되는 비교적 대형화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물품 또는 수송포장을 한데 모아 적재함으로써 하나의 단위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⑥ 식품포장기법 : 식품포장의 목적은 품질과 안전성의 보존, 작업성ㆍ간편성의 부여, 내용식품의 표시, 유통ㆍ수송의 합리화와 계획화, 상품가치의 향상 등 인데, 특히 식품의 부패방지와 품질 보존은 중요한 포장의 역할이다.
100> 포장 디자인의 조건
① 일반적 조건
ⓐ 제품의 특성을 포장에 의해서 충분히 강조할 것
ⓑ 보는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색채계획을 할 것
ⓒ 제품의 특징을 색채에 의해서 강조할 것
ⓓ 식료품의 포장은 청결하게 해서 식욕을 돋구게 할 것
ⓔ 기업이미지와 부합되게 할 것
ⓕ 포장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테스트는 사전에 실시할 것
ⓖ 포장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테스트는 사전에 실시할 것
ⓗ 경쟁상품과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 색채와 디자인을 고안할 것
ⓘ 디자인과 색채는 조형적으로 아름답고 조화가 이루어지게 할 것
② 판매업자측의 조건
ⓐ 개봉 또는 재표장이 용이 할 것
ⓑ 내용 표시가 간단 명료할 것
ⓒ POS(Point of sale)의 효과가 있을 것
ⓓ 소비자의 감각에 부합된 디자인일 것
③ 소비자 측의 조건
ⓐ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
ⓑ 개봉 또는 재포장이 용이할 것
ⓒ 포장 후 처리나 재이용이 간단할 것
ⓑ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 : 상품선전이나 기업선전을 위한 전시회ㆍ전람회 등은 전시 디스플레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이것 역시 제품ㆍ상품의 판매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의미가 담겨 있으나, 이는 보다 장기적으로 준비된 것으로 거래도 업자 사이나 기업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92> 포장의 의의 및 기능
① 포장의 의의 : 적절한 재료나 용기로 물품을 싸는 일 또는 짐을 꾸리는 일로써 오늘날의 산업사회ㆍ소비사회에서는 상품의 다종다양함과 유통경로의 차이로 상품의 특성과 상품가치의 유지에 따른 포장개념은 그 범위가 매우 넓어졌다
② 포장의 기능
ⓐ 포장 기능은 개장ㆍ내장의 소비자포장, 외장의 수송포장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이 달라진다.
ⓑ 개장은 사용자에게 건네지는 최소단위의 포장으로서 정보표시에, 내장은 개장의 보호에, 외장은 수출목적에 각각 중점을 둔다.
ⓒ 이와 같이 물품이 생산되어 마지막 소비자에게 건네지고 소비되기까지 필요한 보호기능 및 생산성ㆍ기계적응성ㆍ편리성ㆍ보온성ㆍ방습성ㆍ방청성ㆍ안전위생성ㆍ폐분성ㆍ판매촉진성 등, 상품의 성질과 유통환경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저렴한 비용이 요구된다.
93> 포장의 사용면에서 분류
① 수송포장 : 수송포장이란 수송ㆍ하역ㆍ보관 때에 내용품을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포장이며, 나아가서 화물ㆍ컨테이너ㆍ트럭ㆍ창고와의 사이에서 일관된 팰릿시스템에 의한 토털포장도 뜻한다.
② 소비자 포장 : 소비자포장은 마지막 소비자에게 물품이 건네질 때의 포장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끌기 쉽고, 보는 순간 그 상품이 무엇인가, 품질 및 편리성은 어떠한가, 하는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알맞은 크기ㆍ형태ㆍ디자인 등으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할 수 있는 <무언의 세일즈맨> 으로서의 역할이 중시된다.
94> 포장의 형태
① 기초 포장 : 제품을 직접 덮고 있는 용기를 말한다.
② 2차 포장 : 기초포장을 보호하며 제품 사용 시 분리되는 포장재를 말한다.
③ 운송 포장 : 운송과정을 위해서 제작되는 포장이며, 보관, 식별, 운송이 용이해야 한다.
④ 표찰 : 포장의 겉면에 부착되어 제품정보를 제공한다.
95> 포장의 제품기능
① 제품을 담는 기능 : 제품이 액체나 가루로 되어 있는 경우 담아야함
② 제품의 보호 기능 : 제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③ 제품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 : 소비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음료수의 캔 등이다.
96> 포장의 의사전달기능
① 제품의 식별기능 : 포장의 형태나 색상을 독특하고 개성 있게 디자인 한다.
② 제품의 인상을 심어주는 기능 : 제품이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③ 정보제시 기능 :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한다.
④ 태도변화 기능 :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한다.
97> 포장의 가격기능
① 대형포장 구매유도 기능 : 대형포장을 통하여 가격을 낮춤
② 다수량 구매유도기능 : 낱개로 구매하기 보다는 다수량 포장을 통한 대량구매를 유도함
③ 가격표시 기능 : 가격표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함
98> 포장재료의 발주ㆍ관리
① 포장재료의 발주
ⓐ 포장재료의 발주는 가능한 대량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발주할 때에는 납품까지의 기일을 고려하여야 한다.
ⓑ 발주에서 납품하기까지의 기간을 리드 타임이라고 한다.
ⓒ 백화점 같은 대형점에서는 3일분 사용량을 발주하는 것이 좋다.
② 포장재료의 관리
ⓐ 포장재료는 적정재고의 보유가 필요하다.
ⓑ 포장지를 콘크리트 바닥에 쌓아 두면 곰팡이가 슬기 쉬우므로 공기가 잘 통하도록 각목을 밑에 괴고, 그 위에 높으면 된다.
ⓒ 점포에서 매일 사용되는 포장재료의 2배, 즉, 2일분을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 재고가 없어지면 리드타임을 계산에 넣고 발주하여야 한다.
99> 포장방법
① 방수포장기법 : 수송, 보관, 하역 과정에서 방수접착, 봉함재 등을 사용하여 포장 내부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방수포장이다. 방수포장에서 방습포장을 병용할 경우 방습포장은 내면에, 방수포장은 외면에 하는 것이 원칙이다.
② 방습포장기법 : 습기가 물류 과정의 제품을 손상시키지 않게 습기를 방지하게 하는 포장을 말한다.
③ 완충포장기법 : 물류과정의 제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힘을 완화시키는 포장을 말한다.
④ 방청포장기법 : 기계류 등 금속제품은 물류과정에서 녹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모든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포장기술 또는 금속포장시에 있어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혹은 수단을 방청포장이라고 한다.
⑤ 집합포자기법 : 집합포장은 수송포장을 취급함에 있어서 기계 하역의 대상이 되는 비교적 대형화물의 집합체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물품 또는 수송포장을 한데 모아 적재함으로써 하나의 단위화물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⑥ 식품포장기법 : 식품포장의 목적은 품질과 안전성의 보존, 작업성ㆍ간편성의 부여, 내용식품의 표시, 유통ㆍ수송의 합리화와 계획화, 상품가치의 향상 등 인데, 특히 식품의 부패방지와 품질 보존은 중요한 포장의 역할이다.
100> 포장 디자인의 조건
① 일반적 조건
ⓐ 제품의 특성을 포장에 의해서 충분히 강조할 것
ⓑ 보는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색채계획을 할 것
ⓒ 제품의 특징을 색채에 의해서 강조할 것
ⓓ 식료품의 포장은 청결하게 해서 식욕을 돋구게 할 것
ⓔ 기업이미지와 부합되게 할 것
ⓕ 포장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테스트는 사전에 실시할 것
ⓖ 포장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테스트는 사전에 실시할 것
ⓗ 경쟁상품과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 색채와 디자인을 고안할 것
ⓘ 디자인과 색채는 조형적으로 아름답고 조화가 이루어지게 할 것
② 판매업자측의 조건
ⓐ 개봉 또는 재표장이 용이 할 것
ⓑ 내용 표시가 간단 명료할 것
ⓒ POS(Point of sale)의 효과가 있을 것
ⓓ 소비자의 감각에 부합된 디자인일 것
③ 소비자 측의 조건
ⓐ 만족감을 줄 수 있을 것
ⓑ 개봉 또는 재포장이 용이할 것
ⓒ 포장 후 처리나 재이용이 간단할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