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확률표집
1. 단순무작위표집
2. 계통적 표집
3. 층화표집
II. 비확률표집
1. 할당표집
2. 임의표집
3. 유의표집
4. 눈덩이표집
* 참고문헌
1. 단순무작위표집
2. 계통적 표집
3. 층화표집
II. 비확률표집
1. 할당표집
2. 임의표집
3. 유의표집
4. 눈덩이표집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인할 방법이 없고, 모집단에 대한 상당한 사전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4) 눈덩이표집 (Snowball Sampling)
눈덩이표집은 구드맨(Goodman, 1961)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한 표본추출방법으로,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연결망(interconnected network)을 가진 사람들이나 조직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상호작용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연결망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네티즌, 벤처기업가, 대학에서 동아리 참가자, 동성애자 등 수많은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결망 안에서 간접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沈는 B와 서로 벤처기업정보를 교환하는 친구이고, C도 B와 벤처기업정보를 교환하는 친구이나 거와 C는 서로 모르는 사이이다. 이 경우 A와 C는 서로 모르는 사이이지만 B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눈덩이표집은 눈덩이를 만드는 것같이 표본추출을 하는 방법이다. 즉, 눈덩이를 굴려서 키우듯이 연결망을 통해 원하는 만큼 많은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처음 1~2명의 표본을 추출한 후, 그들 각각을 통해 3-4명의 다른 표본을 소개받고, 또 소개받은 사람 각각을 통해 3-4명의 표본을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Neuman, 1991 : 204-205)
예를 들어 동성애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본추출을 하고자 할 경우 동성애자들의 모집단을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으며, 표본추출 또한 쉽지가 않다. 이때 처음 2명의 동성애자들을 알았다면 그들로부터 각각 3명씩 동성애자들을 소개받고, 다시 소개받은 사람들로부터 각각 3명씩 소개를 받는 식으로 표본을 늘려 간다. 이 경우 소개를 계속 받다 보면 중복되는 사람을 소개받을 수도 있다. 표본이 원하는 수만큼 확보되든지 새로운 표본을 얻을 수 없을 때 표본추출을 중단한다.
눈덩이표집 하나의 연결망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할 때 적절한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모집단을 파악하기 곤란한 대상을 표본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비확률표집과 같이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고,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4) 눈덩이표집 (Snowball Sampling)
눈덩이표집은 구드맨(Goodman, 1961)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한 표본추출방법으로,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연결망(interconnected network)을 가진 사람들이나 조직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상호작용하면서 서로 영향을 미치는 연결망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네티즌, 벤처기업가, 대학에서 동아리 참가자, 동성애자 등 수많은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결망 안에서 간접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沈는 B와 서로 벤처기업정보를 교환하는 친구이고, C도 B와 벤처기업정보를 교환하는 친구이나 거와 C는 서로 모르는 사이이다. 이 경우 A와 C는 서로 모르는 사이이지만 B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눈덩이표집은 눈덩이를 만드는 것같이 표본추출을 하는 방법이다. 즉, 눈덩이를 굴려서 키우듯이 연결망을 통해 원하는 만큼 많은 수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처음 1~2명의 표본을 추출한 후, 그들 각각을 통해 3-4명의 다른 표본을 소개받고, 또 소개받은 사람 각각을 통해 3-4명의 표본을 추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Neuman, 1991 : 204-205)
예를 들어 동성애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본추출을 하고자 할 경우 동성애자들의 모집단을 파악하기가 쉽지가 않으며, 표본추출 또한 쉽지가 않다. 이때 처음 2명의 동성애자들을 알았다면 그들로부터 각각 3명씩 동성애자들을 소개받고, 다시 소개받은 사람들로부터 각각 3명씩 소개를 받는 식으로 표본을 늘려 간다. 이 경우 소개를 계속 받다 보면 중복되는 사람을 소개받을 수도 있다. 표본이 원하는 수만큼 확보되든지 새로운 표본을 얻을 수 없을 때 표본추출을 중단한다.
눈덩이표집 하나의 연결망을 가진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할 때 적절한 표본을 추출할 수 있으며, 모집단을 파악하기 곤란한 대상을 표본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비확률표집과 같이 결과의 일반화가 어렵고,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많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