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역사의 현장을 찾아서/교재에서 역사의 현장을 다루는 방식을 참고하여 나의 삶에 특별한 공간을 한두 곳 소개하고 그 의미를 서술할 것.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학교/역사의 현장을 찾아서/교재에서 역사의 현장을 다루는 방식을 참고하여 나의 삶에 특별한 공간을 한두 곳 소개하고 그 의미를 서술할 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창녕의 6.25전쟁
2. 6.25전적지가 나에게 중요한 이유
1) 역사의식과 기부
2) 유해발굴

Ⅲ.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듣고 권한이 많이 있지도 않은 그에게 더 많은 부탁을 하는 것이 민폐라고 여겨졌고, 명함을 주면서 “울산 근처로 유해발굴을 오시게 되면 연락하세요. 제가 팀장님과 팀원들 5∼6명의 밥을 사는 것 정도는 괜찮지 않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그 것을 마지막으로 나와 유해발굴의 인연은 사실상 끝난 것으로 여겨졌으나 약 6년 전 “포항에서 발굴이 있는데 오시겠습니까?”라고 하여 다소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려가게 되었고, 또다시 유해발굴이 진행되는 것을 몸소 볼 수가 있었다. 물론 그 이후에 그에게 유해발굴을 보러오라고 연락이 온 적은 없지만, 매년 연락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언젠간 기회가 주어질 것 같다.
Ⅲ. 느낀점
필자가 이번에 서술한 것이 유적이라 말하기는 힘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전쟁에서 만약에 패하게 되었다면 우리 대한민국은 적화통일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에 그 무엇보다 중요한 곳이라 생각한다. 게다가 본론에서 언급한 것처럼 우리 가문의 조상님들 중 몇 분도 6.25전쟁으로 인해 싸늘한 주검이 되고 말았기에 필자는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조금만 나이를 더 먹게 된다면 6.25유해발굴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오더래도 체력적으로 너무 힘들어서 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한 3∼5년 이내로 나에게 다시 유해발굴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면 좋겠다. 그 기회가 언제 올지 모르기 때문에 6.25전쟁사에 대해서도 좀 더 공부하고 주변에 있는 전적지도 더 많이 찾아가보려고 한다.
Ⅳ. 참고문헌
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1.02.01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45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