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불가리아 민족의 형성과정
2. 전통 문화와 민속의례
1) 출산 풍속과 의례
2) 결혼 풍속과 의례
3) 장례 의례와 풍속
3. 전통의복
1) 노동 복식
2) 일상 복식
3) 결혼 전후 복식
4) 장례 복식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불가리아 민족의 형성과정
2. 전통 문화와 민속의례
1) 출산 풍속과 의례
2) 결혼 풍속과 의례
3) 장례 의례와 풍속
3. 전통의복
1) 노동 복식
2) 일상 복식
3) 결혼 전후 복식
4) 장례 복식
Ⅲ. 맺음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퇴거를 명하였다. 불가족과 비잔틴 제국 로마군 사이의 협상이 결렬돼 681년 대결전을 펼친다. 불가족 아스파르흐 칸은 결전을 앞두고 하늘을 향해 조상신 ‘단군’에게 승전을 기원하는 제천의식을 행했다고 로마군 연락장교는 기록했다. 불가족은 681년의 대결전에서 승리하고, 정착하여 그해에 ‘불가리아’ 왕국을 건국했다. 이것이 고대 ‘불가리아 제1제국’(681∼1018년)이다. 불가리아 제1제국은 9세기 초에 판노니아 평원까지 영토를 확장하고 대국이 되어서, 서쪽으로 프랑크 제국과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불가리아 제1제국은 11세기 들어 약화되어 이번에는 도리어 비잔틴 제국의 공격을 받고 그 속주로 떨어졌다. 그 사이 소수 불가족과 다수 슬라브족 사이의 혼혈로 외형은 슬라브족 모습을 많이 갖게 됐다. 불가리아는 12세기 후반 다시 독립하여 ‘불가리아 제2제국’(1186∼1330년)을 수립했다. 그러나 이 제2제국의 지배층은 이미 슬라브화하여 제1제국 지배층과는 다른 모습을 갖게 되었다. 불가리아와 유럽 역사학자들은 현재 불가족이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다고 단념하고, 5세기 흑해지방 마그나 불가리아를 그 기원으로 삼아 역사를 쓰고 있다.〃 하지만 신용하 이화학술원 석좌교수는 불가리아 민족이 우리나라의 민족 중 하나인 ‘부여족’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앞서 말한 것처럼 불가리아 민족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당시 그 지역을 점유하고 있던 트라키아인과 주변에 다수 거주하고 있던 슬라브민족과 차후 오스만-터키의 지배를 받으면서 여러 민족이 섞이게 된다.
2. 전통 문화와 민속의례
1) 출산 풍속과 의례
김원회(2002) 김원회, 2002,「불가리아의 의례 문화에 나타나는 정교와 민간신앙적 요소 연구-일생 의례 분석을 중심으로-」.
에 의하면 〃불가리아인들은 아이를 갖지 못하는 여자는 죄많은 여자라고 여겼다. 따라서 임신이란 축하의 대상으로 간주되어왔다. 임신과 관련된 의례 문화는 임신 후 임산부가 가져야 하는 몸가짐과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룬다. 한 가정에서 임산부가 생겼을 때, 그 가정은 뱀을 죽이지 않고, 밧줄이나 쇠사슬, 혁대를 뛰어넘지 않으며, 토끼를 먹지 않는다. 또한 고양이나 개를 때리거나 차지 않고, 성상화를 보지 않으며,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임산부가 장례식에 가서 망자에게 인사하지 않는다. 또한 태몽을 상당히 중요시 생각하여 태몽연구 역시 발전하였다. 출산 시 성모가 크게 관련하다고 믿고 있다. 성모의 손이 물속에 들어가 완전히 퍼지게 되면 비로소 아이가 태어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산통이 계속되면 성모가 오지 않고 있어서 그렇다고 믿는다. 아이가 태어나면 작은 빵을 만들어 성모를 대접하고, 산모와 그 집안사람들이 먹는다. 아이의 탯줄은 빨간색 실로 감아 일정 기간 보관하거나 태운다. 태어난 아기는 3일 후 물속에 건강에 좋은 약초를 넣어 목욕시킨다. 또한 아이를 소금으로 싸서 하루 재운다. 출산이 이루어진 후 최소 3일, 최대 40일 동안 산모와 신생아를 지키기 위한 의례를 하는데, 그것은 악귀
2. 전통 문화와 민속의례
1) 출산 풍속과 의례
김원회(2002) 김원회, 2002,「불가리아의 의례 문화에 나타나는 정교와 민간신앙적 요소 연구-일생 의례 분석을 중심으로-」.
에 의하면 〃불가리아인들은 아이를 갖지 못하는 여자는 죄많은 여자라고 여겼다. 따라서 임신이란 축하의 대상으로 간주되어왔다. 임신과 관련된 의례 문화는 임신 후 임산부가 가져야 하는 몸가짐과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룬다. 한 가정에서 임산부가 생겼을 때, 그 가정은 뱀을 죽이지 않고, 밧줄이나 쇠사슬, 혁대를 뛰어넘지 않으며, 토끼를 먹지 않는다. 또한 고양이나 개를 때리거나 차지 않고, 성상화를 보지 않으며,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임산부가 장례식에 가서 망자에게 인사하지 않는다. 또한 태몽을 상당히 중요시 생각하여 태몽연구 역시 발전하였다. 출산 시 성모가 크게 관련하다고 믿고 있다. 성모의 손이 물속에 들어가 완전히 퍼지게 되면 비로소 아이가 태어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산통이 계속되면 성모가 오지 않고 있어서 그렇다고 믿는다. 아이가 태어나면 작은 빵을 만들어 성모를 대접하고, 산모와 그 집안사람들이 먹는다. 아이의 탯줄은 빨간색 실로 감아 일정 기간 보관하거나 태운다. 태어난 아기는 3일 후 물속에 건강에 좋은 약초를 넣어 목욕시킨다. 또한 아이를 소금으로 싸서 하루 재운다. 출산이 이루어진 후 최소 3일, 최대 40일 동안 산모와 신생아를 지키기 위한 의례를 하는데, 그것은 악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