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안전관리2급 교재 핵심 포인트 완벽정리 - 이것 하나면 무조건 합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방안전관리2급 교재 핵심 포인트 완벽정리 - 이것 하나면 무조건 합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소방관계법령>
<소방학 개론>
<소방시설 종류, 구조·점검>
<소방계획의 수립>
<계산문제 종합 정리>

본문내용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난연재료로 된 소방대상물은 2배의 기준면적으로 한다.
→ 공연장은 50m² 마다 1단위
→ 50m² x 2배 = 100m²
4. 소화기의 능력단위 p.93~94
1) 업무시설 350m² 중 구획된 거실이 50m²일 때, 이 바닥면적에 대한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그리고 소화기 설치대수는?
→ 업무시설 : 100m² 마다 1단위 이상을 비치
350m² ÷ 100 = 3.5 단위 (∴ 4단위)
3.3kg 소화기는 3단위이므로 업무시설은 2대 비치해야 함.
→ 거실 : 33m² 이상에 비치해야 하므로 거실에 1대 → 총 3개 비치해야 함
2) 바닥면적이 1,300m²인 판매시설에 소화기구를 설치하려 한다. 소화기구의 최대 능력단위는?
(단 주요 구조부는 내화구조이고, 벽 및 반자의 실내와 면하는 부분이 불연재료이다)
→ 능력단위 = 바닥면적(m²) / 기준바닥면적(m²)
→ 판매시설의 기준바닥면적은 100m², 내화구조로 내장재가 불연재- 바닥 기준 면적 2배
→ 1,300m² / (100x2) = 6.5 단위 (∴ 7단위) → 정답 : 7단위
3) 甲乙연극문화센터의 바닥넓이는 1,665m²이다. 설치하는 소화기의 능력단위가 A3.B5.C급 적응
일 때 몇 개의 소화기를 설치해야 하는가? (건물의 주요구조는 무시한다)
→ 공연장 50m² 마다 능력단위 1이상,
→ 일반적으로 3.3kg 분말(ABC) 소화기의 능력단위는 3이다.
→ 1,665m² / 50m² = 33.3 단위 (∴ 34단위)
→ 34단위 / 3 (3.3kg 소화기 1개 능력단위 3이므로) = 11.1 개 → 12개 (소수점 절상)
→ 정답 : 12개
5. 옥내소화전 수량 p.104
1) 옥내소화전이 1층에 4개, 2층에 4개, 3층에 2대가 설치된 소방대상물이 있다. 옥내소화전
설비를 위해 최대 수원의 양은?
→ 옥내소화전 수원의 양 Q (m³) = N x 2.6m³
→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 (최대 5개) Q = 4 x 2.6 = 10.4m³
→ 정답 10.4m³
2) 30층 이하, 옥내 소화전이 3개일 경우, 7개일 경우 준비해야 할 양은?
→ 3개일 경우 : 3개 x 2.6m³ = 7.8m³
→ 7개일 경우 : 5개 x 2.6m³ = 13m³ (5개 이상일 경우 5개로 한정)
6. 스프링클러 저수량 p.121
1) 폐쇄형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경우 5층 판매시설의 저수량은 얼마인가?
→ 10층 이하인 경우 판매시설 헤드 기준 개수 30개
→ 저수량 = 헤드 기준개수 x 1.6m²
→ 30개(헤드 기준개수) x 1.6m² = 48m²
2) 폐쇄형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30층 아파트의 경우 저수량은 얼마인가?
→ 아파트 헤드 기준 개수 10개
→ 30층 이상 저수량 = 헤드 기준개수 x 3.2m²
→ 10개(헤드 기준개수) x 3.2m² = 32m²
3) 지하가의 스프링클러의 저수량은?
→ 지하가 헤드 기준 개수 30개
→ 저수량 = 헤드 기준개수 x 1.6m²
→ 30개(헤드 기준개수) x 1.6m² = 48m²
4) 15층 아파트의 폐쇄형 스프링클러를 사용하는 경우 저수량은 얼마인가?
→ 아파트 헤드 기준 개수 10개
→ 30층 이하 저수량 = 헤드 기준개수 x 1.6m²
→ 10개(헤드 기준개수) x 1.6m² = 16m²
7. P형 수신기 경계구역 p.154
1) A 건물과 B 건물의 경계구역 개수는 총 몇 개인가?
(단, A 건물과 B 건물의 1층은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인다)
→ 1층 : 출입구에서 전체가 보이므로 50m 범위 내에서 1,000m²로 할 수 있다.
( A 건물에서 1개, B 건물은 50m 초과되었으므로 2개) --- 1층 3개
→ 2층 : 면적 600m², 길이 50m 이므로 1개
→ 3~4층 : 두 개 층이 500m² 이므로 1개
→ 정답 5개 구역
2) A 건물과 B 건물의 경계구역 개수는 총 몇 개인가?
(단, B 건물의 1층은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인다)
→ A 건물 (A건물에서 전체가 보이지 않으므로 500m²에 하나씩 → 2개
→ B 건물 1층 50m 초과되었으므로 2개)
2층 : 면적 600m², 길이 50m 이므로 1구역
3~4층 : 두 개 층이 500m² 이므로 1구역
→ 정답 6개 구역
3) 다음 그림의 자동화재탐지기(P형) 경계구역은 최소 몇 개인가? (변의 길이는 50m내)
→ 지하층 : 600m² 초과 → 2개 (※※ 지하층은 지하구가 아니다.)
→ 1층~3층 : 각 1개 (600m² 이하 1개)
→ 4~5층 : 두 개 층 합쳐서 500m² 이므로 1개
→ 정답 6개
4) 다음 그림은 지하구의 그림이다. 자동화재탐지기(P형 수신기) 경계구역은 최소 몇 개인가?
→ ① 지하구는 하나의 경계구역은 700m 이하로 한다.
② 800m : 2개, 1,400m : 2개, 700m : 1개
→ 정답 5개
8. 감지기 설치 개수 p.158
1)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다음 그림의 가, 나, 다와 같은 크기의 실이 있는 경우 건축물에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2종)을 설치할 경우 필요한 감지기의 최소 수량은?
(감지기의 부착 높이는 3.5m이다)
→ 4m 미만, 2종의 경우 설치 유효면적은 70m²
→ [가], [나]실 : 6 x 10 = 60m² 이므로 각 1개씩,
→ [다]실 : 6x20=120m² 이므로 2개
→ 정답은 4개
2)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4m 미만인 소방대상물의 제1종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설치유효
면적은?
→ 구질구질칠육사 → 60m²
9. 객석 유도등 설치 p. 185
1) 객선통로의 직선 길이가 47m이다. 객석 유도등을 몇 개 설치해야 하는가?
→ 객석 유도등 설치개수 = (객석통로의 직선부분의 길이(m)/4) - 1
→ (47m / 4) -1 = 10.75 (소수점 이하 절상) → 11개
2) 극장의 객석 통로의 직선 길이가 37m일 때 객석유도등의 설치개수는?
→ (37 / 4) - 1 = 8.25 → 9개
3) 객석통로의 직선부분의 길이가 54m일 경우 객석유도등은 몇 개 설치해야 하는가?
→ (54 / 4) - 1 = 12.3 → 13개
  • 가격4,9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21.03.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65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