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 문화 대혁명의 발발
2. 중국 문화 대혁명의 결과
3. 중국 문화 대혁명에 대한 반응 및 평가
2. 중국 문화 대혁명의 결과
3. 중국 문화 대혁명에 대한 반응 및 평가
본문내용
리영희는 저서 《8억 인과의 대화》를 통해 당시 서구의 문화 대혁명에 대한 호의적인 시각을 소개하고 중국의 전통적 지배계급에 대한 인민대중노선, 집단적 권위주의에 대한 해체 운동 등에 대해 역발상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후 리영희는 냉전을 거치며 중국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찾고자 하였고 당시 공급된 정보의 제한 때문에 자신은 문혁의 부정적인 면과 홍위병의 잔인한 행태에 대해서 책을 펴낼 당시에는 몰랐다고, 지금은 견해를 수정하였다고 말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문화 대혁명이 외교와 내치 면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홍위병은 대자보를 통해 당시 시장 활동에 조금씩 나서려고 했던 김일성 주석을 \"수정주의자\"로 비난했고 심지어는 월경을 하여 연변조선족자치주를 침입해 자기네 영토로 만들려고 하는가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반(反) 김일성 봉기가 일어났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해 기회를 넘보려하기도 했다. 이에 반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와 김일성은 한때 혈맹 관계였던 조중 관계를 파기하고 친소 노선으로 기울어졌다. 그러나 김일성 자신도 문화 대혁명을 모방한 운동을 오랫동안 펼치며 주체사상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지도 이념이 되어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