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의 대내적 기능들(성적 통제, 애정의 기능 등) 중에서 자신이 생각하기에 과거에 비해 현대 사회에서 중요도가 낮아진 기능은 무엇이고 낮아진 이유에 대해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생각한다. 이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우리나라 가족의 종교기능이 약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내 주변에도 조상 기일을 지키면서 제사를 지내는 친구들이 있다. 그러나 제사는 연간 3회 이상 지내는 친구들이 거의 없었는데.. 연간 단 1~3회 정도 제사를 지낸다는 이유를 빌미로, 가족의 종교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일반화의 오류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종가집이여서 연간 30회 이상 제사를 지낸다면 가족의 종교기능이 매우 중요하고 강하다고 말할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종가집을 보기 힘들 뿐 아니라 기독교로 개종한 종가집도 적지 않기 때문에 가족의 종교기능은 중요도가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국민 중 기도하는 자세로 하루하루 가족생활을 감사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고 있으며, 가정주부도 집에 기거하는 시간보다 친구들을 만나거나 따로 개인일을 보는 시간이 많다. 자녀들도 학교나 학원을 가기 때문에 하루 일과 중 대다수를 가정 밖에서 보내고 있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무척 거북하다. 집에만 있으면 마치 감옥에 갇힌 것 같은 생각이 들기
-우리나라 국민 중 기도하는 자세로 하루하루 가족생활을 감사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고 있으며, 가정주부도 집에 기거하는 시간보다 친구들을 만나거나 따로 개인일을 보는 시간이 많다. 자녀들도 학교나 학원을 가기 때문에 하루 일과 중 대다수를 가정 밖에서 보내고 있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무척 거북하다. 집에만 있으면 마치 감옥에 갇힌 것 같은 생각이 들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