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학습원리
1)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3) 인지적 학습이론
2. 학습원리의 적용
1) 고전적 조건형성
2) 조작적 조건형성
3) 인지적 학습이론
III. 결론
II. 본론
1. 학습원리
1)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3) 인지적 학습이론
2. 학습원리의 적용
1) 고전적 조건형성
2) 조작적 조건형성
3) 인지적 학습이론
III. 결론
본문내용
과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이 자극과 반응으로 학습되어지는 반면에 인지적 학습이론은 주어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고 인지하여 해결해 나가도록 한다.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과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이 동물에 의한 자극과 반응의 비교적 단순한 학습을 설명한다면 인지적 학습이론은 인간이 직접 경험하지 않은 정보를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모방하는 등 정보 수집 행동을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인간의 대부분의 학습은 다른 사람이나 환경을 관찰하고 인지하여 논리적 사고를 통해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학습하게 된다. 이러한 관찰학습을 통해 사고, 감정, 행동을 습득하는데 대리학습, 모방, 모델링이라고 한다. 관찰학습은 모델의 행동에 주의 또는 집중하게 되고, 관찰대상의 행동을 기억하여 모방을 위한 운동재생을 하게 되고, 동기유발을 통해 학습된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2. 학습원리의 적용
1) 고전적 조건형성
① 빨간색과 매운 맛의 연결
현재 11살인 남자 아이가 있다. 아이는 유아 시절부터 매운 것을 거의 먹지 못한다. 3살 정도 되었을 때 음식을 골고루 먹이기 위해 김치를 먹도록 유도했다. 아이는 김치의 매운 맛에 질색을 하였고 이후에는 김치를 보기만 해도 입을 꾹 다물고 강한 거부감을 보였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김치를 먹이려고 시도하였으나 먹지 않았다. 김치를 씻어주거나 볶아서 조리를 하여 매운 맛을 경감시켜도 김치라는 단어에 이미 매운 맛이 연상되어 모든 김치를 거부하였다. 또한 매운 맛은 빨간 음식에도 연결되어 빨간 색 양념이 되어 있는 모든 음식에 거부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케
인간의 대부분의 학습은 다른 사람이나 환경을 관찰하고 인지하여 논리적 사고를 통해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학습하게 된다. 이러한 관찰학습을 통해 사고, 감정, 행동을 습득하는데 대리학습, 모방, 모델링이라고 한다. 관찰학습은 모델의 행동에 주의 또는 집중하게 되고, 관찰대상의 행동을 기억하여 모방을 위한 운동재생을 하게 되고, 동기유발을 통해 학습된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2. 학습원리의 적용
1) 고전적 조건형성
① 빨간색과 매운 맛의 연결
현재 11살인 남자 아이가 있다. 아이는 유아 시절부터 매운 것을 거의 먹지 못한다. 3살 정도 되었을 때 음식을 골고루 먹이기 위해 김치를 먹도록 유도했다. 아이는 김치의 매운 맛에 질색을 하였고 이후에는 김치를 보기만 해도 입을 꾹 다물고 강한 거부감을 보였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김치를 먹이려고 시도하였으나 먹지 않았다. 김치를 씻어주거나 볶아서 조리를 하여 매운 맛을 경감시켜도 김치라는 단어에 이미 매운 맛이 연상되어 모든 김치를 거부하였다. 또한 매운 맛은 빨간 음식에도 연결되어 빨간 색 양념이 되어 있는 모든 음식에 거부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래서 케
추천자료
파블로브,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에 관한 논의(교수학습...
[교육심리학]청소년 일탈행위의 요인분석 및 문제행동의 지도방향
학습이론의 종류와 특징에 관한 논의(아동발달B형)
직접교수법(DI, 직접교수모형) 의미, 직접교수법(DI, 직접교수모형) 성격과 배경, 직접교수법...
사회심리학 행동주의 이론의 이해와 응용
사회과 교육의 조직원리
[교육심리학] 파블로브, 스키너, 손다이크 학습이론의 비교 설명 및 교수이론의 특징에 관한 ...
[교육심리학] 학습에 대한 이해 ≪행동주의에 기초한 학습이론(學習理論)≫ 고전적 조건화(clas...
학습이론에 관한 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