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기구, 큰대야, 물통
15, 16
흙 그림 그리기
물이 잘 스며드는 툭이 있음을 알 수 있고 흙과 물의 관계 파악
흙을 이용해 다양한 흙그림을 그려보고 물감을 섞어 색을 내어서도 그려본다
붓, 진흙, 물감, 물통, 도화지, 도화지판, 돋보기
숲의 나무
19, 20
나의 의자 나무 찾기
나무의 구조와 역할에 관심을 갖고 나무와 교감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음
숲에 나의 의자나무를 찾아보고 이름을 생각해 이름표를 걸어주고 만져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내가 고른 나무와 교감하기
그림동화책, 나무 이름표
21, 22
나무 나이 알아보기
나무의 다양한 쓰임을 알 수 있고 그루터기와 나무를 활용한 구성물에 대해 알수 있음
나무의 나이테 세는 방법을 알아보고 나이테를 함께 세어봄. 그루터기를 활용한 구성물 관찰
돋보기, 나무그루터기
(4) 숲 놀이 활동의 세부 내용
활동주제
나무
활동명
움집 만들기
활동 형태
실외활동 숲
대상
만 5세
활동 목표
우리 생활 속 나무의 쓰임새를 안다
나무를 활용해 창의적으로 구성해볼 수 있다
활동자료
예술경험 / 예술적 표현하기 미술 활동으로 표현하기
자연탐구 /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탐구 기술 활용하기
자연탐구 / 과학적 탐구하기 간단한 도구와 기계 활용하기
활동자료
대나무, 볏짚, 나뭇잎(자연물), 그루터기, 보빈끈(포장용 끈)
활동 내용
<도입>
ㆍ우리 주변에 나무를 활용한 구성물을 찾아보고, 유아들이 직접 나무로 만들고 싶은
구성물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ㆍ움집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전개>
ㆍ대나무를 활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구성해보며 움집의 틀을 구성한다.
ㆍ숲의 자연물들을 탐색해보며 움집 만들기에 필요한 재료들을 수집한다.
- 볏짚을 꼬아보면 어떤 모양이 생기니?
- 대나무에 볏짚을 어떤 방법으로 묶어 볼 수 있을까?
ㆍ나무 주변의 자연물을 이용하여 움집을 꾸민다.
<마무리>
ㆍ오늘의 활동을 통해 느낀 점을 이야기해본다.
- 완성된 움집을 보니 어떤 느낌이드니?
- 더 필요한 것이 있겠니?
ㆍ구성물을 활용하여 놀이해본다.
평가
ㆍ4개의 대나무를 활용해서 텐트 모양의 작은 공간을 만들어봄으로써 나무를 활용한
공간의 개념을 알아볼 수 있었다.
ㆍ나무와 볏짚, 나뭇잎 등 자연물로 만들어진 움집이라는 공간은 숲에서의 작은 쉼터
로써 활용할 수 있고, 그 안에서 유아들만의 감성공간이 형성될 수 있었다.
Ⅲ. 결론
본문은 성인의 성격과 인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기의 경험에 대해 논한바 있다. 한 인간의 자아를 형성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성격과 인격의 형성에 영유아 시절의 경험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때 경험하는 것들의 질(quality)또한 고려해야 한다. 경험의 질을 올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교육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의 바이블(기본)으로 기능하고 있는 타일러의 교육모델을 고찰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모델 사례를 이해하고자 한다. 타일러의 교육모델의 강점은 명확한 목표 지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실행수준에 가까운 구체적인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숲 놀이 활동’을 살펴보자면 아주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정확한 것은 아마도 표1만 보고 숲 놀이 활동을 실행해 보는 것이다. 또한, ‘숲’ 이라는 매개체가 주는 이로운 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 부분에서 아이들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다. 아이만이 가진 특징(예시: 풍부한 상상력, 순수함 등)과 숲이 가진 여러 기회 요인들의 결합으로 다양한 활동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한 부분이 숲 놀이 활동의 가장 큰 특 장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이 숲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다각도로 자연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서 숲의 이로움을 극대화 한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아이 경험의 질을 증진하는 방법으로는 ‘직접’해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계획은 바로 실행할 수 있을 정도의 구체성을 지닐수록 교육모델의 가치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조영태. (2007). 타일러 모형과 그 대안.도덕교육연구,19(1), 31-86.
박채형. (2008).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 매력과 함정.도덕교육연구,20(1), 27-48.
김수희, 박효진, & 김세영. (2015). 숲 놀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한국영유아보육학,90, 1-21.
15, 16
흙 그림 그리기
물이 잘 스며드는 툭이 있음을 알 수 있고 흙과 물의 관계 파악
흙을 이용해 다양한 흙그림을 그려보고 물감을 섞어 색을 내어서도 그려본다
붓, 진흙, 물감, 물통, 도화지, 도화지판, 돋보기
숲의 나무
19, 20
나의 의자 나무 찾기
나무의 구조와 역할에 관심을 갖고 나무와 교감하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음
숲에 나의 의자나무를 찾아보고 이름을 생각해 이름표를 걸어주고 만져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내가 고른 나무와 교감하기
그림동화책, 나무 이름표
21, 22
나무 나이 알아보기
나무의 다양한 쓰임을 알 수 있고 그루터기와 나무를 활용한 구성물에 대해 알수 있음
나무의 나이테 세는 방법을 알아보고 나이테를 함께 세어봄. 그루터기를 활용한 구성물 관찰
돋보기, 나무그루터기
(4) 숲 놀이 활동의 세부 내용
활동주제
나무
활동명
움집 만들기
활동 형태
실외활동 숲
대상
만 5세
활동 목표
우리 생활 속 나무의 쓰임새를 안다
나무를 활용해 창의적으로 구성해볼 수 있다
활동자료
예술경험 / 예술적 표현하기 미술 활동으로 표현하기
자연탐구 / 탐구하는 태도 기르기 탐구 기술 활용하기
자연탐구 / 과학적 탐구하기 간단한 도구와 기계 활용하기
활동자료
대나무, 볏짚, 나뭇잎(자연물), 그루터기, 보빈끈(포장용 끈)
활동 내용
<도입>
ㆍ우리 주변에 나무를 활용한 구성물을 찾아보고, 유아들이 직접 나무로 만들고 싶은
구성물에 대해 이야기 나눈다.
ㆍ움집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토의한다.
<전개>
ㆍ대나무를 활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구성해보며 움집의 틀을 구성한다.
ㆍ숲의 자연물들을 탐색해보며 움집 만들기에 필요한 재료들을 수집한다.
- 볏짚을 꼬아보면 어떤 모양이 생기니?
- 대나무에 볏짚을 어떤 방법으로 묶어 볼 수 있을까?
ㆍ나무 주변의 자연물을 이용하여 움집을 꾸민다.
<마무리>
ㆍ오늘의 활동을 통해 느낀 점을 이야기해본다.
- 완성된 움집을 보니 어떤 느낌이드니?
- 더 필요한 것이 있겠니?
ㆍ구성물을 활용하여 놀이해본다.
평가
ㆍ4개의 대나무를 활용해서 텐트 모양의 작은 공간을 만들어봄으로써 나무를 활용한
공간의 개념을 알아볼 수 있었다.
ㆍ나무와 볏짚, 나뭇잎 등 자연물로 만들어진 움집이라는 공간은 숲에서의 작은 쉼터
로써 활용할 수 있고, 그 안에서 유아들만의 감성공간이 형성될 수 있었다.
Ⅲ. 결론
본문은 성인의 성격과 인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기의 경험에 대해 논한바 있다. 한 인간의 자아를 형성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성격과 인격의 형성에 영유아 시절의 경험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때 경험하는 것들의 질(quality)또한 고려해야 한다. 경험의 질을 올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교육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다양한 교육모델의 바이블(기본)으로 기능하고 있는 타일러의 교육모델을 고찰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모델 사례를 이해하고자 한다. 타일러의 교육모델의 강점은 명확한 목표 지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실행수준에 가까운 구체적인 계획 수립이 가능하다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숲 놀이 활동’을 살펴보자면 아주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가장 정확한 것은 아마도 표1만 보고 숲 놀이 활동을 실행해 보는 것이다. 또한, ‘숲’ 이라는 매개체가 주는 이로운 점을 다양한 방법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 부분에서 아이들에 대한 사랑을 느낄 수 있다. 아이만이 가진 특징(예시: 풍부한 상상력, 순수함 등)과 숲이 가진 여러 기회 요인들의 결합으로 다양한 활동들을 구체적으로 제안한 부분이 숲 놀이 활동의 가장 큰 특 장점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아이들이 숲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다각도로 자연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서 숲의 이로움을 극대화 한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이를 통해 아이 경험의 질을 증진하는 방법으로는 ‘직접’해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계획은 바로 실행할 수 있을 정도의 구체성을 지닐수록 교육모델의 가치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조영태. (2007). 타일러 모형과 그 대안.도덕교육연구,19(1), 31-86.
박채형. (2008).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 매력과 함정.도덕교육연구,20(1), 27-48.
김수희, 박효진, & 김세영. (2015). 숲 놀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한국영유아보육학,90, 1-21.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정 A형)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발하...
교육과정A형 2020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
[2020 교육과정4A][타일러 모형]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
교육과정A형] 2020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발하고자 한다. 아...
교육과정A형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발하...
교육과정A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발하고...
교육과정a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 을 개발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