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프로그램 실행 동작의 정의
2. 2진표기법 형식
2-1. 2진표기법 형식에 따르는 가정
2-2. 명령어
2-3. 명령어에 대한 동작
3.참고문헌
2. 2진표기법 형식
2-1. 2진표기법 형식에 따르는 가정
2-2. 명령어
2-3. 명령어에 대한 동작
3.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주기억장치 주소가 들어가는데, 주기억장치 주소가 0부터 15이므로 4비트를 배정한 것이다.
명령어의 길이는 8비트로 지정했는데, 이로 인해 데이터 버스가 8비트가 되어 주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8비트 단위로 동작하게 된다.
2-3. 명령어에 대한 동작
그림 2-2는 시작상태를 나타내는데, 프로그램 카운터에는 1이 저장돼있다. 주기억장치 주소가 4비트이므로 프로그램 카운터의 크기는 4비트가 되고, 명령어의 길이가 8비트이므로 명령어 레지스터의 크기 또한 8비트가 된다.
주소 버스에 프로그램 카운터에 저장된 0001을 보내고 읽기 제어 신호를 보내면 주소1에 저장된 내용이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되며 프로그램 카운터가 1에서 2로 증가한다.
제어장치가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주기억장치 주소11의 내용을 읽어 범용레지스터00에 저장함으로써 주소1 명령어에 대한 실행을 종료한다.
<그림 2-3. 주소1 명령어에 대한 동작>
3. 참고문헌
<컴퓨터 개론 : 쉽게 배우는 컴퓨터 기본 원리> - 한빛미디어 교재출판부
- 김종훈, 김종진
명령어의 길이는 8비트로 지정했는데, 이로 인해 데이터 버스가 8비트가 되어 주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8비트 단위로 동작하게 된다.
2-3. 명령어에 대한 동작
그림 2-2는 시작상태를 나타내는데, 프로그램 카운터에는 1이 저장돼있다. 주기억장치 주소가 4비트이므로 프로그램 카운터의 크기는 4비트가 되고, 명령어의 길이가 8비트이므로 명령어 레지스터의 크기 또한 8비트가 된다.
주소 버스에 프로그램 카운터에 저장된 0001을 보내고 읽기 제어 신호를 보내면 주소1에 저장된 내용이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어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되며 프로그램 카운터가 1에서 2로 증가한다.
제어장치가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독하여 주기억장치 주소11의 내용을 읽어 범용레지스터00에 저장함으로써 주소1 명령어에 대한 실행을 종료한다.
<그림 2-3. 주소1 명령어에 대한 동작>
3. 참고문헌
<컴퓨터 개론 : 쉽게 배우는 컴퓨터 기본 원리> - 한빛미디어 교재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