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6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6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환아의 일반적 사항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Ⅲ. 간호사정
1. 아동 자료 수집
2. Nursing Problem List & Cue Grouping
1) Nursing Problem List
2) Cue Grouping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inorrhea를 주호소로 입원함(05/17)
- Pneumonia, unspecified로 진단받음(05/17)
- 빠르게 호흡하며 기침을 하는 모습이 관찰됨(05/17)
-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림(grunting sound)(05/17)
05/17
14:22
16:00
22:00
24
32
36
05/18
06:00
18:00
22:00
28
30
30
- 활력징후 측정 시 호흡수가 높게 측정됨
5/17



간호진단
기관지 분비물 증가와 폐 확장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청진 시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점점 호흡하기 편안해 보이며 호흡 보조근을 사용 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기침을 할 때 가래 섞인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①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측정한다.
⇒ 저산소증일시 맥박과 호흡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으며 응 급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② 청진을 통하여 대상자의 호흡음과 호흡양상을 확인한다.
⇒ 호흡음과 호흡양상을 사정하여 질병의 진행정도와 경과를 파악할 수 있다.
③ 대상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기관지 벽에 붙어있는 분비물을 제거하고 분비 물의 배출을 도울 수 있다.
④ 대상자를 Fowler\'s position을 취하게 해준다.
⇒ 횡격막이 제 위치에 자리하게 하고 분비물의 쉬운 배출과 폐의 환기 를 돕는다. 기침을 쉽게 하고 흡인을 예방한다.
⑤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 객담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⑥ 객담 배출을 격려한다.
⇒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고 기관지 분비물 정체로 인한 무기폐를 예방하 기 위해 객담배출을 격려한다.
⑦ 적절한 습도를 유지시킨다. ⇒ 적절한 습도는 기도청결을 유지하고 기관 지 분비물의 정체를 예방한다.
⑧ 흡인(suction)을 시행한다.
⇒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나타날 때만 수행한다. 약한 기침, 허약한 폐근 육으로 객담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대상자에게만 시행한다.
⑨ 처방에 따라 nebulizer를 통한 호흡기 치료요법을 시행한다.
⇒ nebulizer를 통한 치료는 기관지를 확장시켜 기도의 개방성을 증가시 켜 충분한 환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5/18
간호평가
- 5/19 청진결과 비정상적인 호흡음(grunting sound)이 들리지 않았다.
- 5/19 대상자는 호흡하기 편안해 보였으며 호흡보조근을 사용하지 않았다.
- 5/19까지 대상자의 기침 횟수도 줄어들었으며 기침 시 가래 섞인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5/19
5. 환아 가정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과정
내용
날짜







- 과거력: Bronchiolitis
- 부모가 질병의 과정과 추후 예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함
- 부모가 아동의 질병과 입원에 대한 심리적 변화가 크지 않다고 함
부모가 필수적인 간호내용을 배우려 하지 않음
5/18



- “퇴원 후 어떻게 관리할지 모르겠어요. 또 아프면 병원에 오면 되죠 뭐”
- “별로 심각해 보이지도 않고 환자인척 하는 것 같아요”
간호진단
환아 가정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 환아의 보호자는 질병의 과정과 추후 예방법에 대해 습득하고 퇴원 후
가정간호법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였다고 말로 표현한다.
퇴원 후 직접 시행할 수 있는 간호법 5가지를 열거할 수 있다.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① 아동의 질병(폐렴)의 과정과 예후에 대해 설명한다.
⇒ 설명을 통하여 보호자가 질병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예후에 따른 대처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② 보호자에게 퇴원 후 가정간호법에 대해 설명한다.
⇒ 환아의 과거력으로 인하여 호흡기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높기 때문에 더 신중한 관리가 필요하다.
③ 대상자나 보호자의 질문을 격려한다.
⇒ 질문에 대한 대답을 해주면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간호평가
- 보호자는 질병의 과정과 예후에 대해 이해하였음을 말로 표현한다.
- 퇴원 후 직접 시행할 수 있는 간호법 5가지를 열거한다.
5/19
6. 환아의 연령과 성격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과정
내용
날짜







- 환아는 16개월로 낙상고위험군(만 6세미만)에 속함
- 평소 활발하고 개구짐
- 침대에서 일어나 난간을 잡고 서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5/17



- “엄청 개구져요. 어디로 튈지 몰라요.”
간호진단
환아의 연령과 성격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이론적근거)
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보행 보조 기구(wheel chair) 사용법에 대해 설명 한다. ⇒ 보행 보조 기구 사용 시 주의사항과 방법 등을 알려주어 기구 사용 시 일어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② 침상 바퀴를 고정하고 side rail은 항상 올려둘 것을 당부한다.
⇒ 침상이 움직여 대상자가 낙상할 수 있는 순간을 예방하고 side rail을 올려 아동이 취침 시나 놀이 시 떨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③ 침상 난간에 안전 커버나 쿠션을 장착한다.
⇒ 침상 난간에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하고 팔과 다리가 끼 는 것을 방지한다.
④ 화장실이나 샤워실을 갈 때는 항상 보호자가 동행하도록 격려한다.
⇒ 바닥의 물기로 인해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한다.
⑤ 슬리퍼 착용은 되도록 줄이고 꼭 맞는 신발을 착용시킨다.
⇒ 슬리퍼 착용 시 미끄러지거나 슬리퍼가 벗겨져 넘어지는 사고가 일어 날 수 있다.
⑥ 불필요한 시각적 자극은 모두 제거한다.
⇒ 여러 가지 시각적 자극은 아동의 주의를 끌어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 생 할 수 있다.
5/18
간호평가
- 5/19까지 대상자의 낙상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5/19
Ⅴ. 참고문헌
홍경자 외, 아동건강간호학 Ⅰ, 수문사(2016)
홍경자 외, 아동건강간호학 Ⅱ, 수문사(2016)
김희숙 외, 아동청소년간호학 Ⅰ, 군자출판사(2013)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1)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2)
  • 가격2,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