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선천성 담도폐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선천성 담도폐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아의 일반적 사항
2.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 <문헌고찰>
3. 간호사정
4. 진단검사
5. 투약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쓰도록 교육한다.
(식사일기는 균형 잡힌 모유가 나올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기록이다.)
환아에게 필요한 모유를 준비해둔다.(적정량의 모유를 준비하여 부족함이 없도록 한다.)
환아의 feeding시 빠는 능력과 젖꼭지 밀착 능력을 사정한다.(정확히 수유를 하고 있는지 확인 한다.)
Feeding이 끝난 후 트림을 실시한다.(트림을 시킴으로 복부 팽만을 예방한다.)
매일 I/O를 check한다.
(환아의 영양 및 체액 균형을 알 수 있다.)
①모유수유가 영양의 균형을 유지 하는데 중요함을 산모에게 교육한다.
(NO 수행- SN:면회 시간에 산모를 만날 수 없음. 산모가 둘째 아이 이므로 이미 모유의 중요성을 아는듯함.)
②매일 아침 환아의 체중을 체크한다. -RN
5/11
3.86kg (모유)
5/12
3.85kg (모유)
5/13
3.91kg (모유)
③아이가 배고플 때 마다(rooting sign(+)) 모유를 원하는 만큼(100cc->120cc) 주었다.-RN
④산모에게 식사일기를 쓰도록 교육 한다.
(NO 수행- SN:면회 시간에 산모를 만날 수 없음. 산모가 둘째 아이 이므로 이미 모유수유 시 균형 잡힌 산모의 식이 중요성을 아는듯함.)
면회시간에 산모에게 환아가 효율적으로 100cc가량의 모유를 먹는 모습을 보았으며, 남은 모유량을 말하며, 더 준비할 수 있도록 준비 하게 했다. -RN
환아의 feeding시 빠는 능력이 매우 좋았고, 밀착도를 관찰하였고. feeding이 끝나고, 공갈젖꼭지 또한 매우 잘 빠는 모습이 보였다. -RN, SN
Feeding이 끝난 후 앉은 자세로 트림을 하였고 어느 정도 복부 팽만이 가라앉았다. -RN, SN
매일 I/O를 check하였고, 영양 및 체액에 균형이 유지되었다. -RNI/O
5/11
5/12
5/13
I
경구
610
710
910
수액
432
361
337
total
1042
1071
1247
O
Urine
840
455
680
H-vac
-
1.1
2
stool
9(Y)
7(Y)
6(Y)
total
849
463.1
688
-목표 달성:
▶영아가 거부 반응 없이 BM(모유)를 100-120cc 까지 남기지 않고 잘 먹는다.(5/14)
5/14
4.04kg (모유)
▶성장에 따른 적절한 체중(4.04kg)로 증진 하고 있다.
-목표 미달성:
▶퇴원 전이라, 산모가 효과적으로 모유수유를 할 수 있을지 알 수 없었다.(5/14)
3) 간호진단(Nursing Dx):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간호목표
(Nursing Goals)
결과기준
(Outcomes criteria)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Nursing plan & Rational)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평가
(Evaluation)
Subjective data: 없음.
Objective data:
환아의 CVC 포트를 통하여 정맥주입을 하고 있다.
수술 후 Open wound를 가지고 있고 드레싱을 한 상태다.
수술 후 H-vac(+) Drainage, oozing sign이 보인다.
Open된 ICBT를 사용한다.
WBC수가 증가했다.5/8
11.1
5/12
16.9
체온
5/8
37.3
5/9
37.5
5/10
37.1
5/11
36.8
5/12
36.7
▶환아에게 감염증상, 징후(체온 상승, 수술부위에 분비물, 삼출물)가 나타나지 않는다.
▶임상검사결과가 정상범위로 나타난다.
① 손톱을 깎고, 철저한 손 씻기를 하고, 폴리 글로브를 사용, 격리가운 및 특수가운을 착용한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예방한다.)
② 인큐베이터를 적정 온도와 습도로 유지시킨다.
(인큐베이터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체온이 상승하고 과도한 장운동을 유발하여 설사 등을 유발 할 수 있으며, 건조 등으로 오는 감염을 방지한다.)
③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④수술부위 상태를 관찰한다.
처방에 따라 C-line을 교체한다.
(C-line을 통한 감염을 예방한다.)
드레싱 교체를 q 6hr 의뢰한다.
(감염의 서식을 줄이고, 드레싱 한다)
처방된 약물 (COTRIM)을 투여 하고 부작용을 감시한다.
충분한 수액을 공급한다.(iTS+I5DW fluid)
① 손톱을 깎고, 손 씻기를 하고, 폴리 글로브, 보호자는 격리가운과 의료진은 특수가운을 착용했다. -RN, SN
② 인큐베이터를 36.5 도로 유지하고 병원 내 온도는 29.5도 습도는 30%로 유지되었다. -RN, SN.
③활력징후를 3시간마다 측정하였다. -RN
5/13
HR
RR
BT
6pm
132
34
37.4
9pm
130
40
36.9
5/14
12.am
123
32
36.7
9.am
140
44
36.8
12pm
130
38
37.2
④수술부위 상태를 3시간 마다 관찰 하였다. -RN, SN
5/13
분비물
6pm
없음
9pm
없음
5/14
12.am
없음
9.am
없음
12pm
없음
처방에 따라 C-line을 교체했다.
(13일이후 C-line 제거)-RN
의뢰된 드레싱 교체를 관찰하였다.(open wound s/o 후 [5/13] H-vac만 드레싱 교체) -RN, SN
처방된 약물 (COTRIM)을 투여 하고 부작용(아나필락시, 쇽 발열, 기침, 가래, 호흡곤란
때때로 위장장애, 식욕부진, 구역, 구토,설사등) 을 감시했다.
-RN
충분한 수액을 (iTS+I5DW fluid) Infusion펌프를 통해 15ugtt공급하고 부작용(산증, 탈수, 부종, 정맥염 등)을 감시했다-RN
-목표 달성
▶WBC수치가 정상 범위로 나타났다.
5/14
9.9
-목표 부분적달성:
▶환아에게 감염증상, 징후(체온 상승, 수술부위에 분비물, 삼출물)가 나타나지 않았다.(5/14)
-목표 미달성:
▶여전히 H-vac에서 oozing sign이 있었다.(5/14)
7. 참고문헌
- 영아와 아동을 위한 아동간호학 I, II/ 홍경자 외/ 수문사
- 간호과정 / 최순희 외 / 현문사
- 아동간호학 임상가이드 / 박은숙 외 / 현문사
- 약물: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
- 문헌고찰: 서울아산병원(www.amc.seoul.kr)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1.06.11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