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일반정보
Ⅱ. 병력
Ⅲ. 질병기술
Ⅳ.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약물
Ⅶ. 특수 치료 및 처치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Ⅱ. 병력
Ⅲ. 질병기술
Ⅳ.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약물
Ⅶ. 특수 치료 및 처치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53%
MCV
98.2
83~100f
MCH
33.1
26~34pg
MCHC
33.7
31~37%
PLT
249
165~360E9/L
MPV
7.9
6.4~9.7fL
MPC
26.6
24.6~29.5g/dL
Neutrophil
69.8
20.3▼
35~75%
Lymphocyte
24.1▼
25~40%
Monocyte
3.0
~<8%
Eosinophil
1.6
~<7%
Basophil
0.4
~<3%
LUC
1.1
~<3%
Neutrophil count
6.44
1.8~7.5E9/L
Lymphocyte count
2.22
1.0~2.8E9/L
Monocyte count
0.28
1.0~2.8E9/L
Eosinophil count
0.15
0.1~0.8E9/L
Basophil count
0.30
~<0.2
Delta neutrophil index
0.0
%
MPXⅠ
2.3
-3~30
**
ESR 증가: 임신, 염증, 수술 후 , 에스트로겐 복용한 후 경우
ESR은 감염증에서 급성반응성 물질보다 늦게 증가하며 회복기에도 더 오랫동안 증가상태를 유지
RBC 증가: 탈수, 급성약 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증
감소: 빈혈, 골수기능부전, 류마티스열, 출혈, 에디슨 병,
Hb 증가: 다혈구혈증, 적혈구 증가증, 화상
감소: 혈구파괴, 갑상선기능항진증,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혈액희석(수액과잉)
Hct 증가: 원발성 다혈구혈증, 혈액 농축, 탈수 , 감소: 혈액 생산 감소, 빈혈
Lymphocyte 증가: 림프성백혈병, 단핵구증가증, 감염 등, 감소: 호지킨병, 면역억제제사용 등
4) 응고/출혈/혈전 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정상치(단위)
6/17
6/3
6/7
PT,Sec
10.3
17.3
14.1
9.5~12.8sec
PT,%
112
%
PT,control
11.1
sec
PTT,Sec
27.3▼
27.9~37.8sec
PTT,control
32.3
sec
PP,Ratio
0.8
TP,INR
0.93
1.55
1.27
0.85~1.15
**
PTT,sec의 저하 : 혈전형성 후 단계
5) 혈액가스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6/17
정상치(단위)
pH, Blood
7.441
7.35~7.45
P02, Blood
98.6
183.0~108.0mmHg
PCO2,Blood
29.6
35~48mmHg
Base Excess,ECF
-4.4▼
-2~2mmol/L
Base Excess, Blood
-3.1▼
-2~3mmol/L
HCO3, standard
21.9
21~28mmol/L
HCO3, Blood
19.7▼
22~26mmol/L
TCO2
19.7▼
22~28mmol/L
O2 saturation
97.8
95~98%
pH, Corrected
7.438
7.35~7.45
PO2, corrected
99.8
83~108mmHg
Body temperature
37.2
˚C
(A-a)DO2,Room air
12.8
10-20mmHg
Winter\'s Formula
-7.56▼
-2~2
**
Base excess=정상 상태의 혈청 중탄산염 농도와 대상자의 중탄산염 농도간의 차이, 비호흡 성 산염기간의 장애
-증가: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많음
감소: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
HCO3=탄산이온, 산염기 균형에서 대사성 요소(신장에 의해 조절)의미
-증가: Metabolic alkalosis,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시
감소: Metabolic acidosis
O2 Sat=산소에 포화된 Hb의 의미
-증가: 다혈구증(적혈구 증가증), 무수분혈증
감소: Anemia, 심기능대상부전, COPD
Winter\'s formula 감소 : 기본 호흡성 알카리증
6)호르몬/종양 표지자 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6/17
정상치(단위)
T3
0.79
0.6~1.81ng/mL
FT4
1.36
0.83~1.76ng/dL
TSH
1.370
0.35~5.50IU/mL
CEA
4.05
~<5ng/mL
CA 19-9
1.5
~,37.0U/mL
7)HbA1c 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6/17
정상치(단위)
HbA1c
6.1▲
~<6%
**
약간의 상승이 있으나 거의 정상상태로 당뇨조절이 잘되고 있음. 그러나 type1 당뇨환자의 경우에는 저혈당의 위험이 있음.
2.진단검사
날짜
종류
적용
근거
결과
6/17
us ABD.(복부 초음파)
급성 혹은 만성 복통, 급성 혹은 만성 간염, 복부 장기의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 복수, 농양, 담낭염 및 담도염과 결석, 급성 혹은 만성 췌장염, 신장염 및 신장 결석, 정상 및 비정상 임신, 난소 및 나팔관 질환, 골반염, 급성 충수염 등
1.about 3.5cm hypoechic lesion no pancreas head position with pancreatic duct dilation
2.Both IDH dilatation with marked CBD dilatation
3.diffuse liver disease.
4.several hepatic cysts on both lobe<1cm
pancreatic head cancer.
6/19
ERCP(역행성 내시경 담관췌장 조영술)
-담관이 막혀 황달이 발생했을 때, 막힌 원인을 정확히 알기 위하여
-황달이 없더라도 복부 초음파나 CT 검사에서 담관이 좁아져 있거나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부분이 있을 때
-담관이 손상되었다고 의심될 경우
-반복적으로 췌장염이 재발할 때
-췌장 종양이 의심될 경우
-만성 췌장염의 진단 및 평가
-유두괄약근(담관과 췌관이 나오는 십이지장의 유두부분에 있는 근육으로 분비 조절 기능을 한다.) 기능부전이 의심될 때, 유두괄약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췌장 가성낭종(췌장에서 발견되는 낭성 병변 중에서 가장 흔한 것으로 췌장염, 췌장의 외상 수술, 드물게는 췌장종양에 의하여 췌관이 막혀서 터질 경우 췌액이 누출되어 생기는 염증성 낭성 병변이다. 가성낭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액체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이 진정한 세포가 아니고 염증에 의하여 2차적으로 형성된 섬유조직이기 때문이다.) 및 췌장염 합병증을 평가하고자 할 때
-췌 담관의 선천성 기형을 진단할 때
1.distal CBD narrowing
MCV
98.2
83~100f
MCH
33.1
26~34pg
MCHC
33.7
31~37%
PLT
249
165~360E9/L
MPV
7.9
6.4~9.7fL
MPC
26.6
24.6~29.5g/dL
Neutrophil
69.8
20.3▼
35~75%
Lymphocyte
24.1▼
25~40%
Monocyte
3.0
~<8%
Eosinophil
1.6
~<7%
Basophil
0.4
~<3%
LUC
1.1
~<3%
Neutrophil count
6.44
1.8~7.5E9/L
Lymphocyte count
2.22
1.0~2.8E9/L
Monocyte count
0.28
1.0~2.8E9/L
Eosinophil count
0.15
0.1~0.8E9/L
Basophil count
0.30
~<0.2
Delta neutrophil index
0.0
%
MPXⅠ
2.3
-3~30
**
ESR 증가: 임신, 염증, 수술 후 , 에스트로겐 복용한 후 경우
ESR은 감염증에서 급성반응성 물질보다 늦게 증가하며 회복기에도 더 오랫동안 증가상태를 유지
RBC 증가: 탈수, 급성약 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증
감소: 빈혈, 골수기능부전, 류마티스열, 출혈, 에디슨 병,
Hb 증가: 다혈구혈증, 적혈구 증가증, 화상
감소: 혈구파괴, 갑상선기능항진증,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혈액희석(수액과잉)
Hct 증가: 원발성 다혈구혈증, 혈액 농축, 탈수 , 감소: 혈액 생산 감소, 빈혈
Lymphocyte 증가: 림프성백혈병, 단핵구증가증, 감염 등, 감소: 호지킨병, 면역억제제사용 등
4) 응고/출혈/혈전 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정상치(단위)
6/17
6/3
6/7
PT,Sec
10.3
17.3
14.1
9.5~12.8sec
PT,%
112
%
PT,control
11.1
sec
PTT,Sec
27.3▼
27.9~37.8sec
PTT,control
32.3
sec
PP,Ratio
0.8
TP,INR
0.93
1.55
1.27
0.85~1.15
**
PTT,sec의 저하 : 혈전형성 후 단계
5) 혈액가스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6/17
정상치(단위)
pH, Blood
7.441
7.35~7.45
P02, Blood
98.6
183.0~108.0mmHg
PCO2,Blood
29.6
35~48mmHg
Base Excess,ECF
-4.4▼
-2~2mmol/L
Base Excess, Blood
-3.1▼
-2~3mmol/L
HCO3, standard
21.9
21~28mmol/L
HCO3, Blood
19.7▼
22~26mmol/L
TCO2
19.7▼
22~28mmol/L
O2 saturation
97.8
95~98%
pH, Corrected
7.438
7.35~7.45
PO2, corrected
99.8
83~108mmHg
Body temperature
37.2
˚C
(A-a)DO2,Room air
12.8
10-20mmHg
Winter\'s Formula
-7.56▼
-2~2
**
Base excess=정상 상태의 혈청 중탄산염 농도와 대상자의 중탄산염 농도간의 차이, 비호흡 성 산염기간의 장애
-증가: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많음
감소: 중탄산염이 정상보다 적음
HCO3=탄산이온, 산염기 균형에서 대사성 요소(신장에 의해 조절)의미
-증가: Metabolic alkalosis, 호흡성 산혈증의 보상작용시
감소: Metabolic acidosis
O2 Sat=산소에 포화된 Hb의 의미
-증가: 다혈구증(적혈구 증가증), 무수분혈증
감소: Anemia, 심기능대상부전, COPD
Winter\'s formula 감소 : 기본 호흡성 알카리증
6)호르몬/종양 표지자 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6/17
정상치(단위)
T3
0.79
0.6~1.81ng/mL
FT4
1.36
0.83~1.76ng/dL
TSH
1.370
0.35~5.50IU/mL
CEA
4.05
~<5ng/mL
CA 19-9
1.5
~,37.0U/mL
7)HbA1c 검사
검사내용
검사결과 6/17
정상치(단위)
HbA1c
6.1▲
~<6%
**
약간의 상승이 있으나 거의 정상상태로 당뇨조절이 잘되고 있음. 그러나 type1 당뇨환자의 경우에는 저혈당의 위험이 있음.
2.진단검사
날짜
종류
적용
근거
결과
6/17
us ABD.(복부 초음파)
급성 혹은 만성 복통, 급성 혹은 만성 간염, 복부 장기의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 복수, 농양, 담낭염 및 담도염과 결석, 급성 혹은 만성 췌장염, 신장염 및 신장 결석, 정상 및 비정상 임신, 난소 및 나팔관 질환, 골반염, 급성 충수염 등
1.about 3.5cm hypoechic lesion no pancreas head position with pancreatic duct dilation
2.Both IDH dilatation with marked CBD dilatation
3.diffuse liver disease.
4.several hepatic cysts on both lobe<1cm
pancreatic head cancer.
6/19
ERCP(역행성 내시경 담관췌장 조영술)
-담관이 막혀 황달이 발생했을 때, 막힌 원인을 정확히 알기 위하여
-황달이 없더라도 복부 초음파나 CT 검사에서 담관이 좁아져 있거나 비정상적으로 늘어난 부분이 있을 때
-담관이 손상되었다고 의심될 경우
-반복적으로 췌장염이 재발할 때
-췌장 종양이 의심될 경우
-만성 췌장염의 진단 및 평가
-유두괄약근(담관과 췌관이 나오는 십이지장의 유두부분에 있는 근육으로 분비 조절 기능을 한다.) 기능부전이 의심될 때, 유두괄약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췌장 가성낭종(췌장에서 발견되는 낭성 병변 중에서 가장 흔한 것으로 췌장염, 췌장의 외상 수술, 드물게는 췌장종양에 의하여 췌관이 막혀서 터질 경우 췌액이 누출되어 생기는 염증성 낭성 병변이다. 가성낭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액체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이 진정한 세포가 아니고 염증에 의하여 2차적으로 형성된 섬유조직이기 때문이다.) 및 췌장염 합병증을 평가하고자 할 때
-췌 담관의 선천성 기형을 진단할 때
1.distal CBD narrowing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 STEMI)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농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흡인성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농흉 Empyem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