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정보
Ⅱ. 병력
1. 주증상(chief complaints)
2. 현병력(present illness)
3. 과거병력(past history)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1. 병태생리
2. 분류
3. 진단검사
4. 치료 - 약물
5. 치료 - 외과적 요법
6. 협심통 발작 시 흉통 경감을 위한 간호
IV.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 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
Ⅷ.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Ⅱ. 병력
1. 주증상(chief complaints)
2. 현병력(present illness)
3. 과거병력(past history)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1. 병태생리
2. 분류
3. 진단검사
4. 치료 - 약물
5. 치료 - 외과적 요법
6. 협심통 발작 시 흉통 경감을 위한 간호
IV.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 검사
1. 임상검사
2.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
Ⅷ.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본문내용
rotect
혈소판 응집작용이 있는 TBX-A₂의 합성을 억제
5/8
5/9
PO
[100mg/tab]
1 tab #1
PO QD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예방에 이용
쇽, 과민증, 재생불량성빈혈, 식욕부진,속쓰림
-항혈소판약
Emla cream
신경 섬유의 전도를 가역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동통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
5/8
도포
[5g]
1 tub #1
EXT QD
외과적 처치에 따른 피부의 표면마취나 생식기 점막의 표면마취
국소창백, 발적, 부종,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및 아나필락시성 반응
-국소마취약
수액
5/7
5/8
H/S [1000ml] 1bag #1
N/S [1000mg] 1bag #1
N/S [1000mg] 1 bag #1
prepare) H/S [1000ml] 1bag #1
Ⅶ. 특수치료 및 처치날짜
종류
목적
적응증
간호내용
결과
평가
5/7~9
기좌호흡
-호흡곤란을 완화
-호흡곤란으로 인한 대상자의 불안 감소
-누우면 호흡곤란이 심해지고 일어나 앉거나 몸을 앞으로 숙이면 덜해지는 경우로서 심부전, 기관지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에서 관찰됨.
-대상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SpO2를
확인하여 산소가 잘 공급되는지 확
인한다.
-SaPO2가 95% 이상
유지됨.
-PaO2가 정상범위
로 유지됨.
-PaO2가 정상범위
로 돌아와 호흡하기
편안해 함.
-호흡곤란을 호소
하지 않음.
5/8
C-angio
-관상동맥의 해부
학적 구조를 밝
히고, 질환의 유
무를 진단하기
위함.
-관상동맥의 확장
을 위함.
-관상동맥의 협착 유무와 정도,
치료 방향을 결정
-심장질환의 심각성의 평가
-심장의 펌프능력, 심장근육의
기능을 평가할 때
-부정맥의 진단 및 치료
-수술 후 평가
-관상동맥질환이 비관혈적 검사로
확실하지 않을 때 확진하기 위해
-비관혈적 검사에서 3개 이상의
관상동맥 질환(다혈관 질환)이 의심
-좌, 우 관상동맥의 occlusion,
stenosis 정도의 파악 및 순환을
평가
-협심증을 가진 환자가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하거나 혈관 재생
(revascularization)을 고려할 때
-약물 치료에 효과가 없는 협심증의
경우 PTCA(경피적 관동맥 확장술)
와 CABG(관동맥 우회 이식수술)를
실시하기 위해
<검사 전 간호>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기 위하여 검사의 목적
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 전 확인 검사한다.
*Lab data (심근경색효소)
*CBC, PLT, BUN/Cr,
PT/PTT, U/A,
BT/CT, ABO & RH
*EKG Check
*방사선 검사
*Chest PA
-시술 동의서 받는다.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한다.
<검사 후 간호>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절개 부위의 통증과 종창, 감염,
혈전증 올 수 있으므로 상처 부위
를 드레싱하고 자주 관찰한다.
-절개부위에 온찜질을 하면 통증
경감된다.
-LAD 두 곳에 혈관 확
장술 및 스텐트를 삽입
함.
-angio site에 발적,
부종 sign 없음
-심근에 괴사된 부
분이 보이지 않음
-발적, 부종 sign이
없었음
Ⅷ. 간호과정
#1 급성통증
날짜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결과기준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7~5/9
S.D :
“여기가(가슴) 아파”
O.D:
C-angio 진단 검사결과
-LAD :
diffuse irregular 30% DS
-LCX :
diffuse irregular 20% DS
혈관폐색으로 인한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8에서 3이하로
감소한다.
-결과기준:
퇴원하기 전까지
흉통을 느끼지 않는다.
대상자에게서
편안한 표정이 관찰된
다.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SN)
-통증척도사정과
통증의특성을 사정
한다.(SN)
-통증 발생 시
전환요법에 대해 상의
한다.(SN)
-필요시산소를
투여한다.(RN)
-필요시 의사처방하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RN)
-온요법을 실시함(RN)
-심리적으로 안정하도록
하여 심근의 산소요구
량을 감소시킨다.
-환자의 통증에 대해 알
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
할 수 있다.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
법을 알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심근의 허혈을 예방한
다.
-통증척도가 2로 감소하였으며 퇴원 바로전에는 0으로 통증이 감소됨.
-통증이 사라졌다고 환
자분께서 말함.
#2 불안
날짜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결과기준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7~5/9
S.D :
“오늘 하는 검사는 얼마나 걸리나?”
“검사하는 데 아픈것은 아니지?”
“병원에 있다보면 오히려 병이 생기는 것 같아”
O.D:
5/8 심혈관 조영술 실시.
검사받으러 이동할 때마다
주변을 두리번거리면서
자꾸 질문을 하는 등의
불안한 모습을 보임
시술의 결과와
병원생활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대상자는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보인다.
-결과기준 :
대상자는
병원에 있는 동안
편안해 한다.
-대상자가 질문을 적극적
으로 할 수 있도록 격려
한다.(SN)
-대상자와 수시로 함께 있
어주고 감정이입한다.
(SN)
-치료적 행위를 할 때는
처치와 치료계획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
(RN, SN)
-대상자에게 시술의 결과
를 정확하게 알려준다.
(RN)
-대상자에게 병원구조에
대해 교육한다.(RN)
-대상자에게 병원생활에
불편한 것이 있으면 적극
적으로 표현하도록 격려
한다.(SN)
-전문가의 교육으로 인해
환자의 궁금증이 해소되고
불안이 경감된다.
-재발의 증상이 있을 때 즉
시 알아채고 빠르게 병원
을 찾아 더 위험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
-질문, 조언은 오해를 교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
-감정이입으로 대상자의 불
안에 대한 대처능력을 증
가시킬 수 있다.
-치료계획에 대한 불확실성
을 감소시켜 불안감을 감
소킨다.
-불편한 것을 표현하여 병
원생활에 익숙해 진다.
-퇴원 후 관리에 대해
긍정적이 태도를
보였다.
-대상자는 시술이 잘됐다는 결과는 듣고 편안한
표정을 지었음
-대상자는 입원시보다 퇴
원할
혈소판 응집작용이 있는 TBX-A₂의 합성을 억제
5/8
5/9
PO
[100mg/tab]
1 tab #1
PO QD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예방에 이용
쇽, 과민증, 재생불량성빈혈, 식욕부진,속쓰림
-항혈소판약
Emla cream
신경 섬유의 전도를 가역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동통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
5/8
도포
[5g]
1 tub #1
EXT QD
외과적 처치에 따른 피부의 표면마취나 생식기 점막의 표면마취
국소창백, 발적, 부종, 두드러기, 알레르기성 및 아나필락시성 반응
-국소마취약
수액
5/7
5/8
H/S [1000ml] 1bag #1
N/S [1000mg] 1bag #1
N/S [1000mg] 1 bag #1
prepare) H/S [1000ml] 1bag #1
Ⅶ. 특수치료 및 처치날짜
종류
목적
적응증
간호내용
결과
평가
5/7~9
기좌호흡
-호흡곤란을 완화
-호흡곤란으로 인한 대상자의 불안 감소
-누우면 호흡곤란이 심해지고 일어나 앉거나 몸을 앞으로 숙이면 덜해지는 경우로서 심부전, 기관지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에서 관찰됨.
-대상자가 호흡하기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SpO2를
확인하여 산소가 잘 공급되는지 확
인한다.
-SaPO2가 95% 이상
유지됨.
-PaO2가 정상범위
로 유지됨.
-PaO2가 정상범위
로 돌아와 호흡하기
편안해 함.
-호흡곤란을 호소
하지 않음.
5/8
C-angio
-관상동맥의 해부
학적 구조를 밝
히고, 질환의 유
무를 진단하기
위함.
-관상동맥의 확장
을 위함.
-관상동맥의 협착 유무와 정도,
치료 방향을 결정
-심장질환의 심각성의 평가
-심장의 펌프능력, 심장근육의
기능을 평가할 때
-부정맥의 진단 및 치료
-수술 후 평가
-관상동맥질환이 비관혈적 검사로
확실하지 않을 때 확진하기 위해
-비관혈적 검사에서 3개 이상의
관상동맥 질환(다혈관 질환)이 의심
-좌, 우 관상동맥의 occlusion,
stenosis 정도의 파악 및 순환을
평가
-협심증을 가진 환자가 내과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하거나 혈관 재생
(revascularization)을 고려할 때
-약물 치료에 효과가 없는 협심증의
경우 PTCA(경피적 관동맥 확장술)
와 CABG(관동맥 우회 이식수술)를
실시하기 위해
<검사 전 간호>
-환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기 위하여 검사의 목적
과 방법을 설명한다.
-검사 전 확인 검사한다.
*Lab data (심근경색효소)
*CBC, PLT, BUN/Cr,
PT/PTT, U/A,
BT/CT, ABO & RH
*EKG Check
*방사선 검사
*Chest PA
-시술 동의서 받는다.
-검사 전 6-8시간 동안 금식한다.
<검사 후 간호>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절개 부위의 통증과 종창, 감염,
혈전증 올 수 있으므로 상처 부위
를 드레싱하고 자주 관찰한다.
-절개부위에 온찜질을 하면 통증
경감된다.
-LAD 두 곳에 혈관 확
장술 및 스텐트를 삽입
함.
-angio site에 발적,
부종 sign 없음
-심근에 괴사된 부
분이 보이지 않음
-발적, 부종 sign이
없었음
Ⅷ. 간호과정
#1 급성통증
날짜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결과기준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7~5/9
S.D :
“여기가(가슴) 아파”
O.D:
C-angio 진단 검사결과
-LAD :
diffuse irregular 30% DS
-LCX :
diffuse irregular 20% DS
혈관폐색으로 인한
심근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8에서 3이하로
감소한다.
-결과기준:
퇴원하기 전까지
흉통을 느끼지 않는다.
대상자에게서
편안한 표정이 관찰된
다.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SN)
-통증척도사정과
통증의특성을 사정
한다.(SN)
-통증 발생 시
전환요법에 대해 상의
한다.(SN)
-필요시산소를
투여한다.(RN)
-필요시 의사처방하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RN)
-온요법을 실시함(RN)
-심리적으로 안정하도록
하여 심근의 산소요구
량을 감소시킨다.
-환자의 통증에 대해 알
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
할 수 있다.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
법을 알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심근의 허혈을 예방한
다.
-통증척도가 2로 감소하였으며 퇴원 바로전에는 0으로 통증이 감소됨.
-통증이 사라졌다고 환
자분께서 말함.
#2 불안
날짜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결과기준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5/7~5/9
S.D :
“오늘 하는 검사는 얼마나 걸리나?”
“검사하는 데 아픈것은 아니지?”
“병원에 있다보면 오히려 병이 생기는 것 같아”
O.D:
5/8 심혈관 조영술 실시.
검사받으러 이동할 때마다
주변을 두리번거리면서
자꾸 질문을 하는 등의
불안한 모습을 보임
시술의 결과와
병원생활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
대상자는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보인다.
-결과기준 :
대상자는
병원에 있는 동안
편안해 한다.
-대상자가 질문을 적극적
으로 할 수 있도록 격려
한다.(SN)
-대상자와 수시로 함께 있
어주고 감정이입한다.
(SN)
-치료적 행위를 할 때는
처치와 치료계획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
(RN, SN)
-대상자에게 시술의 결과
를 정확하게 알려준다.
(RN)
-대상자에게 병원구조에
대해 교육한다.(RN)
-대상자에게 병원생활에
불편한 것이 있으면 적극
적으로 표현하도록 격려
한다.(SN)
-전문가의 교육으로 인해
환자의 궁금증이 해소되고
불안이 경감된다.
-재발의 증상이 있을 때 즉
시 알아채고 빠르게 병원
을 찾아 더 위험한 상황을
막을 수 있다.
-질문, 조언은 오해를 교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다.
-감정이입으로 대상자의 불
안에 대한 대처능력을 증
가시킬 수 있다.
-치료계획에 대한 불확실성
을 감소시켜 불안감을 감
소킨다.
-불편한 것을 표현하여 병
원생활에 익숙해 진다.
-퇴원 후 관리에 대해
긍정적이 태도를
보였다.
-대상자는 시술이 잘됐다는 결과는 듣고 편안한
표정을 지었음
-대상자는 입원시보다 퇴
원할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 STEMI)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농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흡인성폐렴)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췌장염, 췌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농흉 Empyem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