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각종 진단검사 및 시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각종 진단검사 및 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피적 간담관 배액(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2. 고주파 열 소작술 (Radiofrequence thermal ablation, RITA)
3. 간동맥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4. 복막투석
5. 혈액투석- 혈액투석환자의 저칼슘식이
6. 총경관영양법(TPN) - 섭취량/배설량 (I/O) input/ output 체크
7. 항암제 투여방법 및 간호 - 오심/구토 예방식이
8. 수혈(종류 및 간호)
9. Chemo-port 관리 및 간호
10. 인슐린 주사요법
11. Nebulizer 사용 및 간호
12. 중심 정맥관 종류 및 관리
13. 폐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PFT)
14. 간생검 (liver biopsy)
15. 복수천자 (abdominal)
16. 늑막천자 = 흉강천자 (thoracentesis)
17. 경정맥 담관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 IVC)
18. 경피적 간담도 조영술 = 경피경간 담관조영검사 (PTC)
19. 기관지경 검사(Bronchoscopy)
20.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 EKG)
21. 심초음파검사(Echocardiography)
22.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23.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CABG)
24. 혈관(동정맥루)관리

본문내용

투석액을 복강 내에 주입하여 환자의 체내에서 과잉의 물과 단백질대사의 결과로 생긴 질소를 함유한 노폐물을 복막을 통해 제거하고 혈장의 산-염기평형과 전해질농도를 개선시키는, 신부전에 대한 치료법이다.
이 방법은 1959년 맥스웰이 복막관류액의 기본조성을 개발한 이래 임상응용되어 현재도 요독증 치료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복강에 삽입한 카테테르로 관류액(1.5~2 ℓ)을 약 10분간 주입하고 60~90분간 체액시킨 뒤에 배액한다. 이것이 1회의 치료이고 이것을 10~15회 되풀이하는 것이다.
전에는 1명의 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는 복막투석의 치료횟수는 많아야 50~60회로 한정되어 있었으나, 근래에는 개량된 부드러운 카테테르(Tenckhoff)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혈관의 상태가 나빠 혈액투석을 할 수 없는 만성신부전 환자에게도 장기간에 걸쳐서 반복 시행할 수 있게 되었고, 자동복막 투석장치도 개발되었다.
이 방법에는 간헐적 복막투석법(IPD:intermittent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과 지속적 외래복막투석법(CAPD:chronic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의 두 가지가 있다. 혈액투석과 비교하면 특별한 장치가 필요없고 항응고제가 필요없을 뿐 아니라, 비용도 적게 든다. 요독증성 물질의 제거 효율도 높고 물 ·전해질의 조정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결점은 조작이 번거롭고 장시간 걸리며, 단백질 누출이 있고 복막염에 걸릴 우려가 있다.
5. 혈액투석
급성 및 만성 신부전에 대한 치료법.
환자의 혈액에서 너무 많은 물과 단백질 대사의 결과 발생한 질소함유성 노폐물을 제거하고, 혈장의 산 ·염기의 평형과 전해질 농도가 개선되도록 구성된 용액에, 투석막으로 만든 관을 넣고, 이 관 속에 환자의 혈액 일부를 순환시킴으로써 주요한 신기능을 대행시키는 것으로, 이 혈액투석을 행하는 장치를 인공신장이라고 한다.
혈액투석을 하려면, 환자로부터 동맥혈을 끌어내어, 인공신장의 회로에 연결하고 투석된 혈액을 재차 환자에게 되돌려줄 수 있는 장소를 정맥쪽에 설치해야 한다. 이 혈액의 출입구(blood access)를 션트(shunt)라 하며, 혈액의 출입방법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투관(cannula)을 동 ·정맥에 삽입한 스크리브너션트를 사용하는 외션트법, 동 ·정맥을 문합하여 확대시킨 정맥에 투석할 때마다 천자하는 내션트법, 이식혈관을 사용하는 방법의 3가지가 있다.
또 투석기에는 코일형 ·평판형·중공사형의 3종류가 있으며, 이 중 중공사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투석기 안에서 혈액이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파린을 사용하고 있다. 혈액투석은 보통 주 3회 행하며, 1회의 투석시간은3∼5시간이다. 이러한 불편 때문에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가정투석이 전체 투석환자의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 밖에 혈액투석은 식사 내용과 물의 양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드는 등 문제점이 많다.
- 혈액투석환자의 저칼슘식이
신장이 손상을 받으면 제일 문제가 되는 성분중의 하나가 칼륨이다. 칼륨은 모든 세포중 특히 심장, 근육, 신경세포 자극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너무 높거나 낮으면 생명의 위험을 가져올 수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
투석환자에서는 대부분 신장에서 칼륨의 배설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해서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칼륨이 높은 음식을 제한해야 한다.
칼륨이 높은 식품으로는 양질의 단백류인 우유와 유제품(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두유, 어육류군, 과일 야채 등이 있으나 체내에서 필요한 단백질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에 어육류군은 제한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래서 칼륨이 높은 야채나 과일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륨이 높은 야채나 과일은 다음과 같다. 감자, 고구마, 고춧잎, 부추, 산채, 쑥갓, 시금치, 열무 등 녹색 야채류와 야채주스 등. 과일로는 바나나, 살구, 오렌지, 메론, 복숭아와 곶감, 건포도 등의 견과류가 있다. 그 밖에 잡곡, 콩류, 은행, 잣, 땅콩 등의 곡류 군과 기타 군으로는 코코아, 쵸코렛, 저염소금, 된장, 청국장, 감자칩 등에도 다량의 칼륨이 들어 있다.
야채는 삶은 후 삶은 물을 버리고 조리하면, 상당히 칼륨 함유량을 떨어뜨릴 수 있다.
포타슘은 주로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소변량에 따라 포타슘의 섭취량을 조절한다. 포타슘은 주로 육류, 야채류, 과일류, 우유류등 거의 대부분의 식품에 포함되어 있어 실제로는 제한이 어렵다. 그래서, 포타슘이 많이 들어 있는 푸른잎 채소 및 과일의 섭취량을 줄이고, 조리할 때 물에 야채를 2시간 이상 담가놓은 후 쓰거나, 더운 물에 살짝 데친 후 먹는 방법이 좋다. 보통 하루 섭취량은2,000mg(2g)정도로 제한한다.
- 포타슘을 적게 먹을 수 있는 방법
1. 푸른잎 채소와 과일의 섭취를 줄인다.
2. 포타슘은 수용성이므로 물에 오랫동안 담그거나, 삶거나 데치면 식품에서 빠져 나오니 이러한 조리법을 이용한다.
3. 식물의 껍질이나 줄기에는 포타슘이 많으므로 껍질과 줄기를 제거하고 잎만을 사용한다.
4. 식품을 충분한 양의 물(재료의 10배 정도)에 최소한 2시간 이상 담가 둔다.
5. 식품을 건져 따뜻한 물에 몇 번 헹군다.
6. 식품을 데칠 때는 충분한 물(재료의 5배 정도)을 사용한다.
7. 데쳐낸 물은 버리고 필요한 경우 다시 물을 넣어 조리한다.
- 포타슘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
곡류군 잡곡, 콩종류, 콩제품 견과류, 은행, 잣, 밤 땅콩버터, 엿기름
어육류균 굴, 꽃게, 대합, 바지락, 재치조개, 전복, 대하새우, 성게알, 명란젓, 대구, 동태, 병 어, 붕어, 아나고,아구, 건어육류, 미더덕, 해파리
우유군 우유, 치즈, 유제 품(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등) 두유
채소군 감자, 고구마, 고수, 고춧잎, 근대, 냉이, 두릅,마, 무청, 미역, 부추,부로커리, 비름, 산채, 시금치, 쑥, 쑥갓, 연근, 열무, 옥수수, 수수, 죽순, 케일, 파래, 홍무(비트)
과일군 메론(머스크, 화잇, 파파야),바나나, 살구, 키위, 석류, 오렌지, 오렌지쥬스, 황도복숭 아, 천도복숭아, 건포도, 곶감, 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21.06.11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