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환설명(병태생리)
2. 증상 및 징후
3. 진단 및 치료
4. (일반적)간호
5. 합병증 예방교육 및 관리
6. 재활간호
7.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
8. 참고문헌
2. 증상 및 징후
3. 진단 및 치료
4. (일반적)간호
5. 합병증 예방교육 및 관리
6. 재활간호
7.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 특히 젊은 여성(20~30대)이 다발성 골절 또는 분쇄성 외상을 입었을 때 48시간 내에 발생
뇌에 지방색전증 → 저산소증 ⇒ 어지러움, 혼돈, 섬망, 혼수
폐색전증 : 빈호흡, 빈맥, 호흡곤란, 흉통, 청색증, PaO2 60mmHg 이하로 떨어짐
점상출혈(petechia) : 구강 점막세포, 결막조직, 경구개, 눈의 기저부, 가슴 앞 겨드랑이 위쪽
골절부위 부동화, 최소한의 골절 처치, 세를 고정시키는 동안 골절된 뼈의 적절한지지 등으로 지방 색전증의 빈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
동맥혈가스분석검사로 호흡기 상태 사정 → 결과에 따라 고농도의 산소 공급
염증성 폐반응과 뇌부종을 조절하기 위해 부신피질 호르몬을 사용
헤파린(heparin)은 혈청 내 지방용해작용을 위해 사용하지만, 항응고작용으로 골절부위 출혈야기가능
불안을 완화, 통증경감 위해 morphine 투여
③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사지의 한정된 공간이나 구획에 종창이나 압력이 증가하는 것. 강한 근막조직에 둘러싸인 근육에서 발생
인체의 46개의 구획 중 38개가 사지에 있어 사지에 구획증후군이 발생하기 쉬움
각 구획 안의 근막은 늘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구획 내부의 출혈이나 부종은 근육, 신경, 혈관 압박
압박붕대와 석고붕대 때문에 구획 외부에서 압력 유발 가능 → 근육 허혈, 신경압박으로 인한 손상
증상 : 극심한 통증으로 진통제를 투여해도 완화 되지 않음. 마비, 무감각, 맥박 약화나 감소, 피부의 긴장 등 나타남. 초기 증상 지각이상, 후기 증상 맥박 소실
허혈 발생 후 6시간 이상 : 근육과 신경에 치명적 손상, 24~48시간 후 사지 회복 불가능
예방 : 조기발견 위해 자주 규칙적으로 신경혈관계 사정. 드레싱이나 부목, 석고붕대가 꽉 조이지 않도록 하고, 정맥주사가 새지 않도록 함. 사지를 심장 높이에 두면 혈량 증가시키는 보상기전 억제. 석고붕대의 앞쪽 반을 제거하고, 압력붕대도 제거. 구획의 조직압이 1시간 이내에 호전되지 않으면 압력감소위해 근막절개술(faciotomy) 실시.
④ 신경손상
날카로운 골절편이나 치료 도중의 부종으로 인해 발생
비골신경은 하지의 외측을 따라 표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석고붕대, 견인장치, 압박붕대가 압력으 가할 때 흔히 손상 → 족하수(foot drop) 발생 가능
척골신경, 요골신경, 좌골신경, 슬와신경 등도 흔히 손상
신경 심하게 손상 시 즉시 수술, 신경 손상이 단지 압박이나 타박상에 의한 것이면 골절정복 후 기능 회복 될 수 있도록 주의 깊게 관찰
2. 후기 합병증
① 지연 유합 : 치유기간 경과해고 가골(callus) 생기지 않거나, 석회화(calcification) 불충분 할 때 재골절 가능. 원인으로는 염증, 부적합한 정복이나 고정, 부적절한 혈액순환, 단백질과 비타민 부족, 대사성 불균형 등
② 불유합
골절부위의 골편이 붙지 않고 골유합이 견고하게 되지 않는 경우로서 두 골절편 간의 거리가 너무 벌어져 혈액순환이 제한되거나 골절편 사이에 연조직이 끼어 있을 때 발생
상박골 중간 1/3선 골절, 노인의 대퇴 경부골절, 경골 하부 1/3선 골절에서 흔히 나타남
치료로 골이식술(bone graft) 후에는 절대 부동, 전기자극요법(electrical stimulation)
③ 부정유합 : 부적절한 체위나 정복 및 고정으로 해부학적 위치와 다르게 유합된 경우, 기형이나 기능장애 유발 가능. 심한 부정유합은 뼈의 재조작이나 수술로 치료
④ 무혈관성 골괴사(무균성 골괴사)
원인 : 뼈로 가는 혈액공급 차단, 계속적인 고용량 스테로이드치료, 만성신장염, 겸상세포빈혈 등
X-선상에서 칼
뇌에 지방색전증 → 저산소증 ⇒ 어지러움, 혼돈, 섬망, 혼수
폐색전증 : 빈호흡, 빈맥, 호흡곤란, 흉통, 청색증, PaO2 60mmHg 이하로 떨어짐
점상출혈(petechia) : 구강 점막세포, 결막조직, 경구개, 눈의 기저부, 가슴 앞 겨드랑이 위쪽
골절부위 부동화, 최소한의 골절 처치, 세를 고정시키는 동안 골절된 뼈의 적절한지지 등으로 지방 색전증의 빈도를 줄이는 것이 중요
동맥혈가스분석검사로 호흡기 상태 사정 → 결과에 따라 고농도의 산소 공급
염증성 폐반응과 뇌부종을 조절하기 위해 부신피질 호르몬을 사용
헤파린(heparin)은 혈청 내 지방용해작용을 위해 사용하지만, 항응고작용으로 골절부위 출혈야기가능
불안을 완화, 통증경감 위해 morphine 투여
③ 구획증후군(compartment syndrome)
사지의 한정된 공간이나 구획에 종창이나 압력이 증가하는 것. 강한 근막조직에 둘러싸인 근육에서 발생
인체의 46개의 구획 중 38개가 사지에 있어 사지에 구획증후군이 발생하기 쉬움
각 구획 안의 근막은 늘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구획 내부의 출혈이나 부종은 근육, 신경, 혈관 압박
압박붕대와 석고붕대 때문에 구획 외부에서 압력 유발 가능 → 근육 허혈, 신경압박으로 인한 손상
증상 : 극심한 통증으로 진통제를 투여해도 완화 되지 않음. 마비, 무감각, 맥박 약화나 감소, 피부의 긴장 등 나타남. 초기 증상 지각이상, 후기 증상 맥박 소실
허혈 발생 후 6시간 이상 : 근육과 신경에 치명적 손상, 24~48시간 후 사지 회복 불가능
예방 : 조기발견 위해 자주 규칙적으로 신경혈관계 사정. 드레싱이나 부목, 석고붕대가 꽉 조이지 않도록 하고, 정맥주사가 새지 않도록 함. 사지를 심장 높이에 두면 혈량 증가시키는 보상기전 억제. 석고붕대의 앞쪽 반을 제거하고, 압력붕대도 제거. 구획의 조직압이 1시간 이내에 호전되지 않으면 압력감소위해 근막절개술(faciotomy) 실시.
④ 신경손상
날카로운 골절편이나 치료 도중의 부종으로 인해 발생
비골신경은 하지의 외측을 따라 표면 가까이 있기 때문에 석고붕대, 견인장치, 압박붕대가 압력으 가할 때 흔히 손상 → 족하수(foot drop) 발생 가능
척골신경, 요골신경, 좌골신경, 슬와신경 등도 흔히 손상
신경 심하게 손상 시 즉시 수술, 신경 손상이 단지 압박이나 타박상에 의한 것이면 골절정복 후 기능 회복 될 수 있도록 주의 깊게 관찰
2. 후기 합병증
① 지연 유합 : 치유기간 경과해고 가골(callus) 생기지 않거나, 석회화(calcification) 불충분 할 때 재골절 가능. 원인으로는 염증, 부적합한 정복이나 고정, 부적절한 혈액순환, 단백질과 비타민 부족, 대사성 불균형 등
② 불유합
골절부위의 골편이 붙지 않고 골유합이 견고하게 되지 않는 경우로서 두 골절편 간의 거리가 너무 벌어져 혈액순환이 제한되거나 골절편 사이에 연조직이 끼어 있을 때 발생
상박골 중간 1/3선 골절, 노인의 대퇴 경부골절, 경골 하부 1/3선 골절에서 흔히 나타남
치료로 골이식술(bone graft) 후에는 절대 부동, 전기자극요법(electrical stimulation)
③ 부정유합 : 부적절한 체위나 정복 및 고정으로 해부학적 위치와 다르게 유합된 경우, 기형이나 기능장애 유발 가능. 심한 부정유합은 뼈의 재조작이나 수술로 치료
④ 무혈관성 골괴사(무균성 골괴사)
원인 : 뼈로 가는 혈액공급 차단, 계속적인 고용량 스테로이드치료, 만성신장염, 겸상세포빈혈 등
X-선상에서 칼
추천자료
ICU 중환자실 성인간호케이스 방광암 < bladder cancer > 간호진단 1. “ 감염위험성 “ ...
ccu 중환자실 성인간호 케이스 aneurysm , popliteal artery 간호진단 1. “ 감염위험성 “ ...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성인간호학 간암 주제학습 (질환, 검사/수술명, 환자간호, 약물, 약물요법)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외상 및 골절 환자 치료와 간호)
노인간호학 주제학습 (퇴행성골관절염과 부동환자 간호)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복막투석 환자 간호]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순환기계) [질환/검사,수술명/환자간호/약물]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류마티스성 관절염(RA)환자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