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아의 일반적 사항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Ⅱ. 환아의 질병에 대한 이해(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이에 얼음주머니를 적용한 이유를 설명하고 차가운감이 없어지면 교환을 하며, 아이가 추워하면 잠시 빼도 록 교육했다.
- 체온이 상승되어 있는 동안은 옷을 벗기고 담요를 덮지 않도록 교육했다.
- 해열제 주입 후 체온이 다시 증가하면서 물수건으로 몸을 적쇼 져주도록 교육하고 격려했다.
- 대상자의 활동을 제한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줄 수 있음을 설명 후 활동 제한을 격려하며 침대의 side rail을 항상 올려줌 을 교육했다.
- 음식섭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격려했다.
- 환의와 침구는 건조하게 유지시킴을 교육하고 격려했다.
7. 편안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했다.(by SN, RN)
- 커튼을 치고 방의 조명을 밝지 않게 조절했다.
8. 병실의 문을 열어 방안의 환기를 도모했다.(by RN,SN)
간호평가
12/2
15:00
38.6
16:25
37.3
17:00
37.4
12월 2일 입원 후 대상자는 3시간이내 38도 미만으로 체온이 떨어졌다.
- 목표달성.
12월 2일 입원 후 오후 3시 대상자의 보호자(엄마)가 대상자의 옷을 벗기고 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환아를 닦는 모습을 보였으며, 물이 담긴 컵을 옆에 항상 두고 환아를 먹이려고 하였고, 아이에게 얼음주머니를 목뒤에 계속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식사시간 시 밥을 먹이려고 하였으나 환아는 2~3숟가락 정도 밖에 먹지 못하였다.
- 목표 부분 달성.
12월 3일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36.5~37.5℃)까지 떨어졌으나 체온조절이 아직 잘 되지 않아서 다시 열이 올라갔다. 12월 3일 저녁부터 체온이 정상범위로 감소되어 유지되었다.
12/3
00:40
37.8
15:00
37.5
02:20
36.8
16:15
37.4
06:00
36.2
17:00
37.5
07:00
36.6
18:10
37.9
11:00
36.9
19:00
37.9
14:00
37.0
20:45
36.7
- 목표미달성.
대상자는 12월 3일부터 퇴원 전까지 대체로 정상체온(36.5~37.5℃)이 나타났으나 체온유지가 가끔 되지 않았다.(참조 1번)
- 목표부분달성.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했다.(참조 1번)
- 목표달성.
대상자는 12월 2일 저녁부터 조금 씩 양쪽 볼의 홍조가 사라지고 12월 3일부터는 거의 사라진 것을 관찰했다.
- 목표 달성
** 목표 부분 달성함.
* (참조 1번)
12/2
15:00
38.6
16:25
37.3
17:00
37.4
P 98
R 24
19:50
38.2
21:45
38.9
23:20
38.3
12/3
00:40
37.8
02:20
36.8
06:00
36.2
07:00
36.6
11:00
36.9
BP 90/50
P 108
R 24
14:00
37.0
15:00
37.5
16:15
37.4
17:00
37.5
P 98
R 22
18:10
37.3
19:00
37.9
20:45
36.7
23:00
36.6
12/4
1:50
36.7
6:00
36.9
P 88
R 20
11:00
36.7
BP 90/50
P 84
R 20
17:00
P 90
R 20
17:45
37.5
18:45
37.5
19:10
38.0
20:10
37.3
21:00
37.1
23:10
36.4
12/5
1:40
36.1
6:00
36.6
P 80
R 20
11:00
36.8
15:00
36.9
17:00
36.6
P 84
R 22
18:25
37.3
19:30
37.6
21:30
36.8
23:10
37.0
* (참조 2번)
경구
비경구
Intake
배뇨
대변
Output
총 I/O
12/2
100
500
600
160
1(설사)
160
+440
12/3
830
1100
1930
940
5(설사)
940
+990
12/4
900
1350
2250
500
3(설사)
500
+1750
12/5
510
900
1410
460
1(대변)
460
+950
♣아동의 경우 정상체온이 성인의 경우보다 높기 때문에 37.5℃까지는 정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동에게 이렇게 해주세요.
☞ 옷을 벗겨주세요.
- 상의를 탈의하거나, 상의와 하의 모두 탈의하는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이때 노출이 갑작스럽게 이루어 지거나 찬바람을 직접 쐬면 전율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갑작스렇게 모든 옷을 탈의하지 마지고 옷의 단추를 열어놓은 후 벗는 단계로 진행하며 옷을 탈의 후 밖으로 나가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 미온수로 적신 수건이나 스펀지로 몸을 닦아주세요.
- 해열제를 복용 후 30분이 열이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 미온수로 적신 수건이나 스펀지로 아이의 몸을 적시고 닦아줍니다. 이때 아이의 몸을 심하게 문지르면 마찰로 인한 열이 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10~20분정도 적신 후 닦아주세요.
☞ 얼음주머니를 이마, 목뒤, 겨드랑이 사이에 적용해주세요.
- 아이가 편안한 부위에 위치를 해주시고, 차가운감이 없어지면 교환을 해주세요. 한번 적용 시 20분정도가 적당하며 아이가 추워할 시 꼭 멈추어 주세요.
☞ 두꺼운 이불이나 담요는 덮지 않는게 좋습니다.
- 아이의 열 손실을 막으므로 체온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옷을 모두 탈의한 아이의 경우 얇은 담요로 살짝 덮어주거나 하실 수 있습니다.
☞ 음식은 먹기 쉽고 고열량으로 섭취해 주세요.
- 식욕이 떨어져 먹기 힘들지만 에너지 손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보충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식욕이 없는 아이들에게 먹기 쉽고 부드러운 음식으로 제공해서 섭취를 격려해주세요.
☞ 미온수로 구강으로 수분섭취를 자주 조금씩 해주세요.
- 체온 상승으로 수분손실이 많아서 탈수 증상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분섭취를 많이 해주어야 합니다.
☞ 아동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합니다.
- 체온상승으로 에너지 손실이 많기 때문에 아동의 활동을 제한하여 에너지 손실을 막아줍니다. 이때 침대에 있을 시 침대의 side rail은 반드시 올려놔 주세요.
(참조 3번)
Ⅴ. 참고문헌
- 최신아동간호학2/수문사/홍경자 외
- 아동간호학임상가이드/현문사/박은숙 외
- 성인간호학 1,2/수문사/이항련 외
- 드러그 인포(약물)
- naver 백과사전(문헌고찰 부분 첨가)
- 체온이 상승되어 있는 동안은 옷을 벗기고 담요를 덮지 않도록 교육했다.
- 해열제 주입 후 체온이 다시 증가하면서 물수건으로 몸을 적쇼 져주도록 교육하고 격려했다.
- 대상자의 활동을 제한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여줄 수 있음을 설명 후 활동 제한을 격려하며 침대의 side rail을 항상 올려줌 을 교육했다.
- 음식섭취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격려했다.
- 환의와 침구는 건조하게 유지시킴을 교육하고 격려했다.
7. 편안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조성했다.(by SN, RN)
- 커튼을 치고 방의 조명을 밝지 않게 조절했다.
8. 병실의 문을 열어 방안의 환기를 도모했다.(by RN,SN)
간호평가
12/2
15:00
38.6
16:25
37.3
17:00
37.4
12월 2일 입원 후 대상자는 3시간이내 38도 미만으로 체온이 떨어졌다.
- 목표달성.
12월 2일 입원 후 오후 3시 대상자의 보호자(엄마)가 대상자의 옷을 벗기고 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환아를 닦는 모습을 보였으며, 물이 담긴 컵을 옆에 항상 두고 환아를 먹이려고 하였고, 아이에게 얼음주머니를 목뒤에 계속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식사시간 시 밥을 먹이려고 하였으나 환아는 2~3숟가락 정도 밖에 먹지 못하였다.
- 목표 부분 달성.
12월 3일 대상자는 체온이 정상범위(36.5~37.5℃)까지 떨어졌으나 체온조절이 아직 잘 되지 않아서 다시 열이 올라갔다. 12월 3일 저녁부터 체온이 정상범위로 감소되어 유지되었다.
12/3
00:40
37.8
15:00
37.5
02:20
36.8
16:15
37.4
06:00
36.2
17:00
37.5
07:00
36.6
18:10
37.9
11:00
36.9
19:00
37.9
14:00
37.0
20:45
36.7
- 목표미달성.
대상자는 12월 3일부터 퇴원 전까지 대체로 정상체온(36.5~37.5℃)이 나타났으나 체온유지가 가끔 되지 않았다.(참조 1번)
- 목표부분달성.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했다.(참조 1번)
- 목표달성.
대상자는 12월 2일 저녁부터 조금 씩 양쪽 볼의 홍조가 사라지고 12월 3일부터는 거의 사라진 것을 관찰했다.
- 목표 달성
** 목표 부분 달성함.
* (참조 1번)
12/2
15:00
38.6
16:25
37.3
17:00
37.4
P 98
R 24
19:50
38.2
21:45
38.9
23:20
38.3
12/3
00:40
37.8
02:20
36.8
06:00
36.2
07:00
36.6
11:00
36.9
BP 90/50
P 108
R 24
14:00
37.0
15:00
37.5
16:15
37.4
17:00
37.5
P 98
R 22
18:10
37.3
19:00
37.9
20:45
36.7
23:00
36.6
12/4
1:50
36.7
6:00
36.9
P 88
R 20
11:00
36.7
BP 90/50
P 84
R 20
17:00
P 90
R 20
17:45
37.5
18:45
37.5
19:10
38.0
20:10
37.3
21:00
37.1
23:10
36.4
12/5
1:40
36.1
6:00
36.6
P 80
R 20
11:00
36.8
15:00
36.9
17:00
36.6
P 84
R 22
18:25
37.3
19:30
37.6
21:30
36.8
23:10
37.0
* (참조 2번)
경구
비경구
Intake
배뇨
대변
Output
총 I/O
12/2
100
500
600
160
1(설사)
160
+440
12/3
830
1100
1930
940
5(설사)
940
+990
12/4
900
1350
2250
500
3(설사)
500
+1750
12/5
510
900
1410
460
1(대변)
460
+950
♣아동의 경우 정상체온이 성인의 경우보다 높기 때문에 37.5℃까지는 정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동에게 이렇게 해주세요.
☞ 옷을 벗겨주세요.
- 상의를 탈의하거나, 상의와 하의 모두 탈의하는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이때 노출이 갑작스럽게 이루어 지거나 찬바람을 직접 쐬면 전율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갑작스렇게 모든 옷을 탈의하지 마지고 옷의 단추를 열어놓은 후 벗는 단계로 진행하며 옷을 탈의 후 밖으로 나가지 않게 주의해 주세요.
☞ 미온수로 적신 수건이나 스펀지로 몸을 닦아주세요.
- 해열제를 복용 후 30분이 열이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 미온수로 적신 수건이나 스펀지로 아이의 몸을 적시고 닦아줍니다. 이때 아이의 몸을 심하게 문지르면 마찰로 인한 열이 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10~20분정도 적신 후 닦아주세요.
☞ 얼음주머니를 이마, 목뒤, 겨드랑이 사이에 적용해주세요.
- 아이가 편안한 부위에 위치를 해주시고, 차가운감이 없어지면 교환을 해주세요. 한번 적용 시 20분정도가 적당하며 아이가 추워할 시 꼭 멈추어 주세요.
☞ 두꺼운 이불이나 담요는 덮지 않는게 좋습니다.
- 아이의 열 손실을 막으므로 체온이 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옷을 모두 탈의한 아이의 경우 얇은 담요로 살짝 덮어주거나 하실 수 있습니다.
☞ 음식은 먹기 쉽고 고열량으로 섭취해 주세요.
- 식욕이 떨어져 먹기 힘들지만 에너지 손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보충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식욕이 없는 아이들에게 먹기 쉽고 부드러운 음식으로 제공해서 섭취를 격려해주세요.
☞ 미온수로 구강으로 수분섭취를 자주 조금씩 해주세요.
- 체온 상승으로 수분손실이 많아서 탈수 증상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분섭취를 많이 해주어야 합니다.
☞ 아동에게 충분한 휴식을 제공합니다.
- 체온상승으로 에너지 손실이 많기 때문에 아동의 활동을 제한하여 에너지 손실을 막아줍니다. 이때 침대에 있을 시 침대의 side rail은 반드시 올려놔 주세요.
(참조 3번)
Ⅴ. 참고문헌
- 최신아동간호학2/수문사/홍경자 외
- 아동간호학임상가이드/현문사/박은숙 외
- 성인간호학 1,2/수문사/이항련 외
- 드러그 인포(약물)
- naver 백과사전(문헌고찰 부분 첨가)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신생아중환자실 NICU 미숙아 case 케이스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dy -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폐렴케이스 Pneumonia case study - 폐렴케이스스터디 폐렴사례관리 폐렴간호과정...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패혈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헤노흐 쇤라인 자반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미숙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두혈종)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정상신생아)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7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