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건강사정도구
2. 가족간호사례 보고서
1) Cue Grouping
2) 우선순위 설정
3) 간호과정
참고문헌
2. 가족간호사례 보고서
1) Cue Grouping
2) 우선순위 설정
3)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명되는 경우 오전4잔, 오후4잔씩 마시도록 격려한다.
Sign&Symptom
(Subjective
/Objective Data)
S “요새 몸이 좋아져서 지팡이를 안 짚고 다니기는 하는데.... 아직도 다리에 힘이 없어... 오래 걸으면 다리도 아프고...”
“예전에 비해 몸에 힘이 많이 빠져서 집안일 하는 게 좀 힘들어 졌지...”
“몸에 힘이 없어서 넘어지는 게 무섭지, 최근에 넘어진 것도 있고...“
- 대상자의 진단명 : 허리디스크, 골다공증, 관절염
- 낙상의 위험요인 : 65세 이상/ 위의 진단/ 약물(항정간제,정신신경용제,항콜린제)/ 1년 이내의 낙상경험(+)
- 대상자의 학력 : 무학
- 가장신뢰하는 지식원 : TV
≫ 낙상의 위험도가 높지만 자가 인식의 정도는 낮다.
- 디스크, 골다공증, 관절염 등으로 서있기도 힘들다고 호소하지만, 외출 시 동행할 보호자가 없으며 보행보조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평상시 힘이 없어 작년에 비해 외출횟수가 줄었으며 20분 이상 걸으려면 휴식을 취해야만 한다.
- 의료기관(00의료원)과의 거리가 멀어 버스를 타고 나서도 본인의 걸음 기준으로 20-30분씩 혼자 걸어간다.
- 지역사회 특성 : 주위에 8차선이 있는 등 교통이 활발한 특성이 있어 보행 중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있다.
≫ 운동이 부적절하다.
- 허리와 무릎통증, 근육쇠약으로 서있기가 힘들어 설거지도 의자에 앉아서 하고 있다.
- 발목에 힘이 안 들어가 운동을 하지 못하겠다고 한다.
- 볼 일이 있을 때만 나가서 걸으신다.(따로 운동을 하지 않음.)
- 최근 1주일 동안 스트레칭 한 날이 없다.
Nursing
Diagnosis
#3 부적절한 건강관리 행위
Nursing
Planning
Goal/
expected outcome
≫ 대상자는 외출 시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이해한다.
- 보행 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낙상의 위험을 줄인다.
≫ 대상자는 본인에게 알맞은 운동을 수행 할 수 있다.
- 건강상태에 적합한 운동을 교육 한다.
- 1주일에 3회 이상 20분/회 수행 한다.
Nursing
order
- 건강상태가 호전되었다고 느껴도 허약감으로 인한 낙상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교육한다.
- 낙상 위험요인을 대상자와 논의하여 파악한다.
-> 현재 외출 시 보조기를 사용하지 않고 혼자 다니는 것이 낙상의 위험이 증가함을 알린다.
-> 집안에 있는 신발을 관찰하고, 주로 신는 신발이 발에 잘 맞는지/ 헐겁지는 않은 지/꺾어 신는지 등을 질문한다.
-> 투약중인 약물도 낙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알린다.
- 평상시에도 예방차원으로 보행보조기를 사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 보조기 사용 시 정확한 이용법과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 외출 시 지지체계를 활용하거나 사회복지센터에 의뢰해 자원봉사자와 연결하여
대상자와 동행할 수 있도록 한다.
- 대상자의 건강상태 적합하며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운동을 교육한다. / 자료첨부
(운동은 관절연골, 근육, 뼈의 통합성을 유지한다.)
-> 스트레칭
(부상 방지, 신체 균형 유지, 관절가동범위를 넓힘, 근육과 건의 탄력성 증가)
-> 등척성 운동
(근육의 위축이나 근력저하를 방지한다.)
-> 걷기
(불편감이 있더라도 부동 시 관절강직, 근위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규칙적으 로 운동할 것을 교육한다.)
-> 보건소에 있는 운동 포스터를 대상자에게 전달하여 말로만 설명하기보다
포스터/제공 자료를 보이면서 시범을 보여 운동을 쉽게 따라할 수 있게 한다.
- 규칙적으로 운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실천방안을 대상자와 함께 의논해 본다.
-> 대상자와 운동 시간과 빈도수를 의논하여 정하고, 평가 날을 정하고 그 때까지
꾸준히 실천하도록 약속한다.
-> 규칙적인 운동실천여부를 행동체크리스트를 통해 모니터링 한다.
-> 대상자와 약속한 평가 날, 대상자에게 운동효과로 인해 변화된 긍정적 결과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ex) 행동체크리스트의 결과의 변화, 허리둘레의 변화, 체중, 근력, 운동 강도 등
- 필요하다면 지역사회 서비스와 연계한다.
->보건소의 ‘관절염 타이치 운동교실’ 등 대상자가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을 연계한다. (한층 더 전문적인 교육, 건강상태에 맞는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고 다른 노인
들과 함께 하면서 운동에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관절염 타이치 운동교실
대상 : 지역주민
기간 : 년 2기 운영(상,하반기 각 12회 운영)
내용 : 타이치 기본동작(12동작) 및 이론 교육(관절관리법 등)
->00의료원의 물리치료 이용이 가능한지 문의하여 가능하다면 물리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1
<참~쉬운 운동법>
참고2
▽ 운동 포스터 크기가 큰 편이라 보기 좋으며, 벽에 붙여놓고 수시로 볼 수 있음.
현재 00시보건소 3층에 비치되어 있어 대상자에게 제공이 가능하다.(그림과는 무관하다.)
<행동 체크리스트>참고3
성명 : 날짜 : 총점 :
번호
항목
점수
①
②
③
④
1
일주일에 스트레칭을 며칠이나 하셨습니까?
① 하지 않음
② 1일
③ 2일
④ 3일 이상
√
2
일주일에 걷기운동을 얼마나 하셨습니까?
① 하지 않음
② 30분 미만
③ 30분 이상~1시간 미만
④ 3일 이상
√
3
일주일에 힘주기 운동을 몇회 수행하셨습니까?
① 하지 않음
② 1회
③ 2회
④ 3회
√
<참쉬운 운동법>
- 5가지중 2가지를 대상자에게 수행해보도록 한다.
- 기억을 못하시는 경우에는 운동법을 보여드려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4
<앞으로 구부리기>
① 수행하지 못함
② 미흡함
③ 잘함
④ 아주 잘함
√
5
<옆으로 틀기>
① 수행하지 못함
② 미흡함
③ 잘함
④ 아주 잘함
√
총점 : 점
<참고문헌>
김화중 외(2013)/지역사회간호학/수문사
안양희 외(2014)/지역사회보건간호학/현문사
정연강 외(2010)/지역사회간호학[분야별]/현문사
이혜진 외(2006)/지역사회간호학/AN Center
보건복지부/ 2015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서 - 방문건강관리
조경숙 외(2014)/성인간호학/현문사
스트레칭 그림 : 한의사회 홈페이지
Sign&Symptom
(Subjective
/Objective Data)
S “요새 몸이 좋아져서 지팡이를 안 짚고 다니기는 하는데.... 아직도 다리에 힘이 없어... 오래 걸으면 다리도 아프고...”
“예전에 비해 몸에 힘이 많이 빠져서 집안일 하는 게 좀 힘들어 졌지...”
“몸에 힘이 없어서 넘어지는 게 무섭지, 최근에 넘어진 것도 있고...“
- 대상자의 진단명 : 허리디스크, 골다공증, 관절염
- 낙상의 위험요인 : 65세 이상/ 위의 진단/ 약물(항정간제,정신신경용제,항콜린제)/ 1년 이내의 낙상경험(+)
- 대상자의 학력 : 무학
- 가장신뢰하는 지식원 : TV
≫ 낙상의 위험도가 높지만 자가 인식의 정도는 낮다.
- 디스크, 골다공증, 관절염 등으로 서있기도 힘들다고 호소하지만, 외출 시 동행할 보호자가 없으며 보행보조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 평상시 힘이 없어 작년에 비해 외출횟수가 줄었으며 20분 이상 걸으려면 휴식을 취해야만 한다.
- 의료기관(00의료원)과의 거리가 멀어 버스를 타고 나서도 본인의 걸음 기준으로 20-30분씩 혼자 걸어간다.
- 지역사회 특성 : 주위에 8차선이 있는 등 교통이 활발한 특성이 있어 보행 중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있다.
≫ 운동이 부적절하다.
- 허리와 무릎통증, 근육쇠약으로 서있기가 힘들어 설거지도 의자에 앉아서 하고 있다.
- 발목에 힘이 안 들어가 운동을 하지 못하겠다고 한다.
- 볼 일이 있을 때만 나가서 걸으신다.(따로 운동을 하지 않음.)
- 최근 1주일 동안 스트레칭 한 날이 없다.
Nursing
Diagnosis
#3 부적절한 건강관리 행위
Nursing
Planning
Goal/
expected outcome
≫ 대상자는 외출 시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이해한다.
- 보행 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낙상의 위험을 줄인다.
≫ 대상자는 본인에게 알맞은 운동을 수행 할 수 있다.
- 건강상태에 적합한 운동을 교육 한다.
- 1주일에 3회 이상 20분/회 수행 한다.
Nursing
order
- 건강상태가 호전되었다고 느껴도 허약감으로 인한 낙상의 위험이 존재한다는 것을 교육한다.
- 낙상 위험요인을 대상자와 논의하여 파악한다.
-> 현재 외출 시 보조기를 사용하지 않고 혼자 다니는 것이 낙상의 위험이 증가함을 알린다.
-> 집안에 있는 신발을 관찰하고, 주로 신는 신발이 발에 잘 맞는지/ 헐겁지는 않은 지/꺾어 신는지 등을 질문한다.
-> 투약중인 약물도 낙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알린다.
- 평상시에도 예방차원으로 보행보조기를 사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 보조기 사용 시 정확한 이용법과 주의사항을 교육한다.
- 외출 시 지지체계를 활용하거나 사회복지센터에 의뢰해 자원봉사자와 연결하여
대상자와 동행할 수 있도록 한다.
- 대상자의 건강상태 적합하며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운동을 교육한다. / 자료첨부
(운동은 관절연골, 근육, 뼈의 통합성을 유지한다.)
-> 스트레칭
(부상 방지, 신체 균형 유지, 관절가동범위를 넓힘, 근육과 건의 탄력성 증가)
-> 등척성 운동
(근육의 위축이나 근력저하를 방지한다.)
-> 걷기
(불편감이 있더라도 부동 시 관절강직, 근위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규칙적으 로 운동할 것을 교육한다.)
-> 보건소에 있는 운동 포스터를 대상자에게 전달하여 말로만 설명하기보다
포스터/제공 자료를 보이면서 시범을 보여 운동을 쉽게 따라할 수 있게 한다.
- 규칙적으로 운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실천방안을 대상자와 함께 의논해 본다.
-> 대상자와 운동 시간과 빈도수를 의논하여 정하고, 평가 날을 정하고 그 때까지
꾸준히 실천하도록 약속한다.
-> 규칙적인 운동실천여부를 행동체크리스트를 통해 모니터링 한다.
-> 대상자와 약속한 평가 날, 대상자에게 운동효과로 인해 변화된 긍정적 결과의
피드백을 제공한다.
ex) 행동체크리스트의 결과의 변화, 허리둘레의 변화, 체중, 근력, 운동 강도 등
- 필요하다면 지역사회 서비스와 연계한다.
->보건소의 ‘관절염 타이치 운동교실’ 등 대상자가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을 연계한다. (한층 더 전문적인 교육, 건강상태에 맞는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고 다른 노인
들과 함께 하면서 운동에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관절염 타이치 운동교실
대상 : 지역주민
기간 : 년 2기 운영(상,하반기 각 12회 운영)
내용 : 타이치 기본동작(12동작) 및 이론 교육(관절관리법 등)
->00의료원의 물리치료 이용이 가능한지 문의하여 가능하다면 물리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1
<참~쉬운 운동법>
참고2
▽ 운동 포스터 크기가 큰 편이라 보기 좋으며, 벽에 붙여놓고 수시로 볼 수 있음.
현재 00시보건소 3층에 비치되어 있어 대상자에게 제공이 가능하다.(그림과는 무관하다.)
<행동 체크리스트>참고3
성명 : 날짜 : 총점 :
번호
항목
점수
①
②
③
④
1
일주일에 스트레칭을 며칠이나 하셨습니까?
① 하지 않음
② 1일
③ 2일
④ 3일 이상
√
2
일주일에 걷기운동을 얼마나 하셨습니까?
① 하지 않음
② 30분 미만
③ 30분 이상~1시간 미만
④ 3일 이상
√
3
일주일에 힘주기 운동을 몇회 수행하셨습니까?
① 하지 않음
② 1회
③ 2회
④ 3회
√
<참쉬운 운동법>
- 5가지중 2가지를 대상자에게 수행해보도록 한다.
- 기억을 못하시는 경우에는 운동법을 보여드려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4
<앞으로 구부리기>
① 수행하지 못함
② 미흡함
③ 잘함
④ 아주 잘함
√
5
<옆으로 틀기>
① 수행하지 못함
② 미흡함
③ 잘함
④ 아주 잘함
√
총점 : 점
<참고문헌>
김화중 외(2013)/지역사회간호학/수문사
안양희 외(2014)/지역사회보건간호학/현문사
정연강 외(2010)/지역사회간호학[분야별]/현문사
이혜진 외(2006)/지역사회간호학/AN Center
보건복지부/ 2015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서 - 방문건강관리
조경숙 외(2014)/성인간호학/현문사
스트레칭 그림 : 한의사회 홈페이지
추천자료
지역사회 간호 실습- 보건진료소 실습 레포트
간호,case study,지역,중학교
지역사회 간호학 가족간호과정 2개, case study
본인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가족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작성하기,방통대가족건강간호학레포트,프...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가족간호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강릉시) [간호진단 3개 & 간호과정 1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동해시) [간호진단3개 & 간호과정 1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화성시) [간호진단 3개 & 간호과정 1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방문간호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