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산과적 진정 진통제
1) 진통제와 마취제
2) 진정제
3) 정신안정제
4) 마취 길항제
5) 적응증과 금기증
6) 장점과 단점
7) 간호관리
III. 산과적 마취
1) 부위마취
① 음부신경차단
② 경부주위 마취
③ 경막 외 마취
④ 척추마취
2) 전신마취
① 적응증과 금기증
② 장점과 단점
IV. 참고문헌
II. 산과적 진정 진통제
1) 진통제와 마취제
2) 진정제
3) 정신안정제
4) 마취 길항제
5) 적응증과 금기증
6) 장점과 단점
7) 간호관리
III. 산과적 마취
1) 부위마취
① 음부신경차단
② 경부주위 마취
③ 경막 외 마취
④ 척추마취
2) 전신마취
① 적응증과 금기증
② 장점과 단점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nothiazine 계의 약물은 모체에서 뇌막염과 흡사한 증산인 안구경련, 목의 경직과 경련, 목과 등의 굽혀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4) 마취 길항제
마취 길항제는 Morphine 이나 Naltrexone으로 인한 신생아의 호흡 억압 증상을 차단시킨다. 만약 분만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될 때는 이러한 길항제를 투여하고, 시간이 촉박할 경우 신생아의 제대정맥을 통하여 Naloxone 0.1mg/kg를 주입할 수 있다.
이름
naloxone hydrochloride
적용
마약제로 인해 산부와 태아의 호흡 억제 시, 경막외 마약제 투여로 인한
소양증
용량과 투여경로
- 성인 : 정맥주사 시 0.4-2mg. 만약 호흡기능이 바람직하게 상쇄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2-3분 간격으로 반복 정맥 주사 할 수 있
다. 이 약 10mg 투여 후에도 반응이 없으면 마약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유도독성의 진단을 의심해야 한다. 정맥주사가 곤란할 경
우에는 근육 또는 피하주사를 할 수 있다.
- 신생아 : 보통 초회량 체중 kg당 0.01mg을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 한다. 이 용량을 수술 후 마약성 억제에 대한 성인의 용법에
따라 반복 투여할 수 있다.
금기 및 부작용
이 약에 과민증 또는 그 기왕력자에게서 금기이다.
고혈압, 심질환 환자는 이 약으로 마약 등에 의한 억제가 급격히 길항되
어 혈압상승, 빈맥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외에도 과호흡, 오심, 구토, 발한과 떨림이 있다.
간호중재
산모는 약물이 신체 밖으로 배출될 때까지 모유수유를 늦춰야 하며 산모
가 마약의존성 환자인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갑작스러운 금단 증세가 올
수 있으므로 투여를 해서는 안 된다. 만약 산모에게 마약 진통제에 의한
호흡억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했다면, 갑자기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5) 적응증과 금기증
진통제 및 안정제 사용에 대한 결정은 분만중인 산부와 간호사 및 분만 참여자 모두 함께 결정한다. 산부가 진통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숙지한다.
-산부의 계획과 희망 -산부의 태아상태
-분만기대시간 -모체의 출혈
-마취의 부작용 -모체의 저혈압
-진통제에 대한 부작용 또는 특이체질 과거력 -태아의 질식
-약물 알레르기 -영아의 임박한 출생
만약 산부가 심한 통증 중에도 진통제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다면 통증이 산부와 태아에게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지 태아와 산부의 신체적 반응을 세밀하게 관찰 한다.
6) 장점과 단점
진통제를 정맥으로 주입하면 빠른 통증 감소를 가져온다. 피로가 문제라면 진통제는 수축 사이에 휴식을 제공하며, 진통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호흡법이나 이완법을 사용할 수 없는 산부에게 자신감과 능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잠재기에 투여된 진정제나 마취제는 수면을 유도하고 비정상적인 분만 양상을 멈추게 한다.
진통제의 단점은 산부와 신생아의 호흡저하, 모체 저혈압,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등으로, 모아의 안녕을 위협할 수 있다. 오심이나 구토 같은 일반적인 부작용과 잠재기에 자궁운동도 일시적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분만중의 기억을 단절시켜 산부와 신생아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효율적인 모유수유가 불가능 할 수 있다. 신생아에게도 일시적인 행동변화가 초래된다.
7) 간호관리
① 약물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특이체젤, 알레르기 반응, 부작용, 모체나 태아의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규칙적인 간격으로 산부를 사정한다.
② 호흡저하의 부작용에 대응하기 위해 마취 길항제를 가까이 둔다.
③ 진통제 투여 후에 태아 심박동수를 사정한다.
④ 손상방지를 위한 안전한 방법을 제공한다.
⑤ 분만 중 약물 선택시 산부에게 가능한 부작용, 분만과정, 태아상태를 고려한다.
III. 산과적 마취
1) 부위마취
① 음부신경차단
음부마취는 자궁수축으로 인한 통증완화와는 관계 없으며 음핵, 대음순, 소음순, 회음부위의 통증완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회음부 마취는 선진부가 경관과 질을 통과하기 10~20분 전에 시행되어 음부확장으로 인한 질과 회음부 통증을 제거한다.
음부신경은 천추 2~4번 신경을 통해 좌골극 끝 중간 부위인 천좌골 신경 절흔까지 뻗어있으므로이 부위에 주사하여 음부신경을 차단하는데, 간단하고 안전하며 모체나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지않는다. 그러나 겸자 분만에는 불충분하고 분만 후 자궁경관이나 질 상부를 관찰, 내진으로 검사할 경우 충분한 마취법은 아니다.
② 경부주위 마취
자궁목의 개대가 초산부인 경우 5~6cm, 경산부인 경우 4~5cm 개대되었을
4) 마취 길항제
마취 길항제는 Morphine 이나 Naltrexone으로 인한 신생아의 호흡 억압 증상을 차단시킨다. 만약 분만이 예상보다 빨리 진행될 때는 이러한 길항제를 투여하고, 시간이 촉박할 경우 신생아의 제대정맥을 통하여 Naloxone 0.1mg/kg를 주입할 수 있다.
이름
naloxone hydrochloride
적용
마약제로 인해 산부와 태아의 호흡 억제 시, 경막외 마약제 투여로 인한
소양증
용량과 투여경로
- 성인 : 정맥주사 시 0.4-2mg. 만약 호흡기능이 바람직하게 상쇄
또는 개선되지 않으면 2-3분 간격으로 반복 정맥 주사 할 수 있
다. 이 약 10mg 투여 후에도 반응이 없으면 마약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유도독성의 진단을 의심해야 한다. 정맥주사가 곤란할 경
우에는 근육 또는 피하주사를 할 수 있다.
- 신생아 : 보통 초회량 체중 kg당 0.01mg을 정맥, 근육 또는 피하
주사 한다. 이 용량을 수술 후 마약성 억제에 대한 성인의 용법에
따라 반복 투여할 수 있다.
금기 및 부작용
이 약에 과민증 또는 그 기왕력자에게서 금기이다.
고혈압, 심질환 환자는 이 약으로 마약 등에 의한 억제가 급격히 길항되
어 혈압상승, 빈맥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외에도 과호흡, 오심, 구토, 발한과 떨림이 있다.
간호중재
산모는 약물이 신체 밖으로 배출될 때까지 모유수유를 늦춰야 하며 산모
가 마약의존성 환자인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갑작스러운 금단 증세가 올
수 있으므로 투여를 해서는 안 된다. 만약 산모에게 마약 진통제에 의한
호흡억제를 전환시키기 위해 사용했다면, 갑자기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5) 적응증과 금기증
진통제 및 안정제 사용에 대한 결정은 분만중인 산부와 간호사 및 분만 참여자 모두 함께 결정한다. 산부가 진통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숙지한다.
-산부의 계획과 희망 -산부의 태아상태
-분만기대시간 -모체의 출혈
-마취의 부작용 -모체의 저혈압
-진통제에 대한 부작용 또는 특이체질 과거력 -태아의 질식
-약물 알레르기 -영아의 임박한 출생
만약 산부가 심한 통증 중에도 진통제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다면 통증이 산부와 태아에게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지 태아와 산부의 신체적 반응을 세밀하게 관찰 한다.
6) 장점과 단점
진통제를 정맥으로 주입하면 빠른 통증 감소를 가져온다. 피로가 문제라면 진통제는 수축 사이에 휴식을 제공하며, 진통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호흡법이나 이완법을 사용할 수 없는 산부에게 자신감과 능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잠재기에 투여된 진정제나 마취제는 수면을 유도하고 비정상적인 분만 양상을 멈추게 한다.
진통제의 단점은 산부와 신생아의 호흡저하, 모체 저혈압,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등으로, 모아의 안녕을 위협할 수 있다. 오심이나 구토 같은 일반적인 부작용과 잠재기에 자궁운동도 일시적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분만중의 기억을 단절시켜 산부와 신생아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효율적인 모유수유가 불가능 할 수 있다. 신생아에게도 일시적인 행동변화가 초래된다.
7) 간호관리
① 약물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특이체젤, 알레르기 반응, 부작용, 모체나 태아의 부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규칙적인 간격으로 산부를 사정한다.
② 호흡저하의 부작용에 대응하기 위해 마취 길항제를 가까이 둔다.
③ 진통제 투여 후에 태아 심박동수를 사정한다.
④ 손상방지를 위한 안전한 방법을 제공한다.
⑤ 분만 중 약물 선택시 산부에게 가능한 부작용, 분만과정, 태아상태를 고려한다.
III. 산과적 마취
1) 부위마취
① 음부신경차단
음부마취는 자궁수축으로 인한 통증완화와는 관계 없으며 음핵, 대음순, 소음순, 회음부위의 통증완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회음부 마취는 선진부가 경관과 질을 통과하기 10~20분 전에 시행되어 음부확장으로 인한 질과 회음부 통증을 제거한다.
음부신경은 천추 2~4번 신경을 통해 좌골극 끝 중간 부위인 천좌골 신경 절흔까지 뻗어있으므로이 부위에 주사하여 음부신경을 차단하는데, 간단하고 안전하며 모체나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지않는다. 그러나 겸자 분만에는 불충분하고 분만 후 자궁경관이나 질 상부를 관찰, 내진으로 검사할 경우 충분한 마취법은 아니다.
② 경부주위 마취
자궁목의 개대가 초산부인 경우 5~6cm, 경산부인 경우 4~5cm 개대되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