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Ⅰ. 항공기의 구조(Aircraft Framework)
Ⅱ. 비행원리(Flight Principle)
Ⅲ. 조종실 계기판(Cockpit Instrument)
Ⅳ. 항공기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Ⅴ. 항공기 항법시스템(Navigation System)
Ⅵ. 항공기 전기시스템(Electrical System)
Ⅶ. 착빙방지장치(Ice Protection System)
Ⅱ. 비행원리(Flight Principle)
Ⅲ. 조종실 계기판(Cockpit Instrument)
Ⅳ. 항공기 통신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Ⅴ. 항공기 항법시스템(Navigation System)
Ⅵ. 항공기 전기시스템(Electrical System)
Ⅶ. 착빙방지장치(Ice Protection System)
본문내용
> Center Tank 순으로 탑재.
Tail Tank는 STAB (Stabilize Tank) 라고도 하는데, 기체 앞쪽이 무거운경우, Tail Tank에 연료를 저장해 중심을 맞춘다음, Center Tank의 연료를 다 소모하여 앞이 가벼워질 경우, 연료관을 통해 Center Tank로 연료를 보낸다.
Tip. Surge Tank는 항공기의 회전, 연료 팽창이나 과급유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연료를 쓰는 순서는 Center Tank에 있는 연료를 우선으로 쓰고 그 다음에 Wing Mank Tank에 있는 연료를 나중에 쓴다. 그 이유는. 날개에 있는 연료를 먼저 써서, 모두 소모 할 경우에는 날개가 너무 가벼워져 갑작스런 기류 변화나 이착륙시, 날개가 움직임으로서 금속 피로가 쉽게 쌓이기 때문이다. 특히 착륙시에는, 날개와 지면 사이 공기가 압축되어 발생하는 지면쿠션효과 때문에 쉽게 금속 피로가 쌓일 수 있다.
Tip 2. 항공기마다 연료탱크의 구조가 다릅니다. 737, 777, 757, 320같은 항공기들의 경우,
747기처럼 Tail Tank가 없다. 그러나 A330기의 경우 Tail Tank대신에 Trim Tank라는 부분이 있다.
A330기의 Fuel Tank구조 / A320기의 Fuel Tank구조.
747기에는 Tail Tank가 있다면 A330기에는 Trim Tank가 있다. 연료탱크 명칭도 747기와 다른 부분이 많다. 그렇지만 전반적인 구조는 비슷하다.
연료탱크는 항공기 내에서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은 배치로 있는데, 이 배치는 항공기의 무게중심과 직접적 연관이 있다.
항공기의 무게중심은 비행 안정과 이착륙시 등등에 아주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항공기의 무게중심은 되도록이면 가운데로 맞춰야 한다. 따라서, 양쪽 날개에 연료를 균등한 양으로 싣고, Center Tank 를 가장 무겁게, 그리고 앞뒤 무게중심은 Trim Tank 에서 맞춘다.
2. 꼬리날개 부분(Tail Wing)
Elevator (승강타)
대부분 항공기의 동체 뒤쪽에는 Horizontal Stabilizer와 Elevator가 있는데, Horizontal Stabilizer 는 고정된 부분으로 항공기의 안정성을 주며, 항공기가 똑바로 비행할 수 있게 해준다.
Elevator 는 hinge로 Horizontal Stabilizer에 붙어있는 부분으로, Elevator 가 움직이면, 꼬리날개 표면 변화로 힘의 크기를 변동시켜 항공기의 Pitching (up-down) Motion(키놀이 운동) 을 통제한다. 예를 들어 비행기 이륙시 기수를 올려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Elevator는 함께 작동한다. 오른쪽 Elevator가 올라가면, 왼쪽도 마찬가지이다. 그림은 Elevator 의 움직임으로 항공기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축으로 윗쪽으로 편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습이다.
Rudder (방향타)
대부분 항공기의 동체 뒤쪽에는 Vertical Stabilizer 와 Rudder 가 있는데, Vertical Stabilizer 는 고정된 부분으로 항공기의 안정성을 주며, 항공기가 똑바로 비행할 수 있게 해준다.
Rudder는 hinge 로 Vertical Stabilizer 에 붙어있는 부분으로, 비행기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기수의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Rudder 가 움직이면, 꼬리날개 표면 변화로 힘의 크기를 변동시켜 항공기의 Yawing (Left-Right) Motion (빗놀이 운동)을 통제한다. 또한, 이착륙 시 방향을 잡아 주고 한쪽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서 생기는 불균형 상태를 바로 잡는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그림은 Rudder 의 움직임으로 항공기 무게중심 (Center of Gravity)을 축으로 왼쪽으로 편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습이다.
3. 추력발생 부분
엔진(Engine)
비행기가 앞으로 나가는 힘(추력)을 얻는 곳이고 주로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하며 단위는 파운드(LBS)를 사용한다.
@ 항공기 엔진의 종류
a) 왕복 엔진(Reciprocating Engine) :왕복엔진은 최초의 동력비행을 가능하게 해준 동력장치이다.
왕복기관은 실린더, 피스톤, 점화플러그, 크랭크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왕복기관은 실린더내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동력으로 활용하는것인데. 연결대와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크랭크도 구성되어있다.그래서 항공기는 이 크랭크축에 추진용 프로펠러를 장착하여 프로펠러를 통해 추진력을 얻게된다. 항공기용 왕복엔진은 무게가 가볍고,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가솔린 기관중에서 4행정 공냉식 엔진이 사용된다.
b) 터보 제트 엔진(Turbojet Engine)
터보 제트 엔진은 가장 먼저나온 가스터빈 엔진이다.
- 터보 제트 엔진 -
터보 제트 엔진은 연료가 폭발하여 생긴 연소가스를 그대로 뒤로 내뿜어버리는 방식이다.
몇 십년 전까진 제트전투기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 개발되는 제트기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장점은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지만 단점은 안 좋아서 연료를 많이 잡아 먹고 매연을 내뿜는다. 그리고 전투기 뒤에 불이 붙은게 보이는 것은 고온의 연소 가스에 다시 연료를 뿌려줘서 또 폭발이 일어나게 한다. 이걸 After Buner이라고 하는데, After Buner는 일반적으로 연료 소모가 심하다.
Tip. 전투기가 이륙, 공중전에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 잠깐씩만 사용한다.
c) 터보 팬 엔진(Turbofan Engine) : 현재 대부분의 제트 엔진에 사용되는 방식.
사진은 777기에 사용되는 GE90-115B엔진인데. 제트엔진 앞에 커다란 팬이 달려있는 것이다.
이 팬은 우리가 흔히 여객기 엔진 앞부분의 둥근 빗살 모양처럼 생긴 그것이다.
- Boeing 747-200 JT9D Engine -
엔진 앞부분에 빗살모양이 보이는데 .저것이 팬이다.
이 터보 팬 엔진은 터보 제트 엔진과 달리, 연소가스를 그대로 뿜어내지 않고, 뒷 부분에 터빈을 달아서 연소가스의 힘을 이용해 터빈을 돌린다. 그리고 터빈에 구동축으로 연결 된 앞 부분의 팬을 돌리는 방식이다. 이 팬이 있으면 아음속에서 연료효율이 좋아지기
Tail Tank는 STAB (Stabilize Tank) 라고도 하는데, 기체 앞쪽이 무거운경우, Tail Tank에 연료를 저장해 중심을 맞춘다음, Center Tank의 연료를 다 소모하여 앞이 가벼워질 경우, 연료관을 통해 Center Tank로 연료를 보낸다.
Tip. Surge Tank는 항공기의 회전, 연료 팽창이나 과급유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연료를 쓰는 순서는 Center Tank에 있는 연료를 우선으로 쓰고 그 다음에 Wing Mank Tank에 있는 연료를 나중에 쓴다. 그 이유는. 날개에 있는 연료를 먼저 써서, 모두 소모 할 경우에는 날개가 너무 가벼워져 갑작스런 기류 변화나 이착륙시, 날개가 움직임으로서 금속 피로가 쉽게 쌓이기 때문이다. 특히 착륙시에는, 날개와 지면 사이 공기가 압축되어 발생하는 지면쿠션효과 때문에 쉽게 금속 피로가 쌓일 수 있다.
Tip 2. 항공기마다 연료탱크의 구조가 다릅니다. 737, 777, 757, 320같은 항공기들의 경우,
747기처럼 Tail Tank가 없다. 그러나 A330기의 경우 Tail Tank대신에 Trim Tank라는 부분이 있다.
A330기의 Fuel Tank구조 / A320기의 Fuel Tank구조.
747기에는 Tail Tank가 있다면 A330기에는 Trim Tank가 있다. 연료탱크 명칭도 747기와 다른 부분이 많다. 그렇지만 전반적인 구조는 비슷하다.
연료탱크는 항공기 내에서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은 배치로 있는데, 이 배치는 항공기의 무게중심과 직접적 연관이 있다.
항공기의 무게중심은 비행 안정과 이착륙시 등등에 아주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항공기의 무게중심은 되도록이면 가운데로 맞춰야 한다. 따라서, 양쪽 날개에 연료를 균등한 양으로 싣고, Center Tank 를 가장 무겁게, 그리고 앞뒤 무게중심은 Trim Tank 에서 맞춘다.
2. 꼬리날개 부분(Tail Wing)
Elevator (승강타)
대부분 항공기의 동체 뒤쪽에는 Horizontal Stabilizer와 Elevator가 있는데, Horizontal Stabilizer 는 고정된 부분으로 항공기의 안정성을 주며, 항공기가 똑바로 비행할 수 있게 해준다.
Elevator 는 hinge로 Horizontal Stabilizer에 붙어있는 부분으로, Elevator 가 움직이면, 꼬리날개 표면 변화로 힘의 크기를 변동시켜 항공기의 Pitching (up-down) Motion(키놀이 운동) 을 통제한다. 예를 들어 비행기 이륙시 기수를 올려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Elevator는 함께 작동한다. 오른쪽 Elevator가 올라가면, 왼쪽도 마찬가지이다. 그림은 Elevator 의 움직임으로 항공기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축으로 윗쪽으로 편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습이다.
Rudder (방향타)
대부분 항공기의 동체 뒤쪽에는 Vertical Stabilizer 와 Rudder 가 있는데, Vertical Stabilizer 는 고정된 부분으로 항공기의 안정성을 주며, 항공기가 똑바로 비행할 수 있게 해준다.
Rudder는 hinge 로 Vertical Stabilizer 에 붙어있는 부분으로, 비행기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기수의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Rudder 가 움직이면, 꼬리날개 표면 변화로 힘의 크기를 변동시켜 항공기의 Yawing (Left-Right) Motion (빗놀이 운동)을 통제한다. 또한, 이착륙 시 방향을 잡아 주고 한쪽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서 생기는 불균형 상태를 바로 잡는 목적으로도 사용한다.
그림은 Rudder 의 움직임으로 항공기 무게중심 (Center of Gravity)을 축으로 왼쪽으로 편향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습이다.
3. 추력발생 부분
엔진(Engine)
비행기가 앞으로 나가는 힘(추력)을 얻는 곳이고 주로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하며 단위는 파운드(LBS)를 사용한다.
@ 항공기 엔진의 종류
a) 왕복 엔진(Reciprocating Engine) :왕복엔진은 최초의 동력비행을 가능하게 해준 동력장치이다.
왕복기관은 실린더, 피스톤, 점화플러그, 크랭크 등의 요소로 구성된다. 왕복기관은 실린더내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동력으로 활용하는것인데. 연결대와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크랭크도 구성되어있다.그래서 항공기는 이 크랭크축에 추진용 프로펠러를 장착하여 프로펠러를 통해 추진력을 얻게된다. 항공기용 왕복엔진은 무게가 가볍고,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가솔린 기관중에서 4행정 공냉식 엔진이 사용된다.
b) 터보 제트 엔진(Turbojet Engine)
터보 제트 엔진은 가장 먼저나온 가스터빈 엔진이다.
- 터보 제트 엔진 -
터보 제트 엔진은 연료가 폭발하여 생긴 연소가스를 그대로 뒤로 내뿜어버리는 방식이다.
몇 십년 전까진 제트전투기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현재 개발되는 제트기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장점은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지만 단점은 안 좋아서 연료를 많이 잡아 먹고 매연을 내뿜는다. 그리고 전투기 뒤에 불이 붙은게 보이는 것은 고온의 연소 가스에 다시 연료를 뿌려줘서 또 폭발이 일어나게 한다. 이걸 After Buner이라고 하는데, After Buner는 일반적으로 연료 소모가 심하다.
Tip. 전투기가 이륙, 공중전에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 잠깐씩만 사용한다.
c) 터보 팬 엔진(Turbofan Engine) : 현재 대부분의 제트 엔진에 사용되는 방식.
사진은 777기에 사용되는 GE90-115B엔진인데. 제트엔진 앞에 커다란 팬이 달려있는 것이다.
이 팬은 우리가 흔히 여객기 엔진 앞부분의 둥근 빗살 모양처럼 생긴 그것이다.
- Boeing 747-200 JT9D Engine -
엔진 앞부분에 빗살모양이 보이는데 .저것이 팬이다.
이 터보 팬 엔진은 터보 제트 엔진과 달리, 연소가스를 그대로 뿜어내지 않고, 뒷 부분에 터빈을 달아서 연소가스의 힘을 이용해 터빈을 돌린다. 그리고 터빈에 구동축으로 연결 된 앞 부분의 팬을 돌리는 방식이다. 이 팬이 있으면 아음속에서 연료효율이 좋아지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