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서론
Ⅱ. 본론
1. 1920년대 항일무장투쟁
2.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3. 1940년대 항일무장투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1920년대 항일무장투쟁
2.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3. 1940년대 항일무장투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었고, 수천 명에 달하는 독립군들이 모여 전투를 벌일 수 있었다.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하여 대한민국이 아직 건재하다는 것을 일본에게 각인시켜주었으며, 전 세계 여러 국가들에게 대한민국이 일본에 곱게 복속된 것이 아니란 것 알려주었다.
1930년대에는 자유시참변으로 독립군의 세력자체가 약해진 상태였는데다가 1931년 만주사변 이후 만주를 제집처럼 사용하기도 어려웠다. 이렇게 좋지 않은 환경에서 독립운동을 벌였다는 점 하나만으로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1940년대 무장투쟁은 사실상 거의 소멸된 상태였다. 하지만 잔존세력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일본에 강제로 끌려와 군인이 된 우리 민족들을 구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차후 장제스가 한국의 독립을 강하게 주장한 것이 김구의 항일투쟁으로 비롯되었다는 설도 존재하기에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논문
김주용, 2017,「1940년대 항일무장단체의 실상 한국광복군, 조선의용군, 동북항일연군의 활동을 중심으로-」.
2.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한국독립운동연구소(https://kimos.jams.or.kr/co/main/jmMain.kci).
1930년대에는 자유시참변으로 독립군의 세력자체가 약해진 상태였는데다가 1931년 만주사변 이후 만주를 제집처럼 사용하기도 어려웠다. 이렇게 좋지 않은 환경에서 독립운동을 벌였다는 점 하나만으로 대단하다고 볼 수 있다.
1940년대 무장투쟁은 사실상 거의 소멸된 상태였다. 하지만 잔존세력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일본에 강제로 끌려와 군인이 된 우리 민족들을 구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차후 장제스가 한국의 독립을 강하게 주장한 것이 김구의 항일투쟁으로 비롯되었다는 설도 존재하기에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논문
김주용, 2017,「1940년대 항일무장단체의 실상 한국광복군, 조선의용군, 동북항일연군의 활동을 중심으로-」.
2.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한국독립운동연구소(https://kimos.jams.or.kr/co/main/jmMain.kc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