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제의 국권침탈과 국권 수호운동
2. 근대 문물의 수용과 사회 문화의 변화
3. 무단 통치와 3.1운동
4. 민족 분열 통치와 다양한 민족 운동
5. 민족 말살 통치와 1930~1940년대 민족 운동
6. 동아시아의 영토 문제와 역사 갈등
2. 근대 문물의 수용과 사회 문화의 변화
3. 무단 통치와 3.1운동
4. 민족 분열 통치와 다양한 민족 운동
5. 민족 말살 통치와 1930~1940년대 민족 운동
6. 동아시아의 영토 문제와 역사 갈등
본문내용
동
1920년대 후반 언론 기관과 학생들은 문맹퇴치와 농촌 계몽을 위해 노력함.
조선일보 -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라는 구호 아래 운동 전개.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 전개하여 한글을 가리치고, 미신타파, 구습제거 전개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된 이후에도, 야학당을 열고 강습소를 세워 한글 보급하고
역사를 가르침.
농민. 노동 운동의 변화
비밀 조직을 만들어 직접 대항
한인 애국단의 활동
1920년대 임시정부는 침체에 빠짐. 김구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인 애국단 결성, 의여 투쟁 전개.
이봉창 도쿄에서 일본 국왕의 처단을 시도해 일제에 큰 충격을 줌.
윤봉길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상하이 점령
중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저극 지원.
무장 독립 투쟁의 전개
만주에서 1930년 초 한국 독립군과 조선 혁명군이 결성.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자, 우리나라 중국과 연합.
→ 많은 전투 승리.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고, 일부 인사들은 중국 공산당군과 연합.
조선 의용대 김원봉을 중심으로 조직
이후 조선 의용대는 화베이 지방에서 조선 의용군을 결성.
김원봉을 비롯한 일부 병력은 한국광복군에 합류.
조선 의용대 → 조선 의용군 → 한국 광복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40년 조직과 체제를 재정비함.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을 창설. 건국 강령 반포(독립 운동 세력을 하나로 모음)
이후 조선 의용대를 흡수하면서 광복군의 군사력 크게 증가.
※건국 강령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보장하는 삼균 주의를 기초로 하였으므로, 보통 선거에 인한 민주 공화정 수립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자,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을 연합군으로 전쟁에 참여시켰다. 임시정부는 자주적인 독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힘으로
항복을 받아 내야한다고 판단함. 그리하여 이를 위해 미국전략 정보국과 함께 특수 요원을 훈련시키며 작전 준비. 그러나 일본이 갑작스럽게 항복하여 뜻을 이루지 못함. 독립운동 세력들은 광복을 준비.
일제의 역사 왜곡과 한국사 연구
일제는 우리나라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우리역사를 왜곡하는 식민 사관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식을 말살하고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을 약화 시키려고 했다. 이에 많은 역사학자가 우리 역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신채호 고대사 연구를 통해 우리역사가 주체적으로 발전해온 과정 서술.
박은식 일제의 침략과정과 독립운동의 역사 정리.
백남운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함을 강조.
이병도, 손진태 진단 학회를 조직하여 한국사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데 힘씀.
한글 연구와 보급 운동
일제가 우리말과 글을 없애려 하자 국어 학자들은 이에 대응하며 조선어 연구회 조직(1921).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을 발간하는 등 한글 연구와 보급에 노력함.
조선 연구회는 이후 조선어 학회로 개편.
조선어 학회는 강습회를 통해 한글 보급에 앞장섰으며,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마련하고, 표준어를 제정함. 또한 ‘우리말 큰 사전’ 편찬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일제가 이를 강제로 해산 시키면서 중단 되었다(조선어 학회 사건 1942)
문화와 예술에 나타난 변화
1930년대 한글사용이 금지되고 문학 작품의 기회마저 주어지지 않았지만, 이육사, 한용운, 윤동주 등은 항일 작품을 발표하여 민족의식을 일깨움.
음악은 민족의 슬픔과, 일제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 곡들이 유행했다.
1930년대 중반에 안익태가 ‘애국가’를 만들었다.
미술에서는 서양화 기법이 도입되는 가운데, 한국 전통 흐름을 지키는데 힘씀.
영화에서는 나운규가 우리민족의 애환을 담은 영화 ‘아리랑’을 발표하여 우리민조의 저항의식 표현.
연극에서는 토월회가 조직되어 근대극 공연.
종교계의 민족 운동
천도교 농촌 계몽 운동에 힘썼다.
원불교 새 생활 운동 전개(남녀평등, 허례허식 폐지), 저축 운동을 통해 자립정신을 키움.
대종교 만주지역에서 교세 확장, 동포들의 민족의식을 취하고, 무장 독립
투쟁 전개.
천주교 고아원. 양로원 설립등 사회사업과 민중계몽운동에 앞선다.
개신교 주로 교육과 의료사업에 힘썼는데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일제의 탄압을
받음.
불교 한용운을 중심으로 전통을 이어가며 일제의 불교 통제에 맞섰다.
4. 동아시아의 영토 문제와 역사 갈등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1905년 러일 전쟁 중에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라는 이름으로 편입.
그러나 세계 제2차대전이 끝난후 독도는 연합국에 의해 우리나라로 다시 반합.
일본은 여전히 독도가 자신의 땅이라 우기지만, 명백히 우리나라 땅임.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일본의 교과서에는 왜곡된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 공정
최근 중국은 국가 통합을 유지하고, 중국인으로서 애국심을 갖도록 여러 연구 사업 진행 중. 특히 동북공정은 중국 동북 지방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관련된 문제들을 연구하는 사업으로, 고조선, 고구려, 발해를 중국 지방 정권의 하나로 인식하여 우리 역사일부를 중국사로 편입하려함. 이와 같이 동북공정은 중국의 정치적 필요에 따라 역사적 자료를 해석 하여 우리나라의 고대사 전체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
역사 갈등 해결을 위한 우리의 자세
한국. 일본. 중국은 객관적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영토 문제와 여가 갈등을 해결하고, 안정과 평화 공존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1900년대
러.일 전쟁
을사조약과 민족 저항
독도침탈과 간도협약
※대한제국 강제병합은 1910년
항일 의병운동
애국 계몽 운동
신민회
국채 보상 운동
1910년대
무단통치의 실시
토지 조사 사업
회사령
국내외 민족 운동
3.1 운동
임시 정부 수립
삼권 분립명시
1920년대
문화 통치 실시
산미 증식 계획
실력 양성 운동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회사령 신고제
다양한 사회 운동
6.10 만세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신간회 설립
봉오동전투
청산리 대첩
간도 참변
자유시 참변
3부 통합
1930~40년대
민족 말살 정책
병참 기지화
국가 총동원 법6
문맹퇴치운동
농민.노동 운동변화
한인 애국단
한국광복군(건국 강령)
조선 연구회 조선어학회
1920년대 후반 언론 기관과 학생들은 문맹퇴치와 농촌 계몽을 위해 노력함.
조선일보 - ‘아는 것이 힘, 배워야 산다’라는 구호 아래 운동 전개.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 전개하여 한글을 가리치고, 미신타파, 구습제거 전개
일제의 탄압으로 중단된 이후에도, 야학당을 열고 강습소를 세워 한글 보급하고
역사를 가르침.
농민. 노동 운동의 변화
비밀 조직을 만들어 직접 대항
한인 애국단의 활동
1920년대 임시정부는 침체에 빠짐. 김구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인 애국단 결성, 의여 투쟁 전개.
이봉창 도쿄에서 일본 국왕의 처단을 시도해 일제에 큰 충격을 줌.
윤봉길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상하이 점령
중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저극 지원.
무장 독립 투쟁의 전개
만주에서 1930년 초 한국 독립군과 조선 혁명군이 결성.
일제가 만주사변을 일으키자, 우리나라 중국과 연합.
→ 많은 전투 승리.
사회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고, 일부 인사들은 중국 공산당군과 연합.
조선 의용대 김원봉을 중심으로 조직
이후 조선 의용대는 화베이 지방에서 조선 의용군을 결성.
김원봉을 비롯한 일부 병력은 한국광복군에 합류.
조선 의용대 → 조선 의용군 → 한국 광복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1940년 조직과 체제를 재정비함.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을 창설. 건국 강령 반포(독립 운동 세력을 하나로 모음)
이후 조선 의용대를 흡수하면서 광복군의 군사력 크게 증가.
※건국 강령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보장하는 삼균 주의를 기초로 하였으므로, 보통 선거에 인한 민주 공화정 수립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자, 임시정부는 한국광복군을 연합군으로 전쟁에 참여시켰다. 임시정부는 자주적인 독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힘으로
항복을 받아 내야한다고 판단함. 그리하여 이를 위해 미국전략 정보국과 함께 특수 요원을 훈련시키며 작전 준비. 그러나 일본이 갑작스럽게 항복하여 뜻을 이루지 못함. 독립운동 세력들은 광복을 준비.
일제의 역사 왜곡과 한국사 연구
일제는 우리나라를 지배하는 과정에서 우리역사를 왜곡하는 식민 사관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식을 말살하고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을 약화 시키려고 했다. 이에 많은 역사학자가 우리 역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신채호 고대사 연구를 통해 우리역사가 주체적으로 발전해온 과정 서술.
박은식 일제의 침략과정과 독립운동의 역사 정리.
백남운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따라 발전함을 강조.
이병도, 손진태 진단 학회를 조직하여 한국사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데 힘씀.
한글 연구와 보급 운동
일제가 우리말과 글을 없애려 하자 국어 학자들은 이에 대응하며 조선어 연구회 조직(1921).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을 발간하는 등 한글 연구와 보급에 노력함.
조선 연구회는 이후 조선어 학회로 개편.
조선어 학회는 강습회를 통해 한글 보급에 앞장섰으며,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마련하고, 표준어를 제정함. 또한 ‘우리말 큰 사전’ 편찬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일제가 이를 강제로 해산 시키면서 중단 되었다(조선어 학회 사건 1942)
문화와 예술에 나타난 변화
1930년대 한글사용이 금지되고 문학 작품의 기회마저 주어지지 않았지만, 이육사, 한용운, 윤동주 등은 항일 작품을 발표하여 민족의식을 일깨움.
음악은 민족의 슬픔과, 일제에 대한 저항을 표현한 곡들이 유행했다.
1930년대 중반에 안익태가 ‘애국가’를 만들었다.
미술에서는 서양화 기법이 도입되는 가운데, 한국 전통 흐름을 지키는데 힘씀.
영화에서는 나운규가 우리민족의 애환을 담은 영화 ‘아리랑’을 발표하여 우리민조의 저항의식 표현.
연극에서는 토월회가 조직되어 근대극 공연.
종교계의 민족 운동
천도교 농촌 계몽 운동에 힘썼다.
원불교 새 생활 운동 전개(남녀평등, 허례허식 폐지), 저축 운동을 통해 자립정신을 키움.
대종교 만주지역에서 교세 확장, 동포들의 민족의식을 취하고, 무장 독립
투쟁 전개.
천주교 고아원. 양로원 설립등 사회사업과 민중계몽운동에 앞선다.
개신교 주로 교육과 의료사업에 힘썼는데 신사참배를 거부하여 일제의 탄압을
받음.
불교 한용운을 중심으로 전통을 이어가며 일제의 불교 통제에 맞섰다.
4. 동아시아의 영토 문제와 역사 갈등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1905년 러일 전쟁 중에 일본은 독도를 ‘다케시마’라는 이름으로 편입.
그러나 세계 제2차대전이 끝난후 독도는 연합국에 의해 우리나라로 다시 반합.
일본은 여전히 독도가 자신의 땅이라 우기지만, 명백히 우리나라 땅임.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일본의 교과서에는 왜곡된 역사를 서술하고 있다.
중국의 동북 공정
최근 중국은 국가 통합을 유지하고, 중국인으로서 애국심을 갖도록 여러 연구 사업 진행 중. 특히 동북공정은 중국 동북 지방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관련된 문제들을 연구하는 사업으로, 고조선, 고구려, 발해를 중국 지방 정권의 하나로 인식하여 우리 역사일부를 중국사로 편입하려함. 이와 같이 동북공정은 중국의 정치적 필요에 따라 역사적 자료를 해석 하여 우리나라의 고대사 전체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있다.
역사 갈등 해결을 위한 우리의 자세
한국. 일본. 중국은 객관적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영토 문제와 여가 갈등을 해결하고, 안정과 평화 공존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1900년대
러.일 전쟁
을사조약과 민족 저항
독도침탈과 간도협약
※대한제국 강제병합은 1910년
항일 의병운동
애국 계몽 운동
신민회
국채 보상 운동
1910년대
무단통치의 실시
토지 조사 사업
회사령
국내외 민족 운동
3.1 운동
임시 정부 수립
삼권 분립명시
1920년대
문화 통치 실시
산미 증식 계획
실력 양성 운동
물산 장려 운동
민립 대학 설립
회사령 신고제
다양한 사회 운동
6.10 만세 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신간회 설립
봉오동전투
청산리 대첩
간도 참변
자유시 참변
3부 통합
1930~40년대
민족 말살 정책
병참 기지화
국가 총동원 법6
문맹퇴치운동
농민.노동 운동변화
한인 애국단
한국광복군(건국 강령)
조선 연구회 조선어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