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사회복지 최종적인 책임자는 학교장이 아니라 학교사회복지사여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 찬반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살피는 학교사회복지사가 많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학교사회복지가 온전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학교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를 곤고히 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한다. 학교사회복지법을 개정하여 학교사회복지사를 정규직 근로자로 전환하고,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일정의 수사권을 부여한다면 일선 학교에 배치된 학교사회복지사들이 보다 의욕적으로 자신이 맡은 바 업무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나라 사회복지계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최종 책임이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있다고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현실과 사뭇 다른 주장일 뿐이다.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사에게는 어떠한 수사권이나 재량권이 없기 때문에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학교사회복지사가 최종 책임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부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에 소속된 근로자 신분이자 학교장에 의해 채용된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에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최종 책임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정부에서 정말 학교사회복지사를 학교사회복지에 최종 책임자로 여기고 있다면, 학교사회복지사의 위상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 참고자료
학교사회복지 유해숙 저 | KNOU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5
-우리나라 사회복지계에서는 학교사회복지의 최종 책임이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있다고 언급하고 있지만 이는 현실과 사뭇 다른 주장일 뿐이다.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사에게는 어떠한 수사권이나 재량권이 없기 때문에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학교사회복지사가 최종 책임자가 될 수 없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일부 학교사회복지사는 학교에 소속된 근로자 신분이자 학교장에 의해 채용된 비정규직 근로자이기 때문에 학교사회복지에 있어 최종 책임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정부에서 정말 학교사회복지사를 학교사회복지에 최종 책임자로 여기고 있다면, 학교사회복지사의 위상을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 참고자료
학교사회복지 유해숙 저 | KNOUPress(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