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효용성이 없는 시스템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반대로 공학 측에서 접근하는 경우에도 인체의 특성 등 의학적인 상황에 대하여 충분한 지식을 갖고 있어야한다. 철판의 결함의 검사에 이용되는 초음파 시스템을 마찬가지 원리로 인체에 적용하여서, 신체내의 이상을 찾아낼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일견 타당성이 있는 생각으로 간주 될 수 있으나, 인체 내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철판의 경우에는 균일한 물질로 구성되어서 그 결함의 부위를 쉽게 찾을 수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인체의 경우에는 불균일한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부위에 이상이 있어도 이것이 측정되는 신호에서 쉽게 눈에 띄지는 않을 것이다. 즉 별도의 신호 처리 등의 복잡한 후속 과정 없이는 그 결과를 분석하기 어렵다. 즉 의학적 환경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서는 공학적인 기술을 의학적 상황에 적용하여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의학적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공학의 발전을 위하여서는 의학과 공학간의 긴밀한 협동관계가 이루어져야하며, 이것은 상대방의 상황과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