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기전 및 원인
3. 증상 및 징후
4. 합병증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7. 참고문헌
2. 기전 및 원인
3. 증상 및 징후
4. 합병증
5. 진단검사
6. 치료 및 간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증가시켜 두개내압을 감소시킨다. 또한 뇌척수액 생산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고, 뇌부종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③ Corticosteroid
종양과 농양 주위의 혈관부종을 조절하며 뇌혈류를 증진시켜서 신경기능을 향상시키고, 뇌 모세혈관의 투과성 상승에 효과가 있다. 용량은 dexamethasone 4~6mg을 6시간마다 사용한다. 부작용으로 위장관계 출혈, 상처치료 지연, 감염의 증가, 혈당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위장계 출혈예방을 위해 제산제를 같이 투여한다. 혈당을 증가시키므로 당뇨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스테로이드이므로 중지할 때 용량을 천천히 감소시킨다.
④ Barbiturate: coma Tx (특수치료) 대사 감소 -> C02 감소 -> 뇌혈관 수축 -> 뇌혈류량 감소 -> ICP 감소
다른 방법에 효과가 없을 때 최종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작용은 정상 뇌조직내에 있는 혈관수축으로 뇌혈류량이 감소되어 두개내압을 감소시킨다. 또한 뇌대사율과 산소소모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뇌부종형성을 억제한다. 하지만, 말초혈관의 확장과 심근수축 억제작용으로 저혈압을 유발시켜 뇌관류압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므로, 혈압유지가 중요하다.
* 특수치료: 혼수치료, 저체온요법, craniectomy
3) 간호
수분제한
900~2500ml/24hrs로 제한한다.
환기유지
PCO₂은 28~35mmHg, PO₂은 10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적절한 산소공급을 위해 기계적 환기를 적용할 수 있다. 효과적인 호흡유지를 위해 호흡수, 호흡양상, 호흡음을 관찰, 청진한다. 호흡 시 보조근을 사용하거나 불안정, 청색증이 나타나면 즉시 인공호흡기를 제공한다. 기도흡인은 전, 후로 100% 산소를 제공하여 두개내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행한다.
뇌척수액 배액
VP shunt 등을 통한 배액 시 감염에 걸리지 않도록 무균적으로 실시하고 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유지한다. 배양액을 정확히 기록한다.
체위: HE 30도
뇌의 정맥환류를 촉진시키고 뇌관류압이 유지되는 체위로 침대 머리 부분을 20~30°상승시킨다. 복위나 심한 목 굴곡, 고관절 굴곡은 피하고 2시간마다 자세변경과 피부간호를 수행한다. 급격한 체위변경은 두개내압을 상승시키므로 천천히 조심스럽게 변경한다.
혈압, 체온 조절
저혈압은 뇌허혈을, 고혈압은 뇌부종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뇌관류압을 60~70mmHg정도 유지하도록 혈압을 조절한다. 32~34℃ 정도의 저체온요법(특수치료)은 뇌의 열 축적을 막고, 뇌의 당대사와 산소대사를 감소시켜 CO2를 감소시킴으로 뇌혈류량을 줄여 두개내압을 낮춘다. IV로 tylenol prn으로 투여하고, 방안 공기를 서늘하게 유지한다.
영양: alb (혈장교질 삼투압)
손상된 뇌의 대사작용을 위해 영양공급은 가능한 한 빠르게 손상 후 3일 이내에 시작하고, 7일 이내에는 완전비경구영양(TPN)으로 공급한다. 정맥 내로 수액 공급 시 포도당은 ICP 상승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것이 좋다.
기침, 긴장 조절을 위한 점액용해제, morphine, barbiturate 및 발작 조절을 위한 항간질약 사용
두 개내압을 상승 시키는 요인을 알고 예방함
탄산과잉, 저산소증, 혈관이완제, 정서적 화남, 방광팽만, 트렌델렌버그 체위, 복위, 목굴절, 기침과 재치기, valsava maneuver 예방(변비예방 > 대변완화제, 관장) 등을 예방한다.
7.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7). 『여덟째판 수정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194~1202
학술자료: 『두개뇌압 항진과 뇌탈출증의 임상증상』(2016).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9(2):71-77pages. 계명대학교. 홍정호.
③ Corticosteroid
종양과 농양 주위의 혈관부종을 조절하며 뇌혈류를 증진시켜서 신경기능을 향상시키고, 뇌 모세혈관의 투과성 상승에 효과가 있다. 용량은 dexamethasone 4~6mg을 6시간마다 사용한다. 부작용으로 위장관계 출혈, 상처치료 지연, 감염의 증가, 혈당증가가 나타날 수 있다. 위장계 출혈예방을 위해 제산제를 같이 투여한다. 혈당을 증가시키므로 당뇨환자는 주의해야 한다. 스테로이드이므로 중지할 때 용량을 천천히 감소시킨다.
④ Barbiturate: coma Tx (특수치료) 대사 감소 -> C02 감소 -> 뇌혈관 수축 -> 뇌혈류량 감소 -> ICP 감소
다른 방법에 효과가 없을 때 최종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작용은 정상 뇌조직내에 있는 혈관수축으로 뇌혈류량이 감소되어 두개내압을 감소시킨다. 또한 뇌대사율과 산소소모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뇌부종형성을 억제한다. 하지만, 말초혈관의 확장과 심근수축 억제작용으로 저혈압을 유발시켜 뇌관류압을 떨어뜨릴 수도 있으므로, 혈압유지가 중요하다.
* 특수치료: 혼수치료, 저체온요법, craniectomy
3) 간호
수분제한
900~2500ml/24hrs로 제한한다.
환기유지
PCO₂은 28~35mmHg, PO₂은 100mmHg 이상으로 유지한다. 적절한 산소공급을 위해 기계적 환기를 적용할 수 있다. 효과적인 호흡유지를 위해 호흡수, 호흡양상, 호흡음을 관찰, 청진한다. 호흡 시 보조근을 사용하거나 불안정, 청색증이 나타나면 즉시 인공호흡기를 제공한다. 기도흡인은 전, 후로 100% 산소를 제공하여 두개내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시행한다.
뇌척수액 배액
VP shunt 등을 통한 배액 시 감염에 걸리지 않도록 무균적으로 실시하고 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유지한다. 배양액을 정확히 기록한다.
체위: HE 30도
뇌의 정맥환류를 촉진시키고 뇌관류압이 유지되는 체위로 침대 머리 부분을 20~30°상승시킨다. 복위나 심한 목 굴곡, 고관절 굴곡은 피하고 2시간마다 자세변경과 피부간호를 수행한다. 급격한 체위변경은 두개내압을 상승시키므로 천천히 조심스럽게 변경한다.
혈압, 체온 조절
저혈압은 뇌허혈을, 고혈압은 뇌부종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뇌관류압을 60~70mmHg정도 유지하도록 혈압을 조절한다. 32~34℃ 정도의 저체온요법(특수치료)은 뇌의 열 축적을 막고, 뇌의 당대사와 산소대사를 감소시켜 CO2를 감소시킴으로 뇌혈류량을 줄여 두개내압을 낮춘다. IV로 tylenol prn으로 투여하고, 방안 공기를 서늘하게 유지한다.
영양: alb (혈장교질 삼투압)
손상된 뇌의 대사작용을 위해 영양공급은 가능한 한 빠르게 손상 후 3일 이내에 시작하고, 7일 이내에는 완전비경구영양(TPN)으로 공급한다. 정맥 내로 수액 공급 시 포도당은 ICP 상승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는 것이 좋다.
기침, 긴장 조절을 위한 점액용해제, morphine, barbiturate 및 발작 조절을 위한 항간질약 사용
두 개내압을 상승 시키는 요인을 알고 예방함
탄산과잉, 저산소증, 혈관이완제, 정서적 화남, 방광팽만, 트렌델렌버그 체위, 복위, 목굴절, 기침과 재치기, valsava maneuver 예방(변비예방 > 대변완화제, 관장) 등을 예방한다.
7. 참고문헌
김금순 외(2017). 『여덟째판 수정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p.1194~1202
학술자료: 『두개뇌압 항진과 뇌탈출증의 임상증상』(2016).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지; 9(2):71-77pages. 계명대학교. 홍정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