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대표하는 해산물 음식 문화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을 대표하는 해산물 음식 문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시미(さしみ : 생선회) 음식문화
1) 생선회
2) 생선회 100배 즐기는 방법
3) 참치회 먹는 법

2. 스시(すし(壽司) : 초밥) 음식문화
1) 스시 먹는 법

3. 샤브샤브와 스키야키

4. 장어요리

본문내용

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성분과 DHA, EPA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보양, 정력강화, 피부미용, 산후조리 등에 있어 효과가 탁월하다고 여러 논문에 자주 등장한다.
일본전통음식의 기초가 형성된 것은 1711년경으로 간장이 서서히 보급되면서 초밥, 덴뿌라, 우나기야끼(장어구이) 등이 생겨나고, 음식문화의 태동이 이루어진 시기로 이때를 에도(江戶) 시대라고 한다.
일본여행을 하다 관심 있게 보면 에도마에(江戶前) 라는 간판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이것은 東京지역풍의 요리로 전통 있는 에도시대의 요리방법을 전수한 음식점의 품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면 별 무리가 없을 듯 하다.
일본장어요리의 특징은 일반 가정용보다 2~3배 진한 소스용 간장을 베이스로 하여 미림정종흑설탕사과벌꿀 등을 가미하여 만든 구이용【타래소스】에 맛의 비결이 있다고 볼 수 있다.【타래소스】의 맛은 달콤하면서도 간장의 찰지고 당기는 맛과 느낄 듯 말 듯한 벌꿀의 향이 은은하게 퍼지면서 엿기름 같은 끈기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깨끗이 손질한 장어 5~10 마리를 50센티의 긴 쇠꼬챙이에 꿰어 참나무 숯으로 구어낸다.【타래소스】에 흠뻑 담궈 가면서 구어 내는 것을 보면, 진 갈색 위에 투명한 빛깔을 내는데 그 빛깔은 저절로 식욕을 느껴지게 한다.
참숯불 위에서 지글지글 구어 질 때【타래소스】와 장어기름이 서로 범벅이 되어 다량의 감미(umami)인 글루타민산(제5의 맛이라고 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이 만들어지는데【타래소스】의 독특한 향취와 함께 맛을 더 한층 고조시킨다.
장어구이는 부위에 따라 또는 요리방법에 따라 다양한 메뉴가 있다.【타래소스】를 발라서 참숯불로 구어 낸 것이카바야끼(蒲燒)이고, 이것을 사진의 용기처럼 밑에 밥을 깔고【타래소스】를 바르고 구어 낸 장어구이를 올려놓은 것이장어덮밥인데 일반적으로 가장 대중화된 메뉴이기도 하다.
장어 자체만의 맛을 음미하기 좋은 메뉴로는 그냥 구어 낸시로야끼(白燒)이고 장어로 우엉을 감싸며 말아서 올리 것이장어 말이 우멍이다. 장어 간(肝)만을 모아서 꼬치에 꿰어 구어 낸 것이기모야끼(肝燒)인데 청주와 함께 음미하면 금상첨화인 안주거리로 업소마다 구하기 힘들어 단골손님에게만 슬그머니 제공되기도 한다.
가쓰오보시 또는 다시마로 국물을 낸 후에 숯불로 구어 낸 장어의 간(肝)과 장어껍질을 약간 썰어 유자껍질을 띄운 국물이 스이모노(吸い物) 이며 정식 또는 셋트 메뉴의 서비스 메뉴로 제공되기도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9.13
  • 저작시기202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5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