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사용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질병경과
4. 간호과정적용: 간호문제→간호진단→간호계획 및 수행→평가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1. 간호사정도구 사용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진단적 검사 및 기타 자료
3. 치료 및 질병경과
4. 간호과정적용: 간호문제→간호진단→간호계획 및 수행→평가
본문내용
(미숙아분유, 분유농도 14%)
-피부상태 : 정상
-과다 수분소실(구토, 설사 등) :
-수분대사 상태 : 첫 소변 X 첫 수분섭취 유
천문 : 열림
피부탄력성 : good fair ■ poor
점막상태 : moist ■ dry tacky
기타(부종,체중변화) 생리적인 체중변화가 있음
2) 배설
-소변 : 아직 하지 못 함
-변 : 아직 하지 못 함
3) 호흡, 순환
-호흡양상 : 얕음
-부속근 사용 : 무
-산소공급 : 유
-청색증 : ■ 유(양발 푸르스름함)
-부종 : □ 유 ■ 무
-기타 : 무
5.임상검사 결과
항목명
검사결과
정상수치
결과해석
WBC
15.62
4.00-10.00
감염
RBC
3.63
3.70-4.90
출혈,빈혈
MCV
114.90
80.00-99.00
빈혈
MCH
39.90
27.00-31.00%
빈혈
LYMPHOCYTE
18.30
20.00-53.10%
감염
MONOCYTE
13.70
2.50-9.60%
감염
calcium, total
10.3
8.6-10.0
영양흡수불량
creatine
0.35
0.5-0.9
간 문제
bilirubin,total
2.30
0.2-1.2
황달의심
bilirubin,direct
0.57
0-0.42
황달의심
ALP
163
35-104
간 문제
albumin
2.6
3.5-5.2
영양흡수불량
protein,total
3.4
6.4-8.3
영양흡수불량
PH
7.314
7.32-7.41
산증
po2
42.3
35-40
폐조직손상
HCO3
23.4
24-40
대사성산증, 호흡성알칼리증
O2 saturation
85.8
65-75
호흡문제
항목명
검사결과
ABO typing
AB
Rh typing
+
6. 간호과정 작성
-미성숙한 폐 기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미성숙한 신체 발달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으,,윽”
-대상자는재태기간 25+4wks, 770g의
미숙아로 출생
-1분 APGAR
총 6점 중
resp. effot 1점
-5분 APGAR
총 7점 중
resp. effort 2점
-출생: HR<100
initial crying weak보였고 initial care시행
-surfactant therapy 시행
-RDS진단받음
-대상자는 PH: 7.314/
PO2; 42.3mmhg/
HCO3-; 23.4mmol/L로
불안정한 수치를 보임
-출생당일O2 SATURATION감소함(90-92%)
-SUCTION시행(Blood tinged, watery, small)
-호흡음 청진함:shallow
-chest retraction있음(mild)
-청색증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시까지 얕은호흡 없이 정상적으로 호흡한다.
단기목표;
환자는 일주일 이내에 산소포화도 95%이상을 유지한다.
1. 2시간마다 대상자의활력징후와 SpO2를사정하여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2. 매 Duty마다 대상자의 호흡양상(호흡의 규칙,Chest retraction 유무 등)을 사정한다.
3.하루에 한 번 대상자의 ABGA 검사 결과 중 pH, PaO2, PaCO2, HCO3- 수치를 사정하고 이상 징후가 있는지 관찰한다.
4.처방에 따라 10초 이내로 suction을 하고 객담의 양상을 관찰한다.
5.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6.매 Duty마다 대상자의 피부색을 사정하여 청색증이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7.대상자가 저체온에 빠지지 않도록 적절한 보육기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1.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이며 특히 호흡수와 산소포화도를 통해 저산소증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여 혼수, 쇼크를 방지할 수 있다.
2.호흡의 양상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유추할 수 있다.
3.조직의 산소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호흡양상이 효율성을 판단하는 객관적 지표이다.
4.효율적으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성을 유지한다. 또한 객담의 양상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유추할 수 있다.
5.스트레스는 산소 요구도를 증가시키므로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6. 사지 말단이나 전신에 나타나는 청색증은 저산소증의 징후 중 하나이다.
7.적절한 습도로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체온은 탈수를 유발하는데 탈수는 기관지 분비물이 진해져 기관지 폐색의 원인이 된다.
1.1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SpO2를 사정했다
날짜
시간
spo2(%)
SBP
(mmhg)
DBP(mmhg)
6/14
7am
92%
80mmhg
23mmhg
9am
92%
80mmhg
36mmhg
11am
93%
90mmhg
30mmhg
1pm
91%
58mmhg
33mmhg
3pm
93%
60mmhg
32mmhg
5pm
92%
76mmhg
36mmhg
7pm
91%
80mmhg
27mmhg
9pm
91%
76mmhg
28mmhg
2. 매 duty마다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호흡양상-얕음)
3.하루에 한 번 대상자의 abga검사 결과를 관찰하였다.
pH
PaO2
PaCO2
HCO3-
6/14
7.314
42.3mmhg
46.0mmhg
23.4mmol/L
4.처방에 따라 suction을 하고 객담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6/14 suction: oral,blood tinged,watery,small)
5.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조영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6.매 duty마다 피부색을 사정하였다.
(6/14-양발 푸르스름함)
7.보육기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였다.
(6/14 보육기 온도;34.0,보육기 습도;95)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시까지 얕은 호흡 없이 정상적으로 호흡한다.
(정상호흡,목표달성)
단기목표:환자는 일주일 이내에 산소포화도 95%이상을 유지한다.(6/14-6/20
SPO2; 95%유지함,
목표달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으...아”
-청색증이 있음
-gastric tube삽입함
-6/14 17:00
oral suction 실시했을
-피부상태 : 정상
-과다 수분소실(구토, 설사 등) :
-수분대사 상태 : 첫 소변 X 첫 수분섭취 유
천문 : 열림
피부탄력성 : good fair ■ poor
점막상태 : moist ■ dry tacky
기타(부종,체중변화) 생리적인 체중변화가 있음
2) 배설
-소변 : 아직 하지 못 함
-변 : 아직 하지 못 함
3) 호흡, 순환
-호흡양상 : 얕음
-부속근 사용 : 무
-산소공급 : 유
-청색증 : ■ 유(양발 푸르스름함)
-부종 : □ 유 ■ 무
-기타 : 무
5.임상검사 결과
항목명
검사결과
정상수치
결과해석
WBC
15.62
4.00-10.00
감염
RBC
3.63
3.70-4.90
출혈,빈혈
MCV
114.90
80.00-99.00
빈혈
MCH
39.90
27.00-31.00%
빈혈
LYMPHOCYTE
18.30
20.00-53.10%
감염
MONOCYTE
13.70
2.50-9.60%
감염
calcium, total
10.3
8.6-10.0
영양흡수불량
creatine
0.35
0.5-0.9
간 문제
bilirubin,total
2.30
0.2-1.2
황달의심
bilirubin,direct
0.57
0-0.42
황달의심
ALP
163
35-104
간 문제
albumin
2.6
3.5-5.2
영양흡수불량
protein,total
3.4
6.4-8.3
영양흡수불량
PH
7.314
7.32-7.41
산증
po2
42.3
35-40
폐조직손상
HCO3
23.4
24-40
대사성산증, 호흡성알칼리증
O2 saturation
85.8
65-75
호흡문제
항목명
검사결과
ABO typing
AB
Rh typing
+
6. 간호과정 작성
-미성숙한 폐 기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미성숙한 신체 발달과 관련된 기도흡인 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으,,윽”
-대상자는재태기간 25+4wks, 770g의
미숙아로 출생
-1분 APGAR
총 6점 중
resp. effot 1점
-5분 APGAR
총 7점 중
resp. effort 2점
-출생: HR<100
initial crying weak보였고 initial care시행
-surfactant therapy 시행
-RDS진단받음
-대상자는 PH: 7.314/
PO2; 42.3mmhg/
HCO3-; 23.4mmol/L로
불안정한 수치를 보임
-출생당일O2 SATURATION감소함(90-92%)
-SUCTION시행(Blood tinged, watery, small)
-호흡음 청진함:shallow
-chest retraction있음(mild)
-청색증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시까지 얕은호흡 없이 정상적으로 호흡한다.
단기목표;
환자는 일주일 이내에 산소포화도 95%이상을 유지한다.
1. 2시간마다 대상자의활력징후와 SpO2를사정하여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2. 매 Duty마다 대상자의 호흡양상(호흡의 규칙,Chest retraction 유무 등)을 사정한다.
3.하루에 한 번 대상자의 ABGA 검사 결과 중 pH, PaO2, PaCO2, HCO3- 수치를 사정하고 이상 징후가 있는지 관찰한다.
4.처방에 따라 10초 이내로 suction을 하고 객담의 양상을 관찰한다.
5.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6.매 Duty마다 대상자의 피부색을 사정하여 청색증이 나타나는지 사정한다.
7.대상자가 저체온에 빠지지 않도록 적절한 보육기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다.
1.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이며 특히 호흡수와 산소포화도를 통해 저산소증이 나타나는지 관찰하여 혼수, 쇼크를 방지할 수 있다.
2.호흡의 양상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유추할 수 있다.
3.조직의 산소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호흡양상이 효율성을 판단하는 객관적 지표이다.
4.효율적으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개방성을 유지한다. 또한 객담의 양상으로 질병의 진행 정도를 유추할 수 있다.
5.스트레스는 산소 요구도를 증가시키므로 안정된 환경을 제공한다.
6. 사지 말단이나 전신에 나타나는 청색증은 저산소증의 징후 중 하나이다.
7.적절한 습도로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체온은 탈수를 유발하는데 탈수는 기관지 분비물이 진해져 기관지 폐색의 원인이 된다.
1.1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SpO2를 사정했다
날짜
시간
spo2(%)
SBP
(mmhg)
DBP(mmhg)
6/14
7am
92%
80mmhg
23mmhg
9am
92%
80mmhg
36mmhg
11am
93%
90mmhg
30mmhg
1pm
91%
58mmhg
33mmhg
3pm
93%
60mmhg
32mmhg
5pm
92%
76mmhg
36mmhg
7pm
91%
80mmhg
27mmhg
9pm
91%
76mmhg
28mmhg
2. 매 duty마다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호흡양상-얕음)
3.하루에 한 번 대상자의 abga검사 결과를 관찰하였다.
pH
PaO2
PaCO2
HCO3-
6/14
7.314
42.3mmhg
46.0mmhg
23.4mmol/L
4.처방에 따라 suction을 하고 객담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6/14 suction: oral,blood tinged,watery,small)
5.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조영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주었다.
6.매 duty마다 피부색을 사정하였다.
(6/14-양발 푸르스름함)
7.보육기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였다.
(6/14 보육기 온도;34.0,보육기 습도;95)
장기목표: 환자는 퇴원시까지 얕은 호흡 없이 정상적으로 호흡한다.
(정상호흡,목표달성)
단기목표:환자는 일주일 이내에 산소포화도 95%이상을 유지한다.(6/14-6/20
SPO2; 95%유지함,
목표달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으...아”
-청색증이 있음
-gastric tube삽입함
-6/14 17:00
oral suction 실시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