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모아간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위험모아간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위험 모아간호학



[과제명] 고위험 모아간호학


1. 아동이 부모와 헤어져야 하는 분리불안의 세 단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3점)
2. 중환아실 간호사는 환아의 표준유지량을 잘 계산하여 환아에게 주입될 표준수액량에서 벗어나는 일 이 없도록 해야 한다. 체중이 13kg인 아동에게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24시간 동안의 수분유지량을 계산하시오. (2점)
3.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받았거나 장기간의 양압 기계적 환기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치료를 받았던 호흡곤란증후군 신생아에서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은? (2점)
4. 신생아/영아가 호흡기 감염, 중이염에 잘 걸리는 이유를 3가지 정도 나열하시오. (3점)
5. 아동에게 발생하는 두부외상의 특징을 5가지 이상 서술하시오. (5점)
6. 중환아실 아동의 정서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지침을 아는대로 서술하시오. (5점)
7. 백혈병 환아의 치료 및 간호중재를 계획하시오. (5점) ※ 골수이식부분은 간단히 서술하세요.
8. 급성 신부전증 환아의 간호중재를 계획하시오. (5점)
9. 임신초기 임부가 오심과 구토의 불편감을 호소할 때 그 원인과 완화법을 설명하시오. (4점)
10. 태반조기박리의 원인을 2개 이상 드시오 (2점)
11. 임신성 당뇨여성이 출산후 a) 경구피임제, b)자궁내 피임장치를 권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시오. (2점)
12. 태아 전자감시에서 후기하강 (late deceleration) 이 나타난 경우, 이를 해석하고 간호중재를 설명하시오. (4점)
13.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에 대하여 이를 미산부와 경산부의 구체적 기준으로 정의하시오. (2점)
14. 유두자극 검사의 원리는 무엇인가 (2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 기능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b)자궁 내 피임장치의 경우 당뇨병 임신 산모에서 골반감염으로 패혈증이나 케톤산증에 쉽게 걸릴 수 있어서 가능한 사용을 피한다.
12. 태아 전자감시에서 후기하강 (late deceleration) 이 나타난 경우, 이를 해석하고 간호중재를 설명하시오. (4점)
태아 전자 감시 상에서 후기 하강 (late deceleration)이 나타는 것은 태아의 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후기 하강이 가변성의 소실이나 감소와 관련이 되어 있고 반복적으로 나타날 경우 태아에게 저산소증과 삼증이 나타났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경우 태아에게 산소공급을 증가시키고 자궁태반 관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13. 자궁기능 부전으로 인하여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에 대하여 이를 미산부와 경산부의 구체적 기준으로 정의하시오. (2점)
잠재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은 진통이 시작되어 자궁경부가 3~4cm로 개대되는 기간인 잠재기가 길어지는 것으로 고긴장성 자궁수축이 있는 경우가 많다. 통증이 심하여 산부는 고통스럽고 태아는 저산소증에 빠지기 쉬우므로 산부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탈수에 빠지지 않도록 수분 공급을 충분히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잠재기 지연은 미산부에서 많이 발생하며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이나 원발성 기능부전으로 인해 발생하기 쉽다. 강한 수축이 자주 일어나 긴장도 증가할 수 있고, 이완기 내압이 15mmHg 이상 될 수 있다. 자궁수축은 비효과적이며 이에 대한 간호중재는 진정제, 수액, 휴식 등이다. 초산부는 20시간 이상. 경산부는 14시간 이상이다.
14. 유두자극 검사의 원리는 무엇인가 (2점)
산부인과에서 임산부를 대상으로 유두자극 및 oxytocin에 의한 수축검사를 시행하는 검사로 유두자극에 의한 자궁 수축검사를 말한다. 주로 oxytocin에 의한 수축검사를 시행한다. 산전태아안녕검사를 하는데 보편적으로 자궁수축자극검사(contraction stress test)를 하는데 수축 유도방법으로 옥시토신이나 유두자극을 통한 검사를 한다.
태아의 안녕을 판단하는 검사로는 자극 비자극검사가 있는데 자극 테스트는 비자극 테스트와 마찬가지 방법이지만 유두를 자극해서 자궁 수축을 유도(유두 자극 테스트)하거나 또는 옥시토신이라고 하는 자궁 수축제를 사용해서 자궁 수축을 유도(옥시토신 부하 테스트)하여 태아가 잘 견디는지 보는 검사다.
40초 내지 60초 정도 지속하는 수축이 10분 동안 3번 이상 있으면서 태아 심박 수의 저하가 전혀 없는 경우를 자극 테스트 \"음성\"으로 판정하며 태아 건강이 위험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 반면 자궁 수축의 반 이상 횟수에서 지속적인 태아 심박수의 저하가 있을 경우 자극 테스트 \"양성\"이라고 하여 태아의 건강이 위험한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정한다. 자극 테스트는 태아의 건강이 위험한 상황인지 보는 검사법이다.
참고문헌
고위험모아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11.17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8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