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rge Yule, The Study of Language 7th Edition,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김경환교수님 영어학개론 , 8, 9, 10, 12, 17강 번역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eorge Yule, The Study of Language 7th Edition, 경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김경환교수님 영어학개론 , 8, 9, 10, 12, 17강 번역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꽤나 좋은 증거를 제공한다.
영어학개론 17강 Language History and Change
(교재 262쪽 Intro의 시)
이 가까스로 인식할 수 있는 대략 1000년 전 버전의 the Lord’s Prayer는 “Englisc 5세기에 스칸디나비아의 게르만 민족이 영국에 침입한 후부터 대체로 1150년경까지 사용한 영어
”의 언어가 엄청난 변화들을 겪었고, 결국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영어가 되었다는 것을 분명하게 나타낸다. 고대 영어의 특징과 근대 언어들로 발전한 방법에 대한 조사는 우리를 언어의 역사와 변화에 대한 연구로 관여시키며, 이는 philology 어떤 민족이 남긴 모든 종류의 문헌을 연구하는 학문
(문헌학, 언어학)로도 알려져 있다. 19세기에 문헌학은 언어에 대한 연구를 지배하였고, 그 결과 중 하나가 언어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family trees (가계도, 족보)”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모든 것이 일어날 수 있기 전에, 전 세계의 각기 다른 부분에서 말해지는 다양한 언어는 사실상 하나의 계(family)의 구성원들이었다는 발견이 선행되어야만 했다.
<1> Family Trees (족보, 가계도)
1786년, 인도에 있는 영국 정부의 공무원 Sir William Jones는 인도 법의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어(Sanskrit)에 대한 이하의 관측을 내놓았다.
산스크리트어는 그것이 얼마나 오래 되었든간에, 아름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 그리스어보다 완벽하고, 라틴어보다 방대하며(copious), 그 둘보다 더 아름답게(exquisitely) 다듬어졌고, 우연에 의해 만들어진 라틴어나 그리스어보다 동사의 기원이나 문법의 형태에 있어서 더 강력한 관련성(affinity)을 가진다.
William은 매우 다른 지리학적 영역을 가진 언어들이 모종의 공통된 선조를 가질 것이라고 계속하여 생각하였고, 그것은 그 당시에는 꽤나 혁명적인 생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공통된 조상은 그때껏 존재하는 어떠한 기록을 통해 설명될 수 없었으며, “후손(descendants)”으로 생각되는 언어들의 기록으로 존재하는 유사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한 가설이 될 수밖에 없었다.
19세기에 그러한 공통된 조상(언어)를 묘사하기 위해 하나의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다. 그것은 인도의 아대륙(India sub-continent)의 언어(Indo)와 유럽의 언어(European)의 근대 언어들의 근원인 언어의 원형(Proto)이었다는 개념을 포함하였다. 아주 오래전에 Proto-Indo-European의 언어가 “great-great-greatmother”로서 정립됨에 따라, 학자들은 Indo-European 언어의 족보의 가지(branches)들을 알아내기 시작하였고, 이를 위해 근대의 많은 언어들의 혈통(lineage)을 추적하였다. 이하는 Indo-European 언어의 작은 족보이다.
<2> Indo-European (인도-유럽어)
Indo-European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population)와 분포(distribution)를 가진 어족(language family)이지만, 유일한 것은 아니다. 많은 다른 개별 언어를 포함하는 어족은 대략 30개 정도가 있다. 평판이 좋은(reputable) 자료(Ethnologue, 2018)에 따르면, 세계에는 사실상 7097개의 알려진 언어들이 있다. 많은 언어들은 확장하고 있는 반면에, 이러한 언어들 중 많은 것들이 멸종의 위기에 있다. 화자의 수의 관점에서, 중국어는 가장 많은 모국어 구사자 (10억 이상)를 가지지만, 약 4억명의 구사자를 갖는 스페인어와, 3.3억명의 구사자를 갖는 영어는 세계의 각지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이상의 Indo-European 족보를 보며, 처음에 우리는 이러한 모든 다른 언어들이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에 의해 어리둥절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이탈리아어와 힌두어와 같은 두 개의 근대 언어들은 어떠한 공통점도 없어 보인다. 그들이 어떻게 연관되었는지에 대한 더욱 분명한 그림을 갖는 방법은, 모든 근대 언어들이 진화한 근원인 라틴어나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고대 세대의 자료를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father와 brother”라는 단어를 산크리스트어,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로 쓰기 위해 비슷한 글자들을 사용한다면, 일련의 유사한 특징들은 분명해진다.
Sanskrit
Latin
Ancient Greek
father
pitar
pater
pater
brother
bhratar
frater
phrater
이러한 어형들이 분명한 유사점을 갖고 있지만, 언어들 전반을 통틀어 완전히 같은 단어들이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특히 단어들의 발음에 있어서) 밀접한 유사성이 발생한다는 점은 어족의 연결관계를 제시하는 좋은 근거이다.
<2-1> Cognates (동족어)
서로 다른 언어들 사이에서 가능한 어족의 연결관계(family connection)를 세우기 위해 우리가 방금 사용한 과정은 “동족어(cognates)”로 불리는 것들을 살펴보는 과정을 수반한다. 서로 연관된 언어의 집단들 속에서 우리는 종종 단어들의 특정한 세트 속에서 긴밀한 유사성을 발견한다. 한 언어(예를 들어 영어) 속의 단어들 간의 “cognate(동족어)”이란, 유사한 어형을 갖고 있고,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다른 언어(예를 들어 독일어)의 단어를 의미한다. 영어 단어인 “mother, father, friend”는 독일어 단어인 “Mutter, Vater, Freund”와 동족어이다. 이러한 동족어의 기반에서, 우리는 근대 영어와 근대 독일어는 Indo-European의 Germanic(게르만) 분파(branch)에서 공통된 선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Indo-European의 분파인 Italic에서 유사한 세트를 들여다 볼 수 있으며, 그 결과 스페인어 (madre, padre, amigo)와 이탈리아어 (madre, padre, amico)의 동족어를 발견할 수 있다.
<3> Comparative Reconstruction (비교적 복원)
분명이 연결이 되긴
  • 가격19,9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21.12.29
  • 저작시기202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0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