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폐색성 장질환(intestinal obstruction, ileus) 문헌고찰 병태생리 정말 꼼꼼히 작성하였습니다. 케이스 문헌고찰이나 과제 자료조사에 도움되실거에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 폐색성 장질환(intestinal obstruction, ileus) 문헌고찰 병태생리 정말 꼼꼼히 작성하였습니다. 케이스 문헌고찰이나 과제 자료조사에 도움되실거에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해부생리
▶ 병태생리
▶ 임상증상_소장폐색
▶ 임상증상_대장폐색
▶ 진단_건강력
▶ 신체검진_종류
▶ 신체검진_비정상소견
▶ 임상증상 확인
▶ 복부통증의 종류
▶ 장폐색 검사 종류
▶ 치료 및 간호

본문내용

당겨 올리는 자세
≫ 담낭결석이나 요도결석의 급성경련통이 있으면 몸을 앞뒤로 흔듦
복부시진
≫ 황달이 있으면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높음
≫ 홍반은 염증, 멍은 외상이나 혈소판 수치 저하를 의미
≫ 청색증은 저산소증, 선이 있으면 복부팽만을 의미
≫ 배 표면이 빛나거나 탱탱하면 복수 가능성
≫ 배꼽은 중심에 있어야 하고 염증이나 배액물이 없어야 함
≫ 제대탈장시 복부가 팽창됨
≫ 돌출된 배꼽은 복수나 큰 덩어리로 인해 복부내압이 증가된 징후
≫ 정맥이 보이거나 배꼽주변에 정맥 울혈이 있으면 비정상
≫ 문맥압이 높을 때 정맥이 확장, 배꼽에서부터 퍼져 보임
≫ 허혈이 있다면 장루가 창백하게 보임 / 괴사가 있으면 갈색, 흑색으로 나타남
≫ 기침할 때 복부가 돌출되면 탈장이 의심
≫ 복부팽만의 원인: 지방, 태아, 가스, 대변, 섬유성종양, 말기종양, 복부탈장
≫ 중가된 연동운동: 장폐색을 의미
복부청진
≫ 장음이 없거나 감소: 말기 장폐색, 수술 후 마비성 장폐색, 복막염 의심
≫ 과도한 연동운동음(과다할동성장음): 설사, 하제, 장염, 초기기계적 장폐색(고음), 완화된 장폐색에서 발생
≫ 동맥잡음: 혈관의 협착으로 피가 세차게 흐르는 것, 동맥류가 있음을 암시
≫ 정맥잡음: 문맥고혈압, 간경화증이 의심
복부타진
≫ 국소적으로 탁음이 나타나면 복부에 덩어리가 있음을 의미
복부촉진
≫ 국소적, 전신적인 통증이 있는지 확인
≫ 근육을 긴장시키거나 얼굴 찌푸름으로 통증을 나타낼 수 있음
≫ 흡기 시 내려가는 덩어리, 측부 박동성 덩어리(복부 대동맥류), 측부로 움직이는 덩어리, 고정된 덩어리는 비정상소견
임상증상 확인
≫ 증상이 나타난 시기, 음식물의 섭취 양상, 소화 능력, 구토, 대변 양상 등을 확인
≫ 복부 팽만의 정도를 확인
≫ 장음, 탈수의 정도, 빔증의 양상, 통증의 촉진, 완화요인을 사정
복부통증의 종류
복부통증의 종류
원인
환자특징
통증특징
위치
악화요인
완화요인
위식도역류질환
모든연령
갉는듯, 타는듯
상복부 중간
누운자세, 고개를 숙이거나 구부림
제산제,
앉은자세
위장염
모든연령
경련성
넓은부위
음식
구토, 설사
소화성궤양
30~50대남성
갉는듯, 타는듯
명치, 상복부
스트레스, 술
음식, 제산제
충수돌기염
모든연령
급성경련통
배꼽주위
걸음, 기침
누워있음
담낭염
성인 남성
급성경련통
RUQ
기름진 음식
장폐색
노인
급성경련통
국소, 전신적
장폐색 검사
복부X-선 검사, CT
장내의 비정상적인 가스나 내용물 확인
전해질 검사
탈수 확인
CBC
혈장 손실 확인
백혈구 증가
장의 염전(torsion)과 감염의 증거
비단백질소, 혈액요소질소
소장 폐색을 의미
바륨관장, 결장경
폐색의 원인과 폐색의 정도를 파악
장폐색 검사 종류
치료 및 간호
치료 및 간호
대증치료
일반적으로 대증치료가 이루어짐
비위관 삽입
장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폐색을 완화하기 위함
도뇨관 삽입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확인
배액물의 양, 냄새, 색깔 등을 기록
임상병리 검사 결과를 확인
전해질 불균형, pH의 변화 등이 나타날 때는 즉시 보고
수분과 전해질
균형유지
비위관 및 도뇨관으로 공급과 배액되는 양을 확인
탈수 정도를 사정
처방에 따라 전해질 투여
칼륨의 불균형에 주의
위장관 조직관류
유지
염전(torsion)증상 확인: 구토, 팽만, 통증 양상의 변화, 체온상승
염전시 응급수술이 필요
진통제 주의: 증상을 가리거나 연동운동을 감소시킴
부분폐색: 원인질환에 따라 수술을 고려
완전폐색: 수술이 권장
수술로 괴사된 장 부분을 제거
약물
초기에 효과가 적음
폐색이 완화되고 장이 회복되었을 때 효과가 나타남
부분 폐색인 경우: 대증치료만으로 60~80%가 회복
대증치료가 이루어짐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3.07
  • 저작시기201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4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