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건강사정 도구
3. 간호과정
2. 건강사정 도구
3. 간호과정
본문내용
27)
참고치
Fe
21 ▼
33~193 ug/dL
TIBC
148 ▼
228~428 ug/dL
Ferritin
1637.61 ▼
21.81~274.66 ng/mL
Vit B12
774 ▲
197~771 pg/mL
Folate
7.7
4.20~19.8 ng/mL
면역혈청검사
수치 (2.27)
참고치
CRP
(염증단백검사)
218 ▲
<5.0 mg/L
CD3
(세포면역검사)
87.5 ▲
49~80 %
CD4
(세포면역검사)
3.2 ▼
23~48.2 %
CD4 Count
(세포면역검사)
10
CD8
(세포면역검사)
78.2 ▲
13.4~41 %
CMV IgM
(바이러스감염검사)
0.87 ▲
<0.7
소변검사
color
yellow
apperance
clear
pH
6.5
specific gravity
1.033 H
Albumin
N
Ketones
N
Blirubin
N
Nitrate
N
Urobilinogen
N
Leukocyte
N
간호과정 우선순위 분류
#1. 감염위험성
#2. 가스교환장애
#3. 비효율적 기도청결
1. 면역세포 수치 감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HIV(+)소견보여 재검 시행중인 상태이나, HIV infection 가능성 높아 CD4 count 및 HIV RNA 정량검사 시행한 상태
수치 (2.27)
참고치
CRP
(염증단백검사)
218 ▲
<5.0 mg/L
CD3
(세포면역검사)
87.5 ▲
49~80 %
CD4
(세포면역검사)
3.2 ▼
23~48.2 %
CD4 Count
(세포면역검사)
10
500~1200cell/mm
CD8
(세포면역검사)
78.2 ▲
13.4~41 %
CMV IgM
(바이러스감염검사)
0.87 ▲
<0.7
면역혈청 검사 수치가 정상치보다 낮음
Seg Neutro
93 ▲
84.8 ▲
37~72%
세균감염
독소적 항원, 호르몬 질병, 혈액질병
Eosino
1
0
0~6%
과면역 알러지, Addison’s disease
Adrenal의 증가
Baso
0
0
0~2%
과립구성/호염기성구 백혈병, 알러지 질환
Lympho
4 ▼
12.4 ▼
21~51%
세균성 상기도 감염, 호르몬질환
화상, 쿠싱질환, 외상 등
Mono
2 ▼
2.8 ▼
3~10%
감염
ANC
8 ▲
2.4
1.8~7.7 10^3/㎕
감염성 질환
혈액검사 수치
Cymevene(화학요법제)를 투여중임.
Tabaxin(그람 음성,양성균에 작용) 투여중임
진단명- 부: Acute respiratory failure, type uspecified- 부: Pneumonia- 부: Dyspnea
V/S 높은 BT를 나타냄
진단
면역세포 수치 감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내로 정상 v/s 수치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면역혈청 검사 수치가 정상치를 유지한다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한다.
체온증가나 맥박증가가 있는 경우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체온이 정상치보다 조금 높은 수치로 계속 측정되었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를 제공한다.
예방적 목적으로 항생제를 제공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 Tabaxin, Cymevene을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간호 중재를 할 시 철저한 감염관리를 한다.
위생 관리를 통해 감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대상자에게 간호중재를 할 시 AP가운, 고글, 장갑을 끼며 철저한 손씻기를 하였다.
대상자의 면역혈청 검사 수치, HIV 바이러스 수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혈액 내에 존재하는 면역혈청 검사 수치, HIV 바이러스 수치가 일정 기준에 도달하여야 치료를 할 수 있다.
면역혈청검사 수치 측정 결과 정상치보다 낮은 면역세포 수를 보였다.
평가
대상자는 2.28일 정상 v/s 수치를 유지하였다.->목표가 달성됨
대상자의 면역혈청 검사 수치는 정상치로 유지되지 못하였다.->목표가 달성되지 못함.
#2. 기도 내 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
●객관적 자료
-진단명 : Pneumonia
작년 11월달에 Pneumonia로 LMC에서 1주가 입원치료.
-주 증상: Dyspnea, 객담, 기침
- 흡연자: 하루에 한갑
-V/S. SPO2
-사용하는 기구 (날짜 수정)
-호흡근 사용, 얕고 잦은 호흡
-기관지 확장제와 진해거담제 사용
Mucomyst soin. 800mg/4ml
Atrovent UDV 0.5mg/2ml
Ventolin nebules 2.5mg/2.5ml
Methysol inj 0.9% 125mg
Cravit inj 750mg/150ml
-노란 객담 배출
-숨쉴 때 얼굴을 찡그림
-호흡할 때 가래가 섞인 소리가 남 주관적 자료
-ABGA수치(날짜 수정)
진단
기도 내 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목표
단기목표: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장기목표: ABGA수치가 정상을 유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3일이내에 정상 호흡수를 유지한다.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진단적 계획:
호흡음, vital sign, 객담배출 양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간호수행이 효과적인지 알 수 있다.
활력징후, 호흡수, 호흡양상, 객담배출 양상을 확인하였다.
교육적계획:
객담 배출 법을 알려준다.
객담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객담을 배출시킨다.
심호흡, 객담배출법을 설명해주는 것을 직접 관찰하였다.
치료적 계획:
반좌위로 취해준다.
반좌위 자세는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무릎 밑에 베개를 넣어 굴곡 시키므로써 횡격막 운동을 최대로 한다.
반좌위 취해주는 것을 관찰하였음
필요시 기관지확장제, 진해 거담제를 사용한다.
분비물 제거, 기관지 확장을 시키므로써 호흡을 용이하게한다.
기관지 확장제와, 진해거담제를 사용하였다.
평가
호흡수를 정상으로 유지하였다.
대상자가 호흡 시 천식 음 소리가 계속 나므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3. 진해거담제를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는 호흡기계의 염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사정
<주관적 자료> “가래가 많아서 답답해요. 가래 좀
참고치
Fe
21 ▼
33~193 ug/dL
TIBC
148 ▼
228~428 ug/dL
Ferritin
1637.61 ▼
21.81~274.66 ng/mL
Vit B12
774 ▲
197~771 pg/mL
Folate
7.7
4.20~19.8 ng/mL
면역혈청검사
수치 (2.27)
참고치
CRP
(염증단백검사)
218 ▲
<5.0 mg/L
CD3
(세포면역검사)
87.5 ▲
49~80 %
CD4
(세포면역검사)
3.2 ▼
23~48.2 %
CD4 Count
(세포면역검사)
10
CD8
(세포면역검사)
78.2 ▲
13.4~41 %
CMV IgM
(바이러스감염검사)
0.87 ▲
<0.7
소변검사
color
yellow
apperance
clear
pH
6.5
specific gravity
1.033 H
Albumin
N
Ketones
N
Blirubin
N
Nitrate
N
Urobilinogen
N
Leukocyte
N
간호과정 우선순위 분류
#1. 감염위험성
#2. 가스교환장애
#3. 비효율적 기도청결
1. 면역세포 수치 감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HIV(+)소견보여 재검 시행중인 상태이나, HIV infection 가능성 높아 CD4 count 및 HIV RNA 정량검사 시행한 상태
수치 (2.27)
참고치
CRP
(염증단백검사)
218 ▲
<5.0 mg/L
CD3
(세포면역검사)
87.5 ▲
49~80 %
CD4
(세포면역검사)
3.2 ▼
23~48.2 %
CD4 Count
(세포면역검사)
10
500~1200cell/mm
CD8
(세포면역검사)
78.2 ▲
13.4~41 %
CMV IgM
(바이러스감염검사)
0.87 ▲
<0.7
면역혈청 검사 수치가 정상치보다 낮음
Seg Neutro
93 ▲
84.8 ▲
37~72%
세균감염
독소적 항원, 호르몬 질병, 혈액질병
Eosino
1
0
0~6%
과면역 알러지, Addison’s disease
Adrenal의 증가
Baso
0
0
0~2%
과립구성/호염기성구 백혈병, 알러지 질환
Lympho
4 ▼
12.4 ▼
21~51%
세균성 상기도 감염, 호르몬질환
화상, 쿠싱질환, 외상 등
Mono
2 ▼
2.8 ▼
3~10%
감염
ANC
8 ▲
2.4
1.8~7.7 10^3/㎕
감염성 질환
혈액검사 수치
Cymevene(화학요법제)를 투여중임.
Tabaxin(그람 음성,양성균에 작용) 투여중임
진단명- 부: Acute respiratory failure, type uspecified- 부: Pneumonia- 부: Dyspnea
V/S 높은 BT를 나타냄
진단
면역세포 수치 감소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내로 정상 v/s 수치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면역혈청 검사 수치가 정상치를 유지한다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한다.
체온증가나 맥박증가가 있는 경우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활력징후를 1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체온이 정상치보다 조금 높은 수치로 계속 측정되었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를 제공한다.
예방적 목적으로 항생제를 제공하여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 Tabaxin, Cymevene을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간호 중재를 할 시 철저한 감염관리를 한다.
위생 관리를 통해 감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대상자에게 간호중재를 할 시 AP가운, 고글, 장갑을 끼며 철저한 손씻기를 하였다.
대상자의 면역혈청 검사 수치, HIV 바이러스 수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혈액 내에 존재하는 면역혈청 검사 수치, HIV 바이러스 수치가 일정 기준에 도달하여야 치료를 할 수 있다.
면역혈청검사 수치 측정 결과 정상치보다 낮은 면역세포 수를 보였다.
평가
대상자는 2.28일 정상 v/s 수치를 유지하였다.->목표가 달성됨
대상자의 면역혈청 검사 수치는 정상치로 유지되지 못하였다.->목표가 달성되지 못함.
#2. 기도 내 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
●객관적 자료
-진단명 : Pneumonia
작년 11월달에 Pneumonia로 LMC에서 1주가 입원치료.
-주 증상: Dyspnea, 객담, 기침
- 흡연자: 하루에 한갑
-V/S. SPO2
-사용하는 기구 (날짜 수정)
-호흡근 사용, 얕고 잦은 호흡
-기관지 확장제와 진해거담제 사용
Mucomyst soin. 800mg/4ml
Atrovent UDV 0.5mg/2ml
Ventolin nebules 2.5mg/2.5ml
Methysol inj 0.9% 125mg
Cravit inj 750mg/150ml
-노란 객담 배출
-숨쉴 때 얼굴을 찡그림
-호흡할 때 가래가 섞인 소리가 남 주관적 자료
-ABGA수치(날짜 수정)
진단
기도 내 분비물 정체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목표
단기목표: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
장기목표: ABGA수치가 정상을 유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3일이내에 정상 호흡수를 유지한다.
계획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수행
진단적 계획:
호흡음, vital sign, 객담배출 양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간호수행이 효과적인지 알 수 있다.
활력징후, 호흡수, 호흡양상, 객담배출 양상을 확인하였다.
교육적계획:
객담 배출 법을 알려준다.
객담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여 객담을 배출시킨다.
심호흡, 객담배출법을 설명해주는 것을 직접 관찰하였다.
치료적 계획:
반좌위로 취해준다.
반좌위 자세는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무릎 밑에 베개를 넣어 굴곡 시키므로써 횡격막 운동을 최대로 한다.
반좌위 취해주는 것을 관찰하였음
필요시 기관지확장제, 진해 거담제를 사용한다.
분비물 제거, 기관지 확장을 시키므로써 호흡을 용이하게한다.
기관지 확장제와, 진해거담제를 사용하였다.
평가
호흡수를 정상으로 유지하였다.
대상자가 호흡 시 천식 음 소리가 계속 나므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3. 진해거담제를 사용하는 것에서 알 수 있는 호흡기계의 염증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사정
<주관적 자료> “가래가 많아서 답답해요. 가래 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