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M 소개
2. SPA브랜드 시장현황분석
3. H&M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H&M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H&M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결론 및 향후시사점
<참고문헌>
2. SPA브랜드 시장현황분석
3. H&M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H&M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H&M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6. 결론 및 향후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터 브랜드에서 사용하는 가죽의 49%를 오가닉 재료로 만든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런 H&M의 행보는 지구환경을 해치는 소비재로서의 패션이 가진 부정적인 이미지를 순화하는 한편, 보다 진보적인 철학을 가진 이들이 선택하여 입는 옷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다.
(2) Price
H&M은 전 세계 표준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일괄성 있는 가격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시장을 무대로 디자인·생산·소매 유통까지 관리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를 그때그때 정확하게 잡아내 상품에 반영, 재고를 줄이기 때문에 가격을 확 낮출수 있다.
전 세계 표준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일괄성 있는 가격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3) Place
H&M은 따로 직영 공장을 두지 않는 특이한 유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품 개발 시 본사에서 신제품의 디자인이 컴퓨터에 입력되면 디자인과 소재를 포함한 제품이 H&M의 각국에 있는 지사를 통하여 파트너쉽을 체결한 공장에서 실제로 구현되게 된다. 이렇게 생산 된 제품들이 바로 매장에 투입되어 소비자와 만나게 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H&M은 유통전략의 일환으로 라스베가스 시저스 팰리스, 파리 샹젤리제 플래그쉽 스토어, 압구정과 같은 각국의 상징적인 패션 상권에 입점해왔다.
(4) Promotion
H&M 유명 브랜드의 디자이너들과의 콜라보레이션, Cobranding 전략은 유행을 선도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조차 중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H&M의 이미지를 상승시켰고, 더불어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한 ‘WOW factor’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H&M만의 창조적 신념과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브랜드 성격을 보여준 성공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그리고 경쟁사들의 무광고주의에 비해 H&M은수익의 4%를 광고에 투자할 만큼 많은 투자를 하고있다.광고 캠페인을 통해 “Fashion and quality at the best price” 전달하기 위해 각 국의 광고 매니저들은 그 지역에 적합한 지역광고 제작을 책임지고 있다. 텍스트를 통한 광고가 아닌 비주얼에 중심을 둔 광고를 진행을 하며 영상의 중요성을 신뢰하기 때문에 순수한 텍스트로 된 광고는 사용하지 않고있다.
6. 결론 및 향후시사점
국내 소비자 입장에서 로벌 SPA 랜드 진출은 환할 만한 일이다. 그리 높지 않은 가격으 로 다양한 패션 의류를 구입할 수 있는 안의 폭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패션 의류업 계, 특히 자체 랜드를 보유한 업체 입장에서는 로벌 랜드의 본격인 시장 진입에 긴장하 지 않을 수 없으며, 새로운 대응전략 마련에 부심할 수밖에 없다. 향후 국내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각사가 보유한 비주력 랜드(sub brand)까지 도 입되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글로벌 SPA 랜드의 한국시장 진출은 단순히 외국 랜드의 시장유율 상승이라는 측 면보다 패션의류 업계의 반인 패러다임 변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전략적 제휴 -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원칙과 방법, 게릴 하멜
패션산업의 전략적 제휴 현황, 박경애.박광희
(2) Price
H&M은 전 세계 표준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일괄성 있는 가격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시장을 무대로 디자인·생산·소매 유통까지 관리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요구를 그때그때 정확하게 잡아내 상품에 반영, 재고를 줄이기 때문에 가격을 확 낮출수 있다.
전 세계 표준 가격을 책정함으로써 일괄성 있는 가격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3) Place
H&M은 따로 직영 공장을 두지 않는 특이한 유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품 개발 시 본사에서 신제품의 디자인이 컴퓨터에 입력되면 디자인과 소재를 포함한 제품이 H&M의 각국에 있는 지사를 통하여 파트너쉽을 체결한 공장에서 실제로 구현되게 된다. 이렇게 생산 된 제품들이 바로 매장에 투입되어 소비자와 만나게 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H&M은 유통전략의 일환으로 라스베가스 시저스 팰리스, 파리 샹젤리제 플래그쉽 스토어, 압구정과 같은 각국의 상징적인 패션 상권에 입점해왔다.
(4) Promotion
H&M 유명 브랜드의 디자이너들과의 콜라보레이션, Cobranding 전략은 유행을 선도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조차 중저가 제품을 판매하는 H&M의 이미지를 상승시켰고, 더불어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한 ‘WOW factor’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H&M만의 창조적 신념과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브랜드 성격을 보여준 성공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그리고 경쟁사들의 무광고주의에 비해 H&M은수익의 4%를 광고에 투자할 만큼 많은 투자를 하고있다.광고 캠페인을 통해 “Fashion and quality at the best price” 전달하기 위해 각 국의 광고 매니저들은 그 지역에 적합한 지역광고 제작을 책임지고 있다. 텍스트를 통한 광고가 아닌 비주얼에 중심을 둔 광고를 진행을 하며 영상의 중요성을 신뢰하기 때문에 순수한 텍스트로 된 광고는 사용하지 않고있다.
6. 결론 및 향후시사점
국내 소비자 입장에서 로벌 SPA 랜드 진출은 환할 만한 일이다. 그리 높지 않은 가격으 로 다양한 패션 의류를 구입할 수 있는 안의 폭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패션 의류업 계, 특히 자체 랜드를 보유한 업체 입장에서는 로벌 랜드의 본격인 시장 진입에 긴장하 지 않을 수 없으며, 새로운 대응전략 마련에 부심할 수밖에 없다. 향후 국내 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각사가 보유한 비주력 랜드(sub brand)까지 도 입되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글로벌 SPA 랜드의 한국시장 진출은 단순히 외국 랜드의 시장유율 상승이라는 측 면보다 패션의류 업계의 반인 패러다임 변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전략적 제휴 -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원칙과 방법, 게릴 하멜
패션산업의 전략적 제휴 현황, 박경애.박광희
추천자료
유니클로의 마케팅 분석과 방안
유니클로(UNIQLO) 기업 SWOT분석및 마케팅사례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제안( VS 지오다...
유니클로 경영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과 유니클로 성공요인분석과 유니클로 앞으로의 전망
H&M기업분석,H&M마케팅전략,H&M성공사례분석,SPA브랜드,패스트패션
H&M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과, 미래향후전략
H&M 브랜드분석과 H&M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경영전략분석과 H&M 현 문...
(H&M 마케팅전략 PPT) H&M 성공요인,생산분석및 H&M 마케팅 4P,STP,SWOT분석및 ...
유니클로 성공요인과 SPA산업분석/유니클로 SWOT분석과 마케팅전략 사례분석/ 유니클로 미래 ...
자라 ZARA SCM 도입전략과 자라 경영,마케팅전략 사례분석 및 자라 SWOT분석과 시사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