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문화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사(문화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국사
2. 서양사
3. 서아시아사
4. 일본사
5. 인도사

본문내용

의 수비를 견고히 하여 제국 번영의 기틀을 다졌다. 이후 1세기 말부터 유능한 다섯 황제(5현제)가 연달아 집권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정치적ㆍ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도로 정비, 화폐ㆍ도량형 통일, 상공업 발달과 도시가 번영하였고, 황제 중심의 통치 체제가 안정되어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옥타비아누스부터 5현제까지의 약 200여년 간을 ‘로마의 평화 시대(Pax Romana)’라고 한다.
그러나 2세기 말부터 정치가 혼란해지기 시작하여, 3세기에는 군인 황제 시대가 전개되었다. 이 시기에 상공업과 도시의 쇠퇴, 게르만족과 사산 왕조 페르시아 등 이민족의 침입으로 로마는 큰 혼란에 빠졌으며, 농촌에서는 부자유 소작인(콜로누스)이 토지를 경작하는 콜로나투스가 등장하였다.
로마 제국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3세기 말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전제 군주제를 확립하고 제국을 4분할하여 통치하였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도 크리스트교를 공인하고 수도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옮기는 증 제국의 부흥에 힘썼다. 테오도시우스 황제는 크리스트교를 국교화(392)하였고, 황제 사후 로마 제국은 동ㆍ서로마로 분열(395)되면서 크리스트교 세계도 분리하였다. 결국 서로마 제국은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476). 분열된 동로마 제국(비잔티움)은 15세기까지 오랫동안 지속된다.
11. 크리스트교의 성립과 전파 과정에 대해 서술하시오.
로마 제정 시기에 등장한 예수는 유대교의 선민 사상과 율법주의를 배격하고 민족과 신분을 초월한 신의 사랑, 평등, 인간애를 설교하였다. 예수가 죽은 뒤 그의 제자 베드로와 바울 등은 그의 가르침을 각지에 전파하였다.
다신교 국가인 로마는 처음에 크리스트교를 용인하였다. 그러나 유일신을 숭배하는 크리스트교도들이 황제 숭배를 우상 숭배라며 거부하자 그들을 박해하기 시작하였다. 크리스트교도들은 카타콤에서 예배를 보면서 신앙을 지속하였으며, 교세는 더욱 확장되었다.
결국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밀라노 칙령을 공포하여 크리스트교를 공인하였고(313), 이어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325)하여 아타나시우스파의 삼위일체설을 정통으로 인정하였다. 테오도시우스 황제 때 이르러 크리스트교는 로마의 국교가 되었다(392). 이후 크리스트교는 유럽에 뿌리를 내려 그리스ㆍ로마 문화와 함께 유럽 문화의 근간이 되었다.
12. 로마 문화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로마인은 그리스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를 수용하는 한편, 법률, 토목, 건축 등 실용적인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하였다. 특히 법률이 발달하였는데 로마 최초의 성문법인 12표법은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시민법으로 발전하였고, 이어 만민법으로 확대되어 로마 제국 내의 모든 민족에게 적용되었다. 이러한 로마법은 6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때 『유스티니아누스 법전(로마법 대전)』으로 집대성되어 여러 나라의 법률에 영향을 주었다.
로마는 정복지에 도시를 세우고 물자 교류와 신속한 군사의 이동을 목적으로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이탈리아 아피아 가도)를 건설하였다. 도시에는 수도 시설(수도교)을 정비하고, 콜로세움(원형경기장, 판테온, 개선문(콘스탄티누스 개선문), 공중목욕탕 등의 건축물을 세웠다.
문학에서는 키케로가 산문 등의 분야에서, 베르길리우스가 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철학에서는 헬레니즘 시대의 스토아 학파가 로마 상류 사회에 영향을 끼쳤으며,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스토아 철학자로서 『명상록』을 남겼다. 역사학에서는 리비우스의 『로마사』,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 등이 저술되었다. 한편 천문학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가 태양이 지구 둘레를 돈다는 천동설을 주장하였다.
13. 프랑크 왕국의 성장 과정에 대해 서술하시오.
게르만족은 발트해 연안에서 수렵과 목축업에 종사하던 민족이었다. 점차 농경의 비중이 높아지고 인구가 증가하자, 따뜻하고 기름진 농경지를 찾아 남쪽으로 이동하여 로마 제국의 영토로 들어오게 되었다. 3세기 무렵에는 상당수의 게르만족이 로마 제국 내에서 소작농이나 용병으로 활동하였다. 4세기경 유목 민족인 훈족의 압박에 밀려 게르만족의 본격적 이동이 시작(제1차 민족운동)되었다. 게르만족이 세운 왕국 중 갈리아 지방에 자리한 프랑크 왕국은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오랫동안 번영을 누렸다. 게르만족이 이동하면서 서로마 제국을 멸망(476)시키고 프랑크 왕국이 등장한 이때를 중세 유럽의 시작이라고 본다.
5세기 말 클로비스는 메로베우스 왕조를 세우고 크리스트교의 정통파인 아타나시우스파로 개종하여 로마인과의 융합을 꾀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프랑크 왕국이 유럽의 중심 세력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다.
메로베우스 왕조는 7세기 말부터 쇠퇴하고 클로비스가 죽은 후 내분이 일어나 왕권이 약화된 기회를 틈타 궁재 카롤루스 마르텔이 실권을 잡았다. 그는 피레네산맥을 넘어온 이슬람군(우마이야 왕조)을 투르ㆍ푸아티에 전투(732)에서 격파하여 프랑크 왕국을 지켜냈다. 이를 계기로 프랑크 왕국은 크리스트교 세계를 보호할 수 있었고, 로마 교회와 강력하게 결합하였다. 이후 그의 아들 피핀은 메로베우스 왕조를 무너뜨리고 카롤루스 왕조를 개창하였다(751). 교황이 왕조 개창을 지지해 준 것에 대한 보답으로 피핀은 롬바르드족의 공격으로부터 교황을 보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얻은 이탈리아 중부 지역(라벤나)을 기증하였는데, 이것이 교황령의 시초가 되었다.
피핀의 아들인 카롤루스 대제(샤를마뉴) 때 프랑크 왕국은 전성기를 맞았다. 그는 정복 활동을 통해 옛 서로마 제국 영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곳곳에 교회를 세워 크리스트교를 전파하였다. 이때 교황 레오 3세는 카롤루스 대제를 서로마 황제로 대관하였다(800). 카롤루스 대제는 라틴어 문법, 논리학 등을 가르치는 궁정 학교를 세우고 수도원에서 고전을 필사하게 하는 등 문화 발전에 힘써 카롤루스 르네상스를 일으켰다. 이로써 로마의 고전 문화+크리스트교+게르만의 전통 문화가 융합되어 중세 서유럽 문화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프랑크 왕국은 카롤루스 대제가 죽은 뒤 분할 상속에 따른 내분과 후계자들 간의 다툼으로 혼란을 겪었다. 결국 베르
  • 가격5,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22.04.15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7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