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김애란의 『바깥은 여름』
3.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4. 김봉곤의 『여름, 스피드』
2. 김애란의 『바깥은 여름』
3. 최은영의 『쇼코의 미소』
4. 김봉곤의 『여름, 스피드』
본문내용
어 가고 있다는 것도. 하지만 요즘의 소설을 보며 내면으로 침잠하던 이들이 점차 바깥으로, 사회의 외부자들, 소수자들에게 눈길을 돌린다는 것을 확인한다. 이들은 자신의 터전에서 벗어나 바깥세계로 이주한다. 그러나 그것은 가벼운 외유가 아니라 자신이 선 곳을 근본적으로 되돌아보는 발걸음이다. 예의 고독과 절망의 정서를 간직하되, 나를 넘어선 타인, 공동체의 관점에서 사유한다. “내적 갈등을 끝낸 스물네 살 겨울 이후로 나는 단 한순간도 내가 게이라는 사실을 잊고 산 적이 없었다.(...) 그건 다시 한 번 사는 것과 마찬가지였고 나는 언제나 더 많이 살고 싶어 했으므로 그건 내게 축복이나 다름없었다.”(「라스트 러브송」) 더 잘 사는 삶 보다는 더 많은 삶. 그것이 요즘의 문학이 내게 가르쳐준 것 일 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