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본문내용
6회/분이므로 달성되지 못했지만, 처음 호흡수와 비교하여 호흡수가 계속 정상 범위로 감소되고 있기 때문에 호흡곤란 위험성은 없어 보임.
+ 간호과정 ⑤
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어제부터 설사를 5~6번 정도 했어요.”
“음식을 먹으면 토해요.”
체중- 16.6 kg
<임상 검사 결과>
Na 137nEq/L - (정상 수치 : 136-146nEq/L)
K 3.7nEq/L - (정상 수치 : 3.5-5.0nEq/L)
CI 106nEq/L - (정상 수치 : 98-106nEq/L)
<투약>
NaK3 5% (포도당) (탈수, 전해질보급, 영양보급)
300ml
2. 간호 진단
설사 및 구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정의 : 전해질 수준의 변화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3. 목 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내에 정상적인 배변 양상을 보인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을 유지한다.
4.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처방된 NaK3 5%를 정맥주입 한다.
2. 설사와 구토 횟수를 사정한다.
3. 수시로 허약감과 점막, 피부의 탄력성을 관찰한다.
4. 매일 1회 체중 측정을 한다.
5. 보호자에게 구토, 설사 횟수를 기록 하도록 교육한다.
6. 대상자에게 기호음료를 제공한다.
1. 수분,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2. 영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 탈수 증상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4. 체액부족으로 인한 체중 감소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5. 전해질 손실 여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6.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5. 간호 수행
1. 처방된 NaK3 5%를 정맥주입 한다.
▶ 처방된 NaK3 5%를 IV로 투여했다.
2. 설사와 구토 횟수를 사정한다.
▶ 매일 1회 설사와 구토 횟수를 사정했다.
날짜
5/8
5/9
5/10
횟수
5
2
1
(설사) (구토)
날짜
5/8
5/9
5/10
횟수
5
5
2
3. 수시로 허약감과 점막, 피부의 탄력성을 관찰한다.
▶ 4시간 마다 허약감이 있는지, 점막, 피부에 수분감이 있는지 확인했다.
4. 매일 1회 체중 측정을 한다.
▶ 매일 아침 식사 전 체중을 측정했다.
날짜
5/8
5/9
5/10
체중(kg)
16.6
15.9
16.2
5. 보호자에게 구토, 설사 횟수를 기록을 하도록 교육한다.
▶ 보호자는 매일 구토, 설사 횟수를 기록하였다.
날짜
5/8
5/9
5/10
횟수
5
5
2
날짜
5/8
5/9
5/10
횟수
5
3
1
(설사) (구토)
6. 대상자에게 기호음료를 제공한다.
▶ 음식은 설사와 구토를 더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극이 가는 탄산음료나 과일주스 등을 제외하고
이온음료 등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료를 제공했다.
5. 간호 평가
단기 목표 달성하지 못함.
5월 10일까지 설사를 2회 하였으므로 달성하지 못했지만, 설사 횟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설사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위험은 없어 보임.
장기 목표 달성함.
입원한 당시 16.6kg에서 현재 16.2kg으로 약간 감소하였지만 거의 변동이 없으므로 달성했다고 볼 수 있음.
참고자료
박호란 외 9명, 현문사,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2014.02., P.218~221
박금주 외 10명, 계축문화사,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2019.03.05., P.297~311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130#tagID6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715&cid=63166&categoryId=51020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헬프라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54836&cid=51362&categoryId=5136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73&cid=51007&categoryId=51007
간호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1161&cid=60408&categoryId=55558
질병관리본부 건강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D675C07935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1259&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000&docId=2141259&categoryId=51000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213241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36683&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6867&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6713&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2020&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5067&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65171&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43756&cid=51000&categoryId=51000
+ 간호과정 ⑤
1.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어제부터 설사를 5~6번 정도 했어요.”
“음식을 먹으면 토해요.”
체중- 16.6 kg
<임상 검사 결과>
Na 137nEq/L - (정상 수치 : 136-146nEq/L)
K 3.7nEq/L - (정상 수치 : 3.5-5.0nEq/L)
CI 106nEq/L - (정상 수치 : 98-106nEq/L)
<투약>
NaK3 5% (포도당) (탈수, 전해질보급, 영양보급)
300ml
2. 간호 진단
설사 및 구토와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정의 : 전해질 수준의 변화로 건강에 위협이 될 만큼 취약한 상태
3. 목 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내에 정상적인 배변 양상을 보인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을 유지한다.
4. 간호 계획
간호 중재
이론적 근거
1. 처방된 NaK3 5%를 정맥주입 한다.
2. 설사와 구토 횟수를 사정한다.
3. 수시로 허약감과 점막, 피부의 탄력성을 관찰한다.
4. 매일 1회 체중 측정을 한다.
5. 보호자에게 구토, 설사 횟수를 기록 하도록 교육한다.
6. 대상자에게 기호음료를 제공한다.
1. 수분,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2. 영양 상태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 탈수 증상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4. 체액부족으로 인한 체중 감소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5. 전해질 손실 여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6. 탈수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5. 간호 수행
1. 처방된 NaK3 5%를 정맥주입 한다.
▶ 처방된 NaK3 5%를 IV로 투여했다.
2. 설사와 구토 횟수를 사정한다.
▶ 매일 1회 설사와 구토 횟수를 사정했다.
날짜
5/8
5/9
5/10
횟수
5
2
1
(설사) (구토)
날짜
5/8
5/9
5/10
횟수
5
5
2
3. 수시로 허약감과 점막, 피부의 탄력성을 관찰한다.
▶ 4시간 마다 허약감이 있는지, 점막, 피부에 수분감이 있는지 확인했다.
4. 매일 1회 체중 측정을 한다.
▶ 매일 아침 식사 전 체중을 측정했다.
날짜
5/8
5/9
5/10
체중(kg)
16.6
15.9
16.2
5. 보호자에게 구토, 설사 횟수를 기록을 하도록 교육한다.
▶ 보호자는 매일 구토, 설사 횟수를 기록하였다.
날짜
5/8
5/9
5/10
횟수
5
5
2
날짜
5/8
5/9
5/10
횟수
5
3
1
(설사) (구토)
6. 대상자에게 기호음료를 제공한다.
▶ 음식은 설사와 구토를 더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자극이 가는 탄산음료나 과일주스 등을 제외하고
이온음료 등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료를 제공했다.
5. 간호 평가
단기 목표 달성하지 못함.
5월 10일까지 설사를 2회 하였으므로 달성하지 못했지만, 설사 횟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설사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위험은 없어 보임.
장기 목표 달성함.
입원한 당시 16.6kg에서 현재 16.2kg으로 약간 감소하였지만 거의 변동이 없으므로 달성했다고 볼 수 있음.
참고자료
박호란 외 9명, 현문사,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상권, 2014.02., P.218~221
박금주 외 10명, 계축문화사,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2019.03.05., P.297~311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3130#tagID6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칼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03715&cid=63166&categoryId=51020
질병관리본부 희귀질환헬프라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54836&cid=51362&categoryId=51362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673&cid=51007&categoryId=51007
간호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1161&cid=60408&categoryId=55558
질병관리본부 건강정보,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D675C07935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1259&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000&docId=2141259&categoryId=51000
드럭인포,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213241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36683&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6867&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6713&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42020&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55067&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765171&cid=51000&categoryId=51000
의약품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43756&cid=51000&categoryId=51000
추천자료
급성세기관지염
아동 간호학- 실습 케이스 레포트 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간호학]천식
아동간호사례연구 -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칸디다성 구내염 candidal stomatitis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폐렴(Pneumoni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아동 급성모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B, Transient tarchypnea of newborn)
소아당뇨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소개글